E-BAY (이베이) 조사보고서 (이베이특징,마케팅전략,향후미래,일본시장실패,중국시장실패,탐온라인,지출구조 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BAY (이베이) 조사보고서 (이베이특징,마케팅전략,향후미래,일본시장실패,중국시장실패,탐온라인,지출구조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이베이란?

- 이베이의 특징1
- 이베이의 특징2

- 이베이의 마케팅전략1 (지출구조)
- 이베이의 마케팅전략2 (4가지 성공요인)
- 이베이의 미래
- 이베이의 일본실패
- 이베이의 중국실패

- 결 론
- 탐온라인과 이베이
- 이베이의 요금 정책

본문내용

이베이 실패의 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베이측은 지속적인 투자에도 불구하고 중국당국의 협조를 원활하게 받아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향후 신규로 중국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법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좋아하는 색상, 숫자, 아이콘 등에 대한 탐구가 필요할 듯 싶다.
- 결 론
e-bay 의 일본, 중국 그리고 다른 아시아 시장에서의 고전은 위 진출 사례로 보면 글로벌시장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한 자신감에 현지사정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것과 현지인들의 관습과 특성, 수요를 예측하지 못했으며 당국과의 관계에서 실패한 것이 공통된 이유라고 볼 수 있다.
- 탐온라인과 이베이
그 동안 TaoBao라는 온라인경매 사이트를 운영 중인 중국기업 Jack Ma 등과 경쟁해 오던 eBay는 Tom Online과의 제휴를 통해 중국 사정에 밝은 협력자를 구했다. Tom Online의 CEO인 Wang Lei Lei는 각종 규제완화를 위한 협상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Tom Online의 3분기 수익은 벨소리 다운로드 및 SMS 메시지 서비스 요금부과에 대한 대대적인 당국의 압력 때문에 22% 하락한 3900만 달러에 그쳤으나, 무선서비스 분야는 경쟁업체 Sina.com의 규모보다 60% 이상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온라인경매의 거대기업 eBay가 중국기업인 Tom Online과 손잡고 다시 한 번 중국온라인경매 시장에서의 재기를 꿈꾸고 있는 것이다.
eBay가 그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오던 중국 온라인경매 사업에서의 재기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eBay는 현재 중국에서 운영 중인 자사 사이트를 폐쇄하고 현지기업인 Tom Online과 JV(Joint Venture)를 설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eBay는 새로운 JV의 지분 중 49%를 소유할 것이며, Tom Online은 eBay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온라인경매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Tom Online은 현재 수익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무선 부가가치 서비스 이외 사업으로의 다각화를 모색하는 중이다.
Tom.com은 2000년경, 인터넷 붐의 물결을 타고 인터넷포털 Tom Online을 설립했다. 하지만 Tom Online은 다른 포털업체인 Sina.com과 Sohu.com에 비해 광고수익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고, 결국 인스턴트 메시징과 음악 다운로드 등 급성장하고 있는 휴대전화 관련 서비스 영역으로 주력사업을 변경했다. Tom Online은 2004년 1분기에 홍콩 및 나스닥 증시에 동시 상장되었다.
앞에서 본 것처럼 Tom Online이 건실한 기업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세계에서 가장 큰 온라인경매 기업인 eBay가 온라인경매 사업의 경험이 일천한 일개 중소기업에게 운영을 맡긴다는 것은 아이러니하다. 이는 중국시장에서의 eBay의 몰락을 나타내는 반증이다. 이에 대해 BDA China의 Duncan Clark 전무이사는 “아름다운 퇴장을 위한 포석이다.”라고 말했다.
eBay는 결국 중국에서 독자적으로 사업하겠다는 경영전략을 전격 수정하고 중국 토착 포털사이트인 톰 온라인과 합작하겠다는 것은 eBay의 문제가 경영진 자기 과신에 있었고 서비스의 지역화가 필요하다고 인정함을 나타낸다.
그럼 현재 상황은??
이베이가 중국 무역상들이 해외 고객들에게 쉽게 상품을 판매할 수 있게 한다는 전략으로 중국 시장에 재도전장을 내밀었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이베이가 중국에서 화려한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이베이는 중국 기업의 글로벌 판매를 지원하는 전략으로 이미지를 쇄신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국제적인 웹사이트를 통한 중국 수출업계의 해외 판매에 초점을 맞춰 중국 시장에 다시 도전장을 던진 것이다.
존 도나호 이베이 회장이 중국 정부의 높은 인터넷 장벽에 대해 강한불만을 표출했다.
도나호 회장은 17일 AFP통신과의 인터뷰에서\"중국내 인터넷 시장은외국 기업들에게 닫혀있다\"며 \"중국 정부는 외국 인터넷 기업이 중국에서 성공하도록 허락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도나호 회장은 중국인들이 올해 60억달러(약 6조8928억원)에 상당한 물품을 이베이를 통해 판매해왔다고 전했다. 그는 많은 중국인들이 이베이를 통해 수출을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도나호 회장은 이어\"이베이는 급성장 중인 중국 시장에 관심이 많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판 이베이 서비스를 시작하려면 중국 정부가 해외기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베이는 지난 6월 중국 전자 상거래에서 더 이상 수익을 어렵다고 판단해 중국 기업 상품의 해외 판매를 지원하는 것으로 업무 전략을 수정해왔다.
구글 역시 중국 정부와 마찰로 2010년 3월 중국 본사를 홍콩으로 이전하기도 했다.
- 이베이의 요금 정책
이베이의 사업 모델을 좀더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선 이베이의 요금 시스템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베이는 현재 두 가지 방법으로 사용자들에게 요금을 부과하고 있다. 첫째는 아이템 등록비로 판매 아이템을 등록시키는 사용자들이 지불하는 비용이다. (이 등록 요금은 경매에서 낙찰 여부에 상관없이 지불해야 한다.) 경매 시작 가격에 따라 차등화 되는 등록비는 30센트에서 3달러 30센트 사이에 정해진다.
다른 하나는 판매 수수료로 물건의 종류와 가격에 따라 낙찰 가격의 1.25% - 5% 사이에서 결정된다. 예를 들어, 누군가 이베이에 5달러부터 시작되는 아이템을 내놓았다면 등록비는 30센트가 된다. 그리고 만일 이 아이템의 최종 낙찰가가 20달러에 정해졌다면 판매 수수료는 1달러가 부과된다. 따라서, 이 아이템을 이베이에서 판 사용자가 이베이에 지불해야 할 수수료 총액은 1달러 30센트가 된다.
이베이는 이런 수수료 외에도 직업적인 판매상들의 광고와 프리미엄 서비스로 상당한 수익을 벌어들이고 있다.
특히, 이베이에는 ‘상점(eBay Store)’ 서비스가 있어서 사용자는 한 달에 9.95달러의 정액 요금을 부과하고 이베이에서 지속적으로 ‘장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템을 리스트의 상위에 올려주거나 목록이 볼드체로 표시해 주는 서비스를 통해서도 추가 요금을 벌어들이고 있다.
  • 가격1,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2.18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2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