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인도의 “킬라파트(힐라파트) 운동”이란 무엇인가?
2. 킬라파트 운동의 시대적 배경
3. <인도의 킬라파트, 혹은 힐라파트(Khilafat) 운동> 관련 자료를 인터넷을 활용하여 3건을 선정
1) “힐라파트 운동”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2) 식민 지배의 핵, 분리 통치
3) 무스타파 케말
4. 칼리프제에 대한 이해와 킬라파트운동의 의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인도의 “킬라파트(힐라파트) 운동”이란 무엇인가?
2. 킬라파트 운동의 시대적 배경
3. <인도의 킬라파트, 혹은 힐라파트(Khilafat) 운동> 관련 자료를 인터넷을 활용하여 3건을 선정
1) “힐라파트 운동”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2) 식민 지배의 핵, 분리 통치
3) 무스타파 케말
4. 칼리프제에 대한 이해와 킬라파트운동의 의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없었다. 여기에 20세기 근대 국가가 가지고 온 보통 선거 체제는 개인 1인의 목소리를 극대화시키는데 충분한 역할을 하였고 그 막강한 개인들의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참여가 결국 인도아대륙의 분단과 살육을 가져 온 것이다. 이광수, 식민 지배의 핵, 분리 통치, 프레시안, 2008.08.26일자.
3) 무스타파 케말
1938년 11월10일 터키 공화국 초대 대통령 무스타파 케말 파샤가 이스탄불에서 작고했다. 향년 57세. 파샤는 오스만투르크제국에서 군대 지휘관이나고급 관료를 존경의 뜻으로 불렀던 칭호다. 무스타파 케말은 제1차 세계대전 중 군사령관으로 다르다넬스 해협과 동부 국경의 방위를 맡은 바 있다. 그러나 터키 사람들은 케말을 파샤라고 부르기보다 아타튀르크라고 부른다. 아타튀르크는 ‘터키 사람들의 아버지’라는 뜻이다. 이런 관행이 되풀이되다 보니, 아타튀르크가 마치 케말의 성(姓)처럼 돼 버렸다. 성이 국부(國父)다!그럴 만도 하다. 터키 사람들에게 무스타파 케말은 중국 사람들에게 쑨원(孫文)과 마오쩌둥(毛澤東)을 합쳐놓은 것 같은 인물이다. 쑨원처럼, 케말은 오랜 세월 조국을 옥죄던 군주제를 뒤집어 엎고 공화제를 수립했다. 마오쩌둥처럼, 케말은 종이 호랑이가 된 조국을 짓밟던 외세를 몰아냈다. 무스타파 케말이 이끈 터키 혁명은 제1차 세계대전의 여진 속에서 진행되었다. 독일ㆍ오스트리아 편에 섰다가 패전국이 된 오스만투르크를 유럽 열강들은 분할하고자 했고, 전승국의 일원이 된 그리스는 연합국 열강의 비호아래 오스만제국의 심장부인 소아시아를 침공했다. 케말은 그리스와의 전쟁을 총지휘해 승리로 이끈 뒤, 1922년 10월 공화제를 선언했다.
케말이 이끄는 공화국 터키가 가장 먼저 한 일은 술탄칼리프제의 폐지였다. 술탄칼리프제란 세속 권력의 일인자인 술탄이 종교 권력의 수장인 칼리프를 겸하는 정교일치제도다. 터키는 혁명 직후 칼리프제와 술탄제를 차례로 폐지했을 뿐만 아니라 엄격한 정교분리 원칙, 곧 세속주의 원칙을 확립했다. 세속주의에 대한 케말의 신념은 확고했고, 그 덕분에 터키는 이슬람국가로서는 드물게 정치가 종교의 입김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나라가 되었다. 한국일보, 무스타파 케말, 한국일보, 2003.11.09일자.
4. 칼리프제에 대한 이해와 킬라파트운동의 의의
칼라파트운동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칼리프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세속권력의 행사자인 술탄이 정신계의 최고 수장을 겸하는 정교일치제도로서 16세기 초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4세기 동안 유지되어 왔다. 그런데 17세기까지만 하더라도 오스만투르크제국의 술탄들은 칼리프제에 있는 특유의 속성을 부각하려는데 별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는 칼리프가 이미 본연의 지고한 위치를 상실하고, 단지 지배자의 정신적 상징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때까지만 하더라도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종교의 힘을 빌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다. 하지만 18세기 오스만투르크제국이 점차 쇠퇴해감에 따라 오스만투르크 제국의 술탄들은 칼리프의 칭호를 대외용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는 술탄을 칼리프로 명명하여 내세우는 것이 제국은 물론, 제국 밖의 무슬림들과의 관계를 포괄하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19세기 말 오스만투르크 제국의 쇠퇴가 더욱 가속화되자 술탄들은 무슬림들의 단결과 지지를 얻기 위해서 칼리프제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단일된 이슬람 공동체의 창출이 칼리프제 하에서만 가능하다는 자각으로 이어졌으며, 결국 범이슬람주의 운동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 여파는 터키 대국민의회에 의해서 칼리프제가 공식 폐지될 때까지 수니 이슬람 세계에서 오스만투르크제국을 칼리프제 보유국으로 인정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술탄제와 칼리프제는 터키 혁명 후 무스타파 케말에 의해서 분리되었으며, 술탄제는 1922년 11월 1일, 칼리프제는 1924년 3월 3일을 기하여 각각 대국민의회의 의결에 의해 폐지되었다.
킬라파트 운동은 영국령 인도의 무슬림 7, 000만 명이 연합국에 의한 칼리프제의 폐지를 우려하여 반영 투쟁을 전개하면서 시작되었다. 종교를 구심점으로 하여 반영 투쟁이 시작되었으며 후에 이것이 힌두교와의 연합으로 확대되어 범종교적인 독립운동의 양상으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인도 무슬림에 의한 킬라파트 운동은 간디의 시민 불복종 운동과 공동 전선을 구축하면서 소수 집단인 무슬림의 다수 집단 힌두에 대한 반감이 점차 커 가는 시점에서 이루어진 매우 값진 투쟁 전략이기도 했다.
Ⅲ. 결론
지금까지 인도의 킬라파트, 혹은 힐라파트(Khilafat) 운동 관련 자료를 인터넷을 활용하여 3건을 선정하고, 그 자료를 근거로 “인도의 킬라파트 운동”에 대한 글을 스스로 주제와 목차를 설정하여 기술해보았다. 킬라파트 운동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승리를 거둔 영국이 오토만 제국을 유럽과 아랍 지역으로 분할하려고 했을 때 인도의 무슬림들은 형제애로서 터키제국은 유지되어야 한다는 신념에서 나온 영국에 대한 항의운동이었다. 비록 실패한 운동이었지만 간디는 형제 커뮤니티로서 힌두-무슬림의 결속을 다지기 위해 그 운동에 뛰어들었다. 킬라파트 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비협력 운동이 나오고 이것은 1920년 이후 전국적인 반영저항 운동으로 이어진다. 간디의 비협력 운동과 자치의 요구는 민중의 독립 욕구를 일깨우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처럼 킬라파트 운동은 인도의 근현대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의미 있는 운동이며 종교 갈등이 심한 인도에서 범종교적 연합을 통한 반영운동으로 발전하였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1. 이혜령, 세계의역사 (2013-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1.
2. 조길태, 인도와 파키스탄 (대립의 역사), 민음사, 2009.
3. 유성욱, 인도의 역사, 종교와이성, 2007.
4. 박금표, 인도사 108 장면, 민족사, 2007.
5. 이옥순, 인도현대사 (동인도회사에서 IT까지), 창비, 2007.
6. 나카지마 다카시 저, 이정환 역, 인도의 시대, 북북서, 2007.
7. 이마가와 에이치 저, 이홍배 역, 동남아시아 현대사와 세계열강의 자본주의 팽창, 이채, 2011.
3) 무스타파 케말
1938년 11월10일 터키 공화국 초대 대통령 무스타파 케말 파샤가 이스탄불에서 작고했다. 향년 57세. 파샤는 오스만투르크제국에서 군대 지휘관이나고급 관료를 존경의 뜻으로 불렀던 칭호다. 무스타파 케말은 제1차 세계대전 중 군사령관으로 다르다넬스 해협과 동부 국경의 방위를 맡은 바 있다. 그러나 터키 사람들은 케말을 파샤라고 부르기보다 아타튀르크라고 부른다. 아타튀르크는 ‘터키 사람들의 아버지’라는 뜻이다. 이런 관행이 되풀이되다 보니, 아타튀르크가 마치 케말의 성(姓)처럼 돼 버렸다. 성이 국부(國父)다!그럴 만도 하다. 터키 사람들에게 무스타파 케말은 중국 사람들에게 쑨원(孫文)과 마오쩌둥(毛澤東)을 합쳐놓은 것 같은 인물이다. 쑨원처럼, 케말은 오랜 세월 조국을 옥죄던 군주제를 뒤집어 엎고 공화제를 수립했다. 마오쩌둥처럼, 케말은 종이 호랑이가 된 조국을 짓밟던 외세를 몰아냈다. 무스타파 케말이 이끈 터키 혁명은 제1차 세계대전의 여진 속에서 진행되었다. 독일ㆍ오스트리아 편에 섰다가 패전국이 된 오스만투르크를 유럽 열강들은 분할하고자 했고, 전승국의 일원이 된 그리스는 연합국 열강의 비호아래 오스만제국의 심장부인 소아시아를 침공했다. 케말은 그리스와의 전쟁을 총지휘해 승리로 이끈 뒤, 1922년 10월 공화제를 선언했다.
케말이 이끄는 공화국 터키가 가장 먼저 한 일은 술탄칼리프제의 폐지였다. 술탄칼리프제란 세속 권력의 일인자인 술탄이 종교 권력의 수장인 칼리프를 겸하는 정교일치제도다. 터키는 혁명 직후 칼리프제와 술탄제를 차례로 폐지했을 뿐만 아니라 엄격한 정교분리 원칙, 곧 세속주의 원칙을 확립했다. 세속주의에 대한 케말의 신념은 확고했고, 그 덕분에 터키는 이슬람국가로서는 드물게 정치가 종교의 입김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나라가 되었다. 한국일보, 무스타파 케말, 한국일보, 2003.11.09일자.
4. 칼리프제에 대한 이해와 킬라파트운동의 의의
칼라파트운동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칼리프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세속권력의 행사자인 술탄이 정신계의 최고 수장을 겸하는 정교일치제도로서 16세기 초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4세기 동안 유지되어 왔다. 그런데 17세기까지만 하더라도 오스만투르크제국의 술탄들은 칼리프제에 있는 특유의 속성을 부각하려는데 별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는 칼리프가 이미 본연의 지고한 위치를 상실하고, 단지 지배자의 정신적 상징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때까지만 하더라도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종교의 힘을 빌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다. 하지만 18세기 오스만투르크제국이 점차 쇠퇴해감에 따라 오스만투르크 제국의 술탄들은 칼리프의 칭호를 대외용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는 술탄을 칼리프로 명명하여 내세우는 것이 제국은 물론, 제국 밖의 무슬림들과의 관계를 포괄하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19세기 말 오스만투르크 제국의 쇠퇴가 더욱 가속화되자 술탄들은 무슬림들의 단결과 지지를 얻기 위해서 칼리프제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단일된 이슬람 공동체의 창출이 칼리프제 하에서만 가능하다는 자각으로 이어졌으며, 결국 범이슬람주의 운동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 여파는 터키 대국민의회에 의해서 칼리프제가 공식 폐지될 때까지 수니 이슬람 세계에서 오스만투르크제국을 칼리프제 보유국으로 인정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술탄제와 칼리프제는 터키 혁명 후 무스타파 케말에 의해서 분리되었으며, 술탄제는 1922년 11월 1일, 칼리프제는 1924년 3월 3일을 기하여 각각 대국민의회의 의결에 의해 폐지되었다.
킬라파트 운동은 영국령 인도의 무슬림 7, 000만 명이 연합국에 의한 칼리프제의 폐지를 우려하여 반영 투쟁을 전개하면서 시작되었다. 종교를 구심점으로 하여 반영 투쟁이 시작되었으며 후에 이것이 힌두교와의 연합으로 확대되어 범종교적인 독립운동의 양상으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인도 무슬림에 의한 킬라파트 운동은 간디의 시민 불복종 운동과 공동 전선을 구축하면서 소수 집단인 무슬림의 다수 집단 힌두에 대한 반감이 점차 커 가는 시점에서 이루어진 매우 값진 투쟁 전략이기도 했다.
Ⅲ. 결론
지금까지 인도의 킬라파트, 혹은 힐라파트(Khilafat) 운동 관련 자료를 인터넷을 활용하여 3건을 선정하고, 그 자료를 근거로 “인도의 킬라파트 운동”에 대한 글을 스스로 주제와 목차를 설정하여 기술해보았다. 킬라파트 운동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승리를 거둔 영국이 오토만 제국을 유럽과 아랍 지역으로 분할하려고 했을 때 인도의 무슬림들은 형제애로서 터키제국은 유지되어야 한다는 신념에서 나온 영국에 대한 항의운동이었다. 비록 실패한 운동이었지만 간디는 형제 커뮤니티로서 힌두-무슬림의 결속을 다지기 위해 그 운동에 뛰어들었다. 킬라파트 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비협력 운동이 나오고 이것은 1920년 이후 전국적인 반영저항 운동으로 이어진다. 간디의 비협력 운동과 자치의 요구는 민중의 독립 욕구를 일깨우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처럼 킬라파트 운동은 인도의 근현대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의미 있는 운동이며 종교 갈등이 심한 인도에서 범종교적 연합을 통한 반영운동으로 발전하였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1. 이혜령, 세계의역사 (2013-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1.
2. 조길태, 인도와 파키스탄 (대립의 역사), 민음사, 2009.
3. 유성욱, 인도의 역사, 종교와이성, 2007.
4. 박금표, 인도사 108 장면, 민족사, 2007.
5. 이옥순, 인도현대사 (동인도회사에서 IT까지), 창비, 2007.
6. 나카지마 다카시 저, 이정환 역, 인도의 시대, 북북서, 2007.
7. 이마가와 에이치 저, 이홍배 역, 동남아시아 현대사와 세계열강의 자본주의 팽창, 이채, 2011.
키워드
추천자료
간디의 일생
초등학교 1학년 우리들은1학년과 바른생활 교과 교육, 초등학교 1학년 슬기로운생활과 즐거운...
교과서분석 중학교 1학년 2학기 국어 1단원 능동적으로 읽기
[세계의역사/1학년C형] 싱가포르 관련 자료를 인터넷을 통하여 3건을 선정하고, 그 자료를 근...
2013년 1학기 세계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D형(킬라파트운동에 대하여)
[세계의이해/1학년 A형]간디의 비폭력불복종 운동 관련 자료를 인터넷을 활용하여 3건을 선정...
[세계의 이해/1학년D형] <인도의 킬라파트, 혹은 힐라파트(Khilafat) 운동> 관련 자료를 인터...
[세계의역사D]인도의 킬라파트, 혹은 힐라파트(Khilafat) 운동 관련 자료를 근거로 인도의 킬...
[세계의 역사 E형] 오스만제국의 탄지마트(Tanzimat) 관련 자료를 인터넷을 활용하여 3건을 ...
[방통대 공통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E형] 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