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beta``
sulfonate의 분자량
310 g/mol
sodium anthraquinone-
beta``
sulfonate의 이론상 생성량
10.4g ×
{ 310} over {208 }
= 15.5g
sodium anthraquinone-
beta``
sulfonate의 실제 생성량
8.51g
수 득 률
{8.51} over {15.5}
× 100 = 54.9%
오 차
{15.5-8.51 } over {15.5 }
× 100 = 45.09%
Discussion
10.4g의 anthraquinone에 3.8g의 발열황산을 넣고 가열하는 과정에서 실험서에서 제한한 140도씨를 넘기게 되어 3구플라스크내에서 작은 폭발에 의해 플라스크 바닥이 깨졌다.
⇒ 온도계가 플라스크 위로 잘 보이도록 설치해야 하겠고. 온도계가 용액에 정확하게
밀착되도록 셋팅해야 한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 실험에서는 온도에 유의하였고 그후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색깔의 변화도 보았고 마지막 에스필레이터로 여과하는 것까지 무난히 이루어졌다.
두 번째 여과하는 과정에서 거름종이를 너무 많이 사용해서 여과가 좀 더디게 되기도 했다.
Conclusion
Anthraquinone 10.4g과 발열황산 3.8g으로부터 sodium anthraquinone-
beta``
sulfonate 8.51g을 얻었다.
수득률은 54.9%, 오차 45.09%
Reference
공대 복사실에서 구입한 실험서.(프린트물)
일반화학, Ralph A Burn, 녹문당(2003. 2. 25)
http://cafe.daum.net/memofchemicalE
sulfonate의 분자량
310 g/mol
sodium anthraquinone-
beta``
sulfonate의 이론상 생성량
10.4g ×
{ 310} over {208 }
= 15.5g
sodium anthraquinone-
beta``
sulfonate의 실제 생성량
8.51g
수 득 률
{8.51} over {15.5}
× 100 = 54.9%
오 차
{15.5-8.51 } over {15.5 }
× 100 = 45.09%
Discussion
10.4g의 anthraquinone에 3.8g의 발열황산을 넣고 가열하는 과정에서 실험서에서 제한한 140도씨를 넘기게 되어 3구플라스크내에서 작은 폭발에 의해 플라스크 바닥이 깨졌다.
⇒ 온도계가 플라스크 위로 잘 보이도록 설치해야 하겠고. 온도계가 용액에 정확하게
밀착되도록 셋팅해야 한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 실험에서는 온도에 유의하였고 그후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색깔의 변화도 보았고 마지막 에스필레이터로 여과하는 것까지 무난히 이루어졌다.
두 번째 여과하는 과정에서 거름종이를 너무 많이 사용해서 여과가 좀 더디게 되기도 했다.
Conclusion
Anthraquinone 10.4g과 발열황산 3.8g으로부터 sodium anthraquinone-
beta``
sulfonate 8.51g을 얻었다.
수득률은 54.9%, 오차 45.09%
Reference
공대 복사실에서 구입한 실험서.(프린트물)
일반화학, Ralph A Burn, 녹문당(2003. 2. 25)
http://cafe.daum.net/memofchemi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