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학위논문]스마트폰 보급 확산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드에 관한 연구 - 활용 격차를 중심으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학위논문]스마트폰 보급 확산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드에 관한 연구 - 활용 격차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 론 ……………………………………………………1
 제 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1
 제 2절 연구의 대상과 범위…………………………………4
  1. 연구의 대상……………………………………………4
  2. 연구의 범위……………………………………………4
 제 3절 연구의 절차 및 방법…………………………………6

제 2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8
 제 1절 디지털 디바이드에 대한 개념 및 선행연구……8
  1. 디지털 디바이드의 개념과 이론………………………8
  2. 디지털 디바이드에 대한 선행연구……………………16
 제 2절 스마트폰의 특성 및 보급의 확산…………………21
  1. 스마트폰의 특성………………………………………21
   1) 이동성(mobility)……………………………………22
   2) 개인화(personalization)……………………………23
   3) 연결성(connectivity)………………………………24
   4) 확장성(expandability)………………………………25
  2. 스마트폰 보급의 확산…………………………………27
  3. 스마트폰의 활용도……………………………………32
 제 3절 모바일 디바이드에 대한 개념 및 선행 연구……36
  1. 모바일 디바이드의 개념과 이론……………………36
  2. 모바일 디바이드에 대한 선행 연구…………………38

제 3장 모바일 디바이드에 대한 실증 분석…………………41
 제 1절 연구 문제의 선정……………………………………41
 제 2절 연구의 설계…………………………………………41
  1. 변수의 선정 및 조작적 정의…………………………42
   1) 종속 변수: 1인당 무선 데이터 사용량……………42
   2) 독립 변수: 1인당 지방 소득세 소득분……………45
   3) 통제변수………………………………………………46
    (1) 연령대………………………………………………46
    (2) 지역…………………………………………………47
    (3) 1인당 음성 통화량………………………………48
 제 3절 연구의 가설과 분석틀………………………………50
   1. 연구의 분석틀…………………………………………50
   2. 연구의 가설 설정……………………………………51
   3. 연구의 분석 모형……………………………………52

제 4장 분석 결과………………………………………………54
 제 1절 기술 통계 분석………………………………………54
  1. 주요 변수의 기술 통계………………………………54
  2. 성별 및 연도에 따른  변화………………………55
 제 2절 실증 분석……………………………………………58
  1. 1인당 지방 소득세 소득분이 1인당 무선 데이터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58
  2. 분석 결과에 대한 정리 및 해석……………………60

제 5장 결론……………………………………………………62
 제 1절 연구의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62
 제 2절 연구의 한계 및 과제……………………………65

[참고문헌]……………………………………………………67
[Abstract]……………………………………………………72

본문내용

ic Opinion Quarterly, 34.
Van Dijk, J. A. G. M.(2005), “The deepening divide: Inequal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ousand Oaks, CA: Sage.
Van Dijk, J. A. G. M., & Hacker, K.(2003), “The digital divide as a complex and dynamic phenomenon”, The Information Society, 19(4).
[Abstract]
A Study on Mobile Divide
due to the Spread of Smartphones
-Focused on the Utilization Gap
0000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ization of society causes the divide of information access and utilization. Many existing studies took place with an emphasis on digital divide. However, recentl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ean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ecomes mobile, and the spread of smartphones seems to be an important factor. Recently the spread of smartphones is done actively, but the difference in utilization between users exists, and the information inequality gap phenomenon is feared to deepen.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mobile divide phenomena reveals the factors that affect mobile divide. Income were no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mobile divide, for the study, indicating the degree of information utilization as a variables to set up a wireless data usage. Then, set up a income share of local income tax as a variable representing income. For testing the hypothesis that the more income share of local income tax is in the area, the more wireless data usage occurs, examined in 2010 and 2011 data of smartphone subscribers of SK Telecom(leading telecommunication company in Korea). Then, the data were made into 233 local governments unit and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per capita income share of local income tax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 capita wireless data usage. It showed the gap of income can bring the gap of the information utilization. In addition, age gives significant impact on wireless data usage, age 20s peak was found.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y region is existing, users in densely populated city expended more wireless data than users in not-densely populated regio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e gap of income causes the gap of utilization information, which ultimately brought exacerbating of information inequality.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suggested some kinds of reviews of the necessity of auxiliary measures, for example, providing voucher for the use of data to low-incomers, conditional non-billing processing of wireless data usage. From now on, various follow-up study about mobile divide will be expected to actively examine the part not covered from this paper, and support the policy for ultimately relieving the problems of mobile divide.
Keywords: mobile divide, smartphones, digital divide,
wireless data usage, income share of local income tax
Student Number: 0000

키워드

스마트폰,   모바일,   격차,   인터넷,   데이터,   석사,   논문,   정보통신,   it,   행정,   정보,   스마트,   디바이드,   연구
  • 가격4,900
  • 페이지수84페이지
  • 등록일2014.01.19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8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