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기다리며 A+ 비평문(고도를기다리며 비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도를기다리며 A+ 비평문(고도를기다리며 비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사무엘 베케트의 삶과 철학

3. 부조리극의 형성 및 특징

4. 작품내용 요약

5. 시간의 굴레 속, 기다림과 상실

6. 고도가 현대사회와 현대인에게 주는 의미

7. 맺음말

본문내용

주는 의미
생각하는 것이 파괴되어 가고 의식이 해체되어 가는 현대인들은 포조와 럭키가 보여 준 것처럼, 주어진 시간 속에 어느 날 벙어리가, 귀머거리가, 장님이 되어 버리는 것이며, 불구의 몸으로 사랑도, 진실도, 양심도 모두 잃어버린 것이다.
미를 사랑하고 존중한 것은 그리스 인들이며, 법률을 높이 평가한 것은 로마인들이고, 인간을 사랑으로 이끌어 온 이들은 수많은 고난을 무릅쓰고 지켜 온 기독교도들이지만, 이렇게 물려 내려 온 값진 유산들 속에 사랑하는 마음이 인간들 속에서 떠나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사랑의 정체를 베케트는 고도라는 선생을 통해 나타내려 한 것 같다. 의식의 파괴로 인해, 불구의 몸이 되어버린 현대인의 모습 속에 고도라는 선생은 참으로 큰 뜻을 가지고 있다. 그는 무의미하고 희망 없는 삶 속에 현대인의 공허한 마음을 채울 수 있는 빛으로 기다림의 문제를 던져 주고 있다. 고도가 의미하는 ‘잃은 것’을 찾기 위한 문제를 지닌 우리에게는 대단한 기다림의 용기가 필요한 것이다.
고도 선생이 나타나는 날은 우리에게 무슨 의미를 주는 것일까? 스스로를 잃게 한 인간들이 스스로의 죄로 인해 양심의 문을 열어야 할 그 날에 바로 고도 선생이 나타나는 것은 아닐까? 그 날은 삶의 끝이며 해방일지도 모르지만, 종교적인 면에서 어쩌면 그는 신과 같은 존재로 우리의 구세주를 뜻하는지도 모른다. 이 책 속에서 그는 한 번도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인류에게 기다림의 용기밖에는 주지 않았지만, 아마도 그 ‘기다림’의 결과는 잃어 가는 사랑과 양심의 회복일 것이다. 또한 우리가 진정 기다리고 찾아야 하는 것도 바로 ‘사랑과 양심’이라고 느껴진다.
7. 맺음말
[고도를 기다리며]는 혼란스러웠다. 하지만 이 책을 덮고 나면, 이 세상 또한 온통 혼란의 도가니이다. 생은 설명할 수 없는 일로 가득하고, 타인에게 나 자신을 정확하게 설명하는 일조차 불가능하다. 나는 한껏 목청을 높여보지만, 역시 블라디미르나 에스트라공, 포조나 럭키가 하는 어떤 행동에 불과하다고 느낀다. 나의 생을 바라보는 관객도 이 의미 없는, 생을 견디는 노력쯤으로 보이는 행동을 바라보며 웃을까.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은 얼굴도 모르는 \'고도\'를 기다리기 위해 살아간다. 마치 우리가 알 수 없는 무엇인가를, 그 실체도 본 적 없고 올지 안 올지도 모르는 어떤 것을 막연하게 기다리며 생을 영위하는 것처럼... 그들에게 \'고도를 기다린다\'가 삶의 명제인 것처럼 우리에게는 각자의 \'고도를 기다리는 것\'이 삶의 명제이다. 각자에게 주어진 \'삶의 명제\'는 그것만으로도, \'나를 다른 세상으로 데려다 줄 어떤 존재를 기다린다는 것, 그 기다림만으로도 힘겨운 삶을 견디는 \'힘\'이 된다. 정말 고도가 올 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놓는 순간, 할 수 있는 일은 목을 메는 것뿐이다. 하지만 목을 메려는 순간에도 우리는 죽는 일조차 마음대로 되지 않는 부조리간 세상과 부딪힐 수밖에 없다. 목을 맬 수도 없는, 나무 한 그루가 전부인 이 질식할 것 같은 공간에서 나, 무엇을 기다리나...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3.01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9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