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마케팅 함수인 4P의 개념
2. 사회복지에서 마케팅 의미
3. 사회복지기관에서 마케팅의 필요성
4. 예를 통해본 사회복지기관에서 마케팅 함수 4P를 적용
5. 사회복지기관에서의 마케팅 방안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마케팅 함수인 4P의 개념
2. 사회복지에서 마케팅 의미
3. 사회복지기관에서 마케팅의 필요성
4. 예를 통해본 사회복지기관에서 마케팅 함수 4P를 적용
5. 사회복지기관에서의 마케팅 방안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 사회복지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기부금 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한편, 이를 통해 무상복지 차원의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격 경쟁력이 있다 할 것이다.
5. 사회복지기관에서의 마케팅 방안
일반적으로 후원자개발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마케팅방법에는 DM발송, 이벤트, 대중매체 광고, ARS, 컴퓨터 통신 및 CRM 등이 있으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DM은 후원을 요청하는 편지를 잠재적 후원자들에 발송함으로써 후원자를 개발하는 방식으로 가장 전통적인 마케팅방법이다. 특히 DM은 불특정 다수에게 발송하기 보다는 표적시장을 선정하여 지역, 나이, 사회적 지위 및 소득 등에 따라 대상자목록을 확보하여 보내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
둘째, 이벤트는 후원의 특정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 특정기간과 장소에서 사전 계획하에 특별한 활동을 벌이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다. 특히 이벤트는 전달자와 수용자가 현장에서 오감(시각/청각/촉각/후각/미각)으로 느끼고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입체적으로 경험하고 지각하기 때문에 기억이 오래 남는다는 특징이 있다. 후원자 개발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이벤트로는 자선음악회, 모금만찬회, 전시회 등이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모금을 하기 위한 목적만으로는 적합한 방법은 아니다.
셋째, 대중매체 광고는 주로 영리부문에서 사용하는 마케팅 방법이다. 후원자개발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대중매체 활용은 아직 미진한 실정이지만, 라디오나 잡지 등을 통한 마케팅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잡지를 통해 후원자를 개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잡지의 판매부수, 독자층, 성격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광고의 성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한 잡지에 적어도 6개월 이상 광고를 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Ⅲ. 결론
이상 사회복지 마케팅에 관하여 구체적 사항을 기술해 보았다. 사회복지의 목적은 우리사회가 더욱 풍요롭게 하는 것에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사회복지 자원은 당연히 확충되어야 하고, 재원마련을 위한 우리의 노력 또한 필수적이여야 한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앞으로 사회복지 재원 마련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및 많은 사람들의 기부활동 활성화로 우리나라가 사회복지 선진국으로 발돋움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 보았다.
Ⅳ. 참고자료
사회복지 비영리조직의 기금조성을 위한 PR활동의 의미공유와 기부동기 김찬아 저 | 한국학술정보 | 2014.11.25
5. 사회복지기관에서의 마케팅 방안
일반적으로 후원자개발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마케팅방법에는 DM발송, 이벤트, 대중매체 광고, ARS, 컴퓨터 통신 및 CRM 등이 있으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DM은 후원을 요청하는 편지를 잠재적 후원자들에 발송함으로써 후원자를 개발하는 방식으로 가장 전통적인 마케팅방법이다. 특히 DM은 불특정 다수에게 발송하기 보다는 표적시장을 선정하여 지역, 나이, 사회적 지위 및 소득 등에 따라 대상자목록을 확보하여 보내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
둘째, 이벤트는 후원의 특정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 특정기간과 장소에서 사전 계획하에 특별한 활동을 벌이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다. 특히 이벤트는 전달자와 수용자가 현장에서 오감(시각/청각/촉각/후각/미각)으로 느끼고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입체적으로 경험하고 지각하기 때문에 기억이 오래 남는다는 특징이 있다. 후원자 개발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이벤트로는 자선음악회, 모금만찬회, 전시회 등이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모금을 하기 위한 목적만으로는 적합한 방법은 아니다.
셋째, 대중매체 광고는 주로 영리부문에서 사용하는 마케팅 방법이다. 후원자개발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대중매체 활용은 아직 미진한 실정이지만, 라디오나 잡지 등을 통한 마케팅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잡지를 통해 후원자를 개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잡지의 판매부수, 독자층, 성격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광고의 성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한 잡지에 적어도 6개월 이상 광고를 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Ⅲ. 결론
이상 사회복지 마케팅에 관하여 구체적 사항을 기술해 보았다. 사회복지의 목적은 우리사회가 더욱 풍요롭게 하는 것에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사회복지 자원은 당연히 확충되어야 하고, 재원마련을 위한 우리의 노력 또한 필수적이여야 한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앞으로 사회복지 재원 마련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및 많은 사람들의 기부활동 활성화로 우리나라가 사회복지 선진국으로 발돋움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 보았다.
Ⅳ. 참고자료
사회복지 비영리조직의 기금조성을 위한 PR활동의 의미공유와 기부동기 김찬아 저 | 한국학술정보 | 2014.11.25
추천자료
사이버상의 문제
한국 사회복지 조직의 재정관리 이해
2012년 초 기초수급권자인 H 노인이 수급권자에서 탈락 한 뒤 자살했다. 공공부조 즉 자산조...
사회복지 마케팅4P는 무엇이고 이것이 후원사업(재정, 홍보)에 어떻게 적용될 것인지에 대해 ...
마케팅 함수인 4P는 무엇이며 이것을 사회복지기관에 적용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를 제출하시오
마케팅 함수인 4P는 무엇이며 이것을 사회복지기관에 적용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를 제출하시오
마케팅 함수인 4P는 무엇이며 이것을 사회복지기관에 적용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를 제출하시오
[사회복지마케팅 시장세분화] 사회복지 마케팅 전략의 개발 - 시장세분화
사회복지 마케팅 4p는 무엇이고 이것이 후원사업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사회복지 마케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