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로이트
외디푸스 콤플렉스 이론과 프로이트 체험
원래 아버지의 살해와 근친상간의 타부
‘쾌감 원칙’과 ‘현실 원칙’ 및 초자아의 역할
프로이트 페시미즘과 ‘죽음의 본능’
프로이트와 융의 차이
프로이트의 현대 사상
외디푸스 콤플렉스 이론과 프로이트 체험
원래 아버지의 살해와 근친상간의 타부
‘쾌감 원칙’과 ‘현실 원칙’ 및 초자아의 역할
프로이트 페시미즘과 ‘죽음의 본능’
프로이트와 융의 차이
프로이트의 현대 사상
본문내용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 이 외디푸스도 프로이트가 말했던 외디푸스 콤플렉스의 외디푸스이다.
인간은 마음속에 자아보다 넓은 세계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사회라고 생각해도 좋은데, 그것을 프로이트는 무의식이라 부른다. 현대에는 욕망이라고 부르는데, 프로이트 이후에는 인간을 ‘생각하는 존재’보다도 그것 이상으로 근원적으로 ‘욕망을 가진 존재’로 취급하게 되었다. 그것을 가장 철저하게 밀어붙인 게 들뢰즈 - 가타리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외디푸스 콤플렉스 학설은 자유로운 욕망의 흐름에 틀을 지워가는 것이다. 욕망이란 것은 훨씬 더 의미를 알 수 없는 것으로, 어떠한 틀로써 설명할 수 없는 게 아니냐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틀을 부수면 욕망은 자유롭게 흘러간다고 하는 게 들뢰즈 - 가타리가 말하는 것이다.
인간은 마음속에 자아보다 넓은 세계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사회라고 생각해도 좋은데, 그것을 프로이트는 무의식이라 부른다. 현대에는 욕망이라고 부르는데, 프로이트 이후에는 인간을 ‘생각하는 존재’보다도 그것 이상으로 근원적으로 ‘욕망을 가진 존재’로 취급하게 되었다. 그것을 가장 철저하게 밀어붙인 게 들뢰즈 - 가타리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외디푸스 콤플렉스 학설은 자유로운 욕망의 흐름에 틀을 지워가는 것이다. 욕망이란 것은 훨씬 더 의미를 알 수 없는 것으로, 어떠한 틀로써 설명할 수 없는 게 아니냐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틀을 부수면 욕망은 자유롭게 흘러간다고 하는 게 들뢰즈 - 가타리가 말하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