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문헌고찰
-정의
-원인
-증상
-경과/합병증
-치료
-예방
Ⅱ. 대상자 간호사정 사례 보고서
Ⅲ.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중재
-간호수행
-평가
-정의
-원인
-증상
-경과/합병증
-치료
-예방
Ⅱ. 대상자 간호사정 사례 보고서
Ⅲ.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중재
-간호수행
-평가
본문내용
24mmol/L
23-29mmol/L
pCO2
35.1mmHg
35-45mmHg
CO2ct
24.7mmol/L
24-30mmol/L
pO2
75mmHg
80-90mmHg
O2sat
92%
94-100%
BE
4.0mmol/L
0-4mmol/L
<간호과정 적용>
1. 주증상
: 호흡곤란, 수면 부족
2. 현병력
: 평소 천식 앓고 있던 환자이며 천식약 처방 받아 복용해 왔으며 일주일 전부터 호흡곤란 및 과호흡 양상이 심해져서 호흡기 내과 진료 후 안정을 위해 입원 치료 중임.
입원 당시 V/S : 110/80 88 36.0 28 확인함.
3. 간호진단
① 천식과 관련된 호흡 곤란
사정
주관적 자료
“숨이 차요.” “숨이 차서 너무 힘들어요.”, “숨이 차서 움직이기도 힘드네요.”
객관적 자료
▶ ABGA 결과 pO2 75mmHg, O2 sat 92% 확인됨
▶ 호흡양상 과호흡 관찰됨.
▶ 천식 기왕력 환자임
간호
진단
천식(진단질병)과 관련된 호흡곤란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호흡양상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고 ABGA 결과가 정상 수치로 돌아온다.
간호 계획
① nasal 캐뉼라를 이용해 O2 3L를 제공한다.
②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③ 과호흡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호흡하도록 지지해준다.
④ 정기적으로 ABGA를 하며 산소수치를 관찰한다.
⑤ 호흡기치료(네불라이저)를 시행한다.
이론적 근거
①,②,③ :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산소를 공급해주고 호흡에 도움이 되는 자세를 취해주어 호흡을 원활하게 도와준다.
④ : 산소수치를 정기적으로 관찰하며 공급되는 산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⑤ : 호흡기 치료를 통해 기도를 넓혀주어 숨쉬기 용이하게 만든다.
간호 수행
① 의사의 처방에 따라 nasal 캐뉼라를 이용해 산소를 3L 제공하였다.
② 상체를 세워주는 자세를 취해주어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주었다.
대상자가 처음에는 불편해하였으나 금방 적응하며 편안하다고 하였다.
③ 과호흡하는 대상자에게 코로 숨을 들이 쉬고 입으로 내쉬도록 하는 심호흡을 하도록 옆에서 지지해주었다.
④ 매일 오전 ABGA를 하여 산소수치를 관찰하였다.
2일째 되는 날 ABGA 상 o2sat가 95%되었음을 확인하였다.
⑤ 의사 처방에 따라 벤토린으로 하루 3번 호흡기 치료를 수행하였다.
평가
및
재 계획
① ABGA 상 O2sat 95% 확인되어 O2 제공량을 2L로 조정하였으며 대상자 또한 호흡하기 편안하다고 하였고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았다.
② 상체를 세워주었을 때 처음에는 숨이 더 차는 것 같다고 하며 불편하다고 하였으나 시간이 조금 흐른 후 대상자가 금방 적응하여 호흡하기 편안하다고 말하며 잘 유지하였다.
③ 과호흡하지 말고 심호흡을 하도록 지지해 드렸더니 호흡하기 편안해졌다고 하였으며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게 되었다.
④ 정기적으로 ABGA를 하여 O2sat 95%로 정상 수치로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제공되던 산소량을 2L로 조절할 수 있었다. 추후 산소 제공을 멈춘 후 ABGA를 하여 산소수치가 유지되면 퇴원을 고려하기로 하였다.
⑤ 호흡기 치료를 수행하고 나면 대상자가 숨쉬기 용이해진다고 하였으며 과호흡 양상도 호전된 것이 관찰되었다.
★ 이번 진단에 대한 수행은 거의 효과적으로 진행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대상자의 호흡곤란 호소 횟수가 현저하게 줄어들었으며 2일째 되는 날 호흡 양상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또한 ABGA 검사 상 수치도 정상 수치로 확인되었다. 일주일 후 대상자는 산소 제공 없이 수치가 정상으로 유지되어 퇴원을 할 수 있었다.
② 호흡곤란과 관련된 수면장애
사정
주관적 자료
“숨차서 잠을 못자겠어요.” “새벽에 계속 깨요.”, “잠을 못자서 괴로워요”
객관적 자료
▶ ABGA 결과 pO2 75mmHg, O2 sat 92% 확인됨.
▶ 천식 기왕력 대상자임.
▶ 수면시간 관찰 결과 하루 4시간 정도의 수면 시간이 확인됨.
간호
진단
호흡곤란 관련된 수면장애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호흡양상이 정상으로 돌아오면서 수면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장기 목표
하루 8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게 된다.
간호 계획
① 산소를 제공하여 호흡곤란을 완화하여 수면을 잘 할 수 있도록 한다.
② 수면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③ 수면하기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④ 호흡기치료(네불라이저)를 시행한다.
이론적 근거
① : 호흡곤란을 완화시켜 주어 수면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② : 편안한 자세를 통해 원활한 수면을 유도한다.
③ : 편안한 환경을 통해 원활한 수면을 유도한다.
④ : 호흡기 치료를 통해 숨쉬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어 원활한 수면을 유도한다.
간호 수행
① 의사의 처방에 따라 nasal 캐뉼라를 이용해 산소를 3L 제공하였으며 호흡곤란이 완화되도록 하였다.
② 상체를 약간 세워주는 자세를 취해주어 수면을 하도록 하였다.
③ 호흡곤란과 불안에 떠는 대상자에게 마음을 편하게 생각하도록 지지해주었고 수면하기 용이하도록 암막커튼을 제공하고 잔잔한 음악을 틀어주었다.
④ 의사 처방에 따라 벤토린으로 하루 2번 호흡기 치료를 수행하였다.
평가
및
재 계획
① ABGA 상 O2sat 95% 확인되어 O2 제공량을 2L로 조정하였으며 대상자 또한 호흡하기 편안하다고 하였고 호흡곤란이 호전되어 수면도 월활히 할 수 있었다.
② 상체를 세워주었을 때 처음에는 불편해서 못자겠다고 하였으나 호흡곤란 증상이 호전되고 이에 따라 편안해졌다며 수면도 잘 할 수 있었다.
③ 수면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받아 원활하게 수면을 할 수 있었다고 하며 하루 8시간이상 수면을 취할 수 있었다.
④ 호흡기 치료를 수행한 후 과호흡 양상이 호전되어 이에 따라 수면을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 이번 진단에 대한 수행은 거의 효과적으로 진행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대상자의 호흡곤란 증상이 완화되면서 자연스럽게 수면장애도 호전되었다. 하루 8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할 수 있었으며 대상자 또한 수면에 대해 만족감을 드러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수문사
성인간호학 현문사
네이버 대백과사전
대한간호협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23-29mmol/L
pCO2
35.1mmHg
35-45mmHg
CO2ct
24.7mmol/L
24-30mmol/L
pO2
75mmHg
80-90mmHg
O2sat
92%
94-100%
BE
4.0mmol/L
0-4mmol/L
<간호과정 적용>
1. 주증상
: 호흡곤란, 수면 부족
2. 현병력
: 평소 천식 앓고 있던 환자이며 천식약 처방 받아 복용해 왔으며 일주일 전부터 호흡곤란 및 과호흡 양상이 심해져서 호흡기 내과 진료 후 안정을 위해 입원 치료 중임.
입원 당시 V/S : 110/80 88 36.0 28 확인함.
3. 간호진단
① 천식과 관련된 호흡 곤란
사정
주관적 자료
“숨이 차요.” “숨이 차서 너무 힘들어요.”, “숨이 차서 움직이기도 힘드네요.”
객관적 자료
▶ ABGA 결과 pO2 75mmHg, O2 sat 92% 확인됨
▶ 호흡양상 과호흡 관찰됨.
▶ 천식 기왕력 환자임
간호
진단
천식(진단질병)과 관련된 호흡곤란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호흡양상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고 ABGA 결과가 정상 수치로 돌아온다.
간호 계획
① nasal 캐뉼라를 이용해 O2 3L를 제공한다.
②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③ 과호흡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호흡하도록 지지해준다.
④ 정기적으로 ABGA를 하며 산소수치를 관찰한다.
⑤ 호흡기치료(네불라이저)를 시행한다.
이론적 근거
①,②,③ :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산소를 공급해주고 호흡에 도움이 되는 자세를 취해주어 호흡을 원활하게 도와준다.
④ : 산소수치를 정기적으로 관찰하며 공급되는 산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⑤ : 호흡기 치료를 통해 기도를 넓혀주어 숨쉬기 용이하게 만든다.
간호 수행
① 의사의 처방에 따라 nasal 캐뉼라를 이용해 산소를 3L 제공하였다.
② 상체를 세워주는 자세를 취해주어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주었다.
대상자가 처음에는 불편해하였으나 금방 적응하며 편안하다고 하였다.
③ 과호흡하는 대상자에게 코로 숨을 들이 쉬고 입으로 내쉬도록 하는 심호흡을 하도록 옆에서 지지해주었다.
④ 매일 오전 ABGA를 하여 산소수치를 관찰하였다.
2일째 되는 날 ABGA 상 o2sat가 95%되었음을 확인하였다.
⑤ 의사 처방에 따라 벤토린으로 하루 3번 호흡기 치료를 수행하였다.
평가
및
재 계획
① ABGA 상 O2sat 95% 확인되어 O2 제공량을 2L로 조정하였으며 대상자 또한 호흡하기 편안하다고 하였고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았다.
② 상체를 세워주었을 때 처음에는 숨이 더 차는 것 같다고 하며 불편하다고 하였으나 시간이 조금 흐른 후 대상자가 금방 적응하여 호흡하기 편안하다고 말하며 잘 유지하였다.
③ 과호흡하지 말고 심호흡을 하도록 지지해 드렸더니 호흡하기 편안해졌다고 하였으며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게 되었다.
④ 정기적으로 ABGA를 하여 O2sat 95%로 정상 수치로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제공되던 산소량을 2L로 조절할 수 있었다. 추후 산소 제공을 멈춘 후 ABGA를 하여 산소수치가 유지되면 퇴원을 고려하기로 하였다.
⑤ 호흡기 치료를 수행하고 나면 대상자가 숨쉬기 용이해진다고 하였으며 과호흡 양상도 호전된 것이 관찰되었다.
★ 이번 진단에 대한 수행은 거의 효과적으로 진행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대상자의 호흡곤란 호소 횟수가 현저하게 줄어들었으며 2일째 되는 날 호흡 양상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또한 ABGA 검사 상 수치도 정상 수치로 확인되었다. 일주일 후 대상자는 산소 제공 없이 수치가 정상으로 유지되어 퇴원을 할 수 있었다.
② 호흡곤란과 관련된 수면장애
사정
주관적 자료
“숨차서 잠을 못자겠어요.” “새벽에 계속 깨요.”, “잠을 못자서 괴로워요”
객관적 자료
▶ ABGA 결과 pO2 75mmHg, O2 sat 92% 확인됨.
▶ 천식 기왕력 대상자임.
▶ 수면시간 관찰 결과 하루 4시간 정도의 수면 시간이 확인됨.
간호
진단
호흡곤란 관련된 수면장애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호흡양상이 정상으로 돌아오면서 수면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장기 목표
하루 8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게 된다.
간호 계획
① 산소를 제공하여 호흡곤란을 완화하여 수면을 잘 할 수 있도록 한다.
② 수면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③ 수면하기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④ 호흡기치료(네불라이저)를 시행한다.
이론적 근거
① : 호흡곤란을 완화시켜 주어 수면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② : 편안한 자세를 통해 원활한 수면을 유도한다.
③ : 편안한 환경을 통해 원활한 수면을 유도한다.
④ : 호흡기 치료를 통해 숨쉬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어 원활한 수면을 유도한다.
간호 수행
① 의사의 처방에 따라 nasal 캐뉼라를 이용해 산소를 3L 제공하였으며 호흡곤란이 완화되도록 하였다.
② 상체를 약간 세워주는 자세를 취해주어 수면을 하도록 하였다.
③ 호흡곤란과 불안에 떠는 대상자에게 마음을 편하게 생각하도록 지지해주었고 수면하기 용이하도록 암막커튼을 제공하고 잔잔한 음악을 틀어주었다.
④ 의사 처방에 따라 벤토린으로 하루 2번 호흡기 치료를 수행하였다.
평가
및
재 계획
① ABGA 상 O2sat 95% 확인되어 O2 제공량을 2L로 조정하였으며 대상자 또한 호흡하기 편안하다고 하였고 호흡곤란이 호전되어 수면도 월활히 할 수 있었다.
② 상체를 세워주었을 때 처음에는 불편해서 못자겠다고 하였으나 호흡곤란 증상이 호전되고 이에 따라 편안해졌다며 수면도 잘 할 수 있었다.
③ 수면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받아 원활하게 수면을 할 수 있었다고 하며 하루 8시간이상 수면을 취할 수 있었다.
④ 호흡기 치료를 수행한 후 과호흡 양상이 호전되어 이에 따라 수면을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 이번 진단에 대한 수행은 거의 효과적으로 진행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대상자의 호흡곤란 증상이 완화되면서 자연스럽게 수면장애도 호전되었다. 하루 8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할 수 있었으며 대상자 또한 수면에 대해 만족감을 드러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수문사
성인간호학 현문사
네이버 대백과사전
대한간호협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추천자료
치매환자 케이스 스터디(컨퍼런스)
[논문] 간경화증 case study
모성간호학 분만실 정산분만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컨퍼런스. 실습지침서
inguinal hernia 서혜부탈장 case study
파킨슨병 간호사례연구case study-간호과정 2가지 레포트 실습점수 A+자료!!(파킨슨병 케이스...
골절(정형외과) 간호사례연구case study-간호과정 2가지 레포트 실습점수 A+자료!!(골절 케이...
급성신우신염 간호사례연구 case study-간호과정 2가지 레포트 (급성신우신염 케이스스터디, ...
요로결석 간호사례연구 case study-간호과정 2가지 레포트 (요로결석 케이스스터디, 요로결석...
독감(인플루엔자) 간호사례연구 case study-간호과정 2가지 레포트 (독감 케이스스터디, 독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