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점 A+ 한국어학개론 과제 [한국어에는 음운 규칙이 있다. 한국어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음운 규칙 중 3가지를 골라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96점 A+ 한국어학개론 과제 [한국어에는 음운 규칙이 있다. 한국어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음운 규칙 중 3가지를 골라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평폐쇄음화
2) 장애음 뒤 경음화
3) 장애음의 비음화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뺀 나머지 장애음은 같은 조음위치의 평폐쇄음인 /ㄱ, ㄷ, ㅂ/로 바뀌는 현상을 평폐쇄음화 현상이라고 한다. 평폐쇄음화가 일어날 수 있는 특정한 환경이 있는데 이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뒤따르는 모음이나 자음이 없는 경우
삵→[삭] 겉→[걷] 앞→[압]
(2) 뒤에 자음이 뒤따르는 경우
닦+고→[닥꼬] 밭+도→[받또] 읊+고→[읍꼬]
(3) 뒤에 모음이 뒤따르는 경우
부엌안→부억안→[부어간]
맛없다→맏업다→[마덥다]
값있는→갑있는→[가빈는]
또한 ㉡의 제약으로 인해 종성에 자음이 두 개 겹칠 경우, 그 중 하나가 탈락하는 자음군 단순화 현상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위 (2)번의 ‘읊고’는 평폐쇄음화, 경음화, 자음군 단순화가 차례대로 적용된 경우이며 이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읊+고→
  • 가격2,5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25.01.17
  • 저작시기202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22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