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개론] Atkinson과 Shiffrin(1968)의 중다기억모델에 대해서 배운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장기기억을 만들 수 있는 자신만의 기억 전략을 학생의 경험적 예시를 바탕으로 제시해보세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학개론] Atkinson과 Shiffrin(1968)의 중다기억모델에 대해서 배운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장기기억을 만들 수 있는 자신만의 기억 전략을 학생의 경험적 예시를 바탕으로 제시해보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Atkinson과 Shiffrin(1968)의 중다(衆多)기억모형(multi-store model)
1) 감각기억(sensory memory)
2) 작업기억(working memory)
3) 장기기억(long-term momory)

2. 장기기억을 만들 수 있는 자신만의 기억 전략을 학생의 경험적 예시를 바탕으로 제시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환된 것이다. 이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제한적이고 기억할 수 있는 시간도 한정적이기 때문에 장기기억으로 넘어가지 못한 기억은 망각된다. 장기기억은 용량에 제한이 없고 영구적인 기억창고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과거 경험과 지식 중에 감정과 연관된 기억을 오랫동안 저장한다. 또한 장기기억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기억을 분류하는 방식의 기틀을 닦은 인지신경심리학자인 엔델 툴빙(Endel Tulving b.1927~)에 따르면 장기기억은 의미기억, 일화기억, 절차기억으로 분류된다. 의미기억은 일반적인 지식에 관련된 기억으로 외부로부터 받아들이는 다양한 대상이나 현상 등에 관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동물이름이나 음식종류, 사회적 관습 등 다양한 분야의 이론들을 알고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 일화기억은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기억으로 단순히 사실에 의한 정보뿐 아니라 시간이나 공간 등의 맥락을 포함하는 자전적 사건에 대한 기억이다. 예를 들면 유년시절에 집 앞에서 강아지와 놀았던 기억, 친구와 놀이터에 갔던 일, 동생과 집 마당에서 싸우던 일 등으로 말할 수 있다. 절차기억은 반복을 통해 몸에 습득된 기억으로 운동이나 악기, 기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Atkinson과 Shiffrin(1968)의 중다기억모델에 대해서 배운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장기기억을 만들 수 있는 자신만의 기억 전략을 학생의 경험적 예시를 바탕으로 제시해 보았다. 기억이란 어떠한 자극이나 경험, 학습에 의한 정보를 다시 회상하거나 인식하는 것을 말하며, 인간의 각종 정보처리가 일어나는 마음의 자리인 동시에 그 정보가 표상으로 저장되는 기능적 구조이다. 많은 연구자들은 인간이 기억을 컴퓨터의 메모리처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의식적으로 빼낼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1960년대 컴퓨터 모델에 기초를 둔 기억에 관한 초기 이론이 등장하였다. 이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이론이Atkinson과 Shiffrin의 정보처리 이론과 Modal 모델(Modal Model)으로 기억 및 망각 이론에 가장 영향력을 미쳤다.
참고문헌
신명희 외 8인, 교육심리학, 학지사, 2014.
박희경 (2001). 기억이론과 신경생리학적 자료. 한국심리학회지:일반.
이창원, 『현대 심리학 인간심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2006.
손현기, 「기억의 불안 정서에 대하여-본인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18.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5.01.18
  • 저작시기202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22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