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장. 플라톤의 행복론
3장.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4장. 스토아 학파의 행복론
5장. 에피쿠로스의 행복론
참고문헌
3장.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4장. 스토아 학파의 행복론
5장. 에피쿠로스의 행복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다. 고통에서 해소되는 것이 쾌락이라면 무엇이 고통인지를 분명히 알아야 한다. 에피쿠로스는 인간에게는 2개의 육체적 고통과 2개의 정신적 고통이 있다고 말한다. 육체적 고통에는 결핍과 질병이 있으며 정신적 고통에는 신에 대한 두려움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육체적 고통은 필수적이고 소박한 것들로 해결할 수 있고 정신적 고통은 헛된 생각과 믿음을 버리면 해결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자연스럽지 않고 필수적이지도 않은 욕구도 제거해야 한다. 동적인 쾌락에 쏟을 에너지를 사랑과 우정, 정의로운 일에 쏟는다면 인간은 비로소 완전한 행복을 누릴 수 있다.
감상과 해석) 에피쿠로스의 행복론은 마치 공식과 같이 간결하다. 동적인 쾌락이 아닌 정적인 쾌락을 추구하고 육체적·정신적 고통을 해결하며 중요하지 않은 욕구를 버리는 것만으로도 인간은 누구나 행복해질 수 있다. 에피쿠로스의 주장대로 많은 사람들은 동적인 쾌락에 매몰되어 있다. 실제로 배고픔이라는 고통은 김밥 한 줄로도 충분히 해소될 수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더 좋은 음식을 먹으면 마치 쾌락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착각한다. 이러한 생각은 만족의 기준을 높일 뿐이다. 고통에서 벗어나는 순간이 곧 행복임을 깨닫는다면 인간은 불필요한 생각과 행동을 멈출 수 있다. 특히 더 이상은 소비의 노예가 아닌 삶을 살 수 있다. 수많은 사람들은 의식주를 해결함에 있어 더 좋은 것을 추구한다. 기업에서는 교묘한 마케팅을 통해 사람들의 허영심을 자극한다. 에피쿠로스의 가르침에 따르면 허영심은 결코 충족될 수 없으며 이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행복해질 수 없다. 나는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에피쿠로스의 가르침을 망각한 채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로 인해 많은 이들이 불행에 빠져 있다고 생각한다. 나 역시 예외는 아니다. 행복의 목표를 너무 높이 설정하면 그것을 이루지 못하는 좌절감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행복의 목표가 동적인 쾌락이 아닌 정적인 쾌락으로 설정된다면 인간은 누구나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정적인 쾌락이 달성되는 순간 인간은 고통으로부터 해소될 수 있으며 그것이 곧 행복인 것이다. 동적인 쾌락은 채울 수 없는 욕망의 다른 말이라고 생각한다. 욕망을 행복이라 오인하여 불행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 아닌 진정한 쾌락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것이 행복을 위한 길이라 확신한다.
참고문헌
- 이준석 외, 『행복에 이르는 지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감상과 해석) 에피쿠로스의 행복론은 마치 공식과 같이 간결하다. 동적인 쾌락이 아닌 정적인 쾌락을 추구하고 육체적·정신적 고통을 해결하며 중요하지 않은 욕구를 버리는 것만으로도 인간은 누구나 행복해질 수 있다. 에피쿠로스의 주장대로 많은 사람들은 동적인 쾌락에 매몰되어 있다. 실제로 배고픔이라는 고통은 김밥 한 줄로도 충분히 해소될 수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더 좋은 음식을 먹으면 마치 쾌락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착각한다. 이러한 생각은 만족의 기준을 높일 뿐이다. 고통에서 벗어나는 순간이 곧 행복임을 깨닫는다면 인간은 불필요한 생각과 행동을 멈출 수 있다. 특히 더 이상은 소비의 노예가 아닌 삶을 살 수 있다. 수많은 사람들은 의식주를 해결함에 있어 더 좋은 것을 추구한다. 기업에서는 교묘한 마케팅을 통해 사람들의 허영심을 자극한다. 에피쿠로스의 가르침에 따르면 허영심은 결코 충족될 수 없으며 이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행복해질 수 없다. 나는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에피쿠로스의 가르침을 망각한 채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로 인해 많은 이들이 불행에 빠져 있다고 생각한다. 나 역시 예외는 아니다. 행복의 목표를 너무 높이 설정하면 그것을 이루지 못하는 좌절감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행복의 목표가 동적인 쾌락이 아닌 정적인 쾌락으로 설정된다면 인간은 누구나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정적인 쾌락이 달성되는 순간 인간은 고통으로부터 해소될 수 있으며 그것이 곧 행복인 것이다. 동적인 쾌락은 채울 수 없는 욕망의 다른 말이라고 생각한다. 욕망을 행복이라 오인하여 불행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 아닌 진정한 쾌락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것이 행복을 위한 길이라 확신한다.
참고문헌
- 이준석 외, 『행복에 이르는 지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추천자료
행복에이르는지혜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행복에이르는지혜 기말시험과제물)교재 2장부터 10장 중에서 두 장...
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기말과제물 행복에이르는지혜)교재를 기준으로 하여 2,3,4,5장을 공...
문화교양 4 행복에이르는지혜 교재를 기준으로 하여 2,3,4,5장을 공부하고 각 장마다 A4지 1...
2024년 1학기 행복에이르는지혜 기말시험 과제물(교재 2,3,4,5장 요약 및 감상)
행복에이르는지혜 2024년 1학기 기말] 교재를 기준으로 하여 2,3,4,5장을 공부하고 각 장마다...
행복에이르는지혜 2025년 1학기 방송통신대 기말과제물)2025년 1학기 방송통신대 기말과제물)...
[행복에이르는지혜 기말 2025년 1학기] 교재를 기준으로 하여 2, 3, 4, 5, 6, 9, 10장을 공부...
2025년 1학기 행복에이르는지혜 기말시험 과제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