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분류학] 식물분류 형질의 종류와 설명을 기술하고 각 분류형질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기술하시오. 쌍자엽식물 1종, 단자엽식물 1종을 선정하여 각 식물의 영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물분류학] 식물분류 형질의 종류와 설명을 기술하고 각 분류형질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기술하시오. 쌍자엽식물 1종, 단자엽식물 1종을 선정하여 각 식물의 영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식물분류 형질의 종류 및 장단점
1) 영양분류형질
2) 생식분류형질
3) 영양분류형질과 생식분류형질의 장단점

2.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의 영양과 생식형질 비교
1) 쌍자엽식물 : 개망초
2) 단자엽식물 : 왕바랭이
3) 차이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건과, 낭과, 영과 등으로 구분되는데 왕바랭이의 열매는 영과이다. 왕바랭이 외에도 벼과식물들과 귀리, 옥수수 등의 열매가 대표적인 영과에 해당한다. 왕바랭이는 주로 가축의 먹이로 활용된다. 한방에서는 우근초라 불리며 해열 및 해독 기능과 풍습을 몰아내는 효능을 인정받고 있다.
3) 차이점
앞서 쌍자엽식물 개망초와 단자엽식물 왕바랭이의 영양성질과 생식형질을 구분하여 살펴봤다. 개망초는 국화강에 속하는 식물이며 왕바랭이는 닭의장풀아강에 속한다. 영양성질 측면에서 개망초와 왕바랭이는 뿌리와 줄기가 동일한 형태이다. 두 식물 모두 수염뿌리를 가졌으며 지상부 줄기는 곧은 줄기이고 지하부 줄기는 근경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잎의 모양에서 두 식물은 차이가 났다. 개망초의 엽신은 난형 또는 도란형, 피침형인 반면 왕바랭이의 엽신은 선형이다. 개망초의 엽병(잎자루)는 긴 달걀모양으로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가 있고 탁엽(턱잎)은 난상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왕바랭이의 엽초는 좌우로 편평하며 구부근처에는 긴 털이 있고 등쪽에 용골이 생긴다.
생식형질 측면에서 개망초는 6∼7월경에 꽃이 피고 꽃받침에는 흰색 털이 있으며 꽃잎은 이판화에 속한다. 개망초는 5개의 수술이 1개의 암술을 감싸고 있으며 화서는 무한화서 중 두상화서이다. 개망초의 열매는 건조폐과 중 수과에 해당한다. 왕바랭이는 8∼9월경에 꽃이 피고 줄기 끝에 수상화서가 달린다. 포영은 피침형이며 호형은 넓은 피침형이다. 왕바랭이의 열매는 개망초와 같은 건조폐과이지만 수과가 아닌 영과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개망초와 왕바랭이는 영양형질 측면에서 뿌리와 줄기는 유사성을 보이나 잎의 형질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생식형질 측면에서는 꽃과 열매 모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앞서 영양형질분류와 생식형질분류의 장단점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생식형질 측면에서 차이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는 생식형질이 영양형질에 비해 종 이상의 분류군 동정에 더욱 적합한 이유일 것이다.
Ⅲ. 결론
인간에게 식물은 생존을 위한 식량이자 약재, 건축재, 옷감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생물자원으로서 국가 발전의 새로운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식물분류학은 식물에 대한 인간의 이해를 돕는 학문이며 동시에 식물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 식물학의 대가로 알려진 크론퀴스트는 분류학에 대해 생물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체계를 세운 학문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번 보고서를 작성하며 나는 식물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는 기회를 가졌다. 일상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전문용어를 바탕으로 식물의 뿌리, 줄기, 잎, 꽃, 열매를 세부적으로 살펴봤으며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 중 하나씩을 선택하여 비교해보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영양성질과 생식형질의 차이도 이해할 수 있었고 생식형질분류가 식물을 좀 더 세부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최근 인류는 기후변화라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많은 사람들은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주로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의 생존을 위협한다. 기후변화는 종의 다양성을 위협하고 있다. 오래 전부터 종의 다양성을 연구해온 식물분류학도 기후변화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다. 지금 우리에게 친숙한 식물도 언젠가는 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곁에 있는 식물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 이병윤·김진석·정규영·김종환(2018). 식물분류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개망초.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txt (검색일: 2023.9.19.)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왕바랭이.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 (검색일: 2023.9.20.)
- 유걸. 망초/개망초 - 잡초도감3. 자닮, 2020년 2월 10일자. https://www.jadam.kr/news/articleView.html?idxno=13745 (검색일: 2023.9.19.)
- 유걸. 왕바랭이 - 잡초도감 39. 자닮, 2021년 11월 29일자. http://m.jadam.kr/news/articleView.html?idxno=15063 (검색일: 2023.9.20.)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5.01.28
  • 저작시기202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30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