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제가 다시 한국어 가격표현을 읽을 테니 여러분을 따라서 읽어보세요.
[학생] 네
[교사] [학생] (교사가 한국어 가격표현을 먼저 읽으면 학생들은 따라서 읽는다.)
[교사] 그러면 노트에 지금 배운 한국어 가격표현을 직접 써보도록 합니다.
한국어교재
노트
연습
(20분)
[학생] 네
(학생들은 노트에 한국어 가격표현을 직접 쓴다.)
한국어교재
노트
활용
(15분)
[교사] 그러면 옆의 학생과 짝을 이루어서 앞서 연습한 대화를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학생] 네
(옆의 학생과 짝을 이루어서 한국어 교재를 활용하여 대화를 익힌다.)
[대화]
- 가게주인 : 안녕하세요? 무엇을 주문하시겠습니 까?
- 손님 : 이 음식점에서 가장 판매가 잘되는 음식이 무엇인가요?
- 가게주인 : 육개장입니다. 저희 음식점은 육개장 전문음식점으로 육개장의 종류에는 일반 육개장, 사골 육개장, 순두부 육개장 등이 있습니다. 그 밖에 여름 을 맞이하여 물냉면과 비빔냉면도 있 습니다.
- 손님 : 일반 육개장 가격은 얼마인가요?
- 가게주인 : 10,000원입니다.
- 손님 : 손두부 육개장은 얼마인가요?
- 가게주인 : 12,000원입니다.
- 손님 : 일반 육개장으로 주문하겠습니다. 주문한 음식이 나오는데 얼마나 시간이 걸리나 요?
- 가게주인 : 약 10분 정도 걸립니다.
- 손님 : 카드로 결제하겠습니다. 영수증도 부탁드 립니다.
- 가게주인 : 결제가 되었습니다. 자리에 계시면 곧 육개장을 가져다 드리겠습니다. 그리 고, 반찬과 물은 셀프이며, 식탁 옆에 수저와 젓가락, 티슈가 구비되어 있습 니다.
- 손님 : 감사합니다.
한국어교재
녹음기
동영상
활용
(15분)
[교사] 짝을 이룬 학생과 가게손님의 말하기 역할과 손님의 말하기 역할을 바꾸어서 말하기 연습을 합니다. 그리고, 녹음기가 준비된 학생은 대화내용을 녹음하여 대화내용을 확인합니다.
[학생] 네
(짝과 가게주인과 손님의 말하기 역할을 바꾸어서 말하기 연습을 하고, 그 대화내용을 녹음기에 녹음한 후 녹음내용을 들어본다.)
[교사] 말하기 연습을 하고 대화내용을 직접 들어보니 어떤가요? 말하기 실력이 증가했나요?
[학생] 아직까지도 한국어 말하기가 미숙한 것 같아요. 더 연습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교사] 한국어 말하기에서 어떤 부분이 여전히 어려우신가요?
[학생] 앞서 선생님이 교수하신 한국어 숫자표현이 많이 헷갈립니다. 그리고, 직접 가게에 가서 음식을 주문할 경우에 수업시간에 배운 학습내용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여전히 자신감이 없습니다.
[교사] 한국어 역시 학생들에게는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이기 때문에 한국어를 배운데 상당히 어려움 문제가 있지만, 지속적으로 연습을 한다면 이러한 어려움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 배운 대화내용을 직접 현장에서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학생] 네
[교사] 그러면 수업시간 시작에서 본 동영상을 재시청하면서 오늘 배운 말하기 대화를 익히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어교재
녹음기
동영상
활용
(15분)
[학생] 네
[교사] (동영상을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마무리
(5분)
[교사] 오늘 수업을 마무리하겠습니다. 오늘 배운 대화내용을 직접 현장에서 활용하고 이에 대한 소감문을 다음시간까지 써오세요. 그리고, 한국어 숫자표현을 더 익히기 위해서 앞서 제시한 한국어 숫자표현을 다음시간까지 노트에 10번씩 써오시길 바랍니다.
[과제내용]
- 10원 →‘십원’. 50원 →‘오십원’
- 100원 → ‘백원’, 800원 → ‘팔백원’
- 1,000원 → ‘천원’, 5,000원 → ‘오천원’
- 10,000원 → ‘만원’, 50,000원 → ‘오만원’
- 100,000원 → ‘십만원’
300,000원 → ‘삼십만원’
- 1,000,000원 → ‘백만원’
5,000,000원 → ‘오백만원’
[학생] 네
[교사] [학생] 수업을 마무리한다.
한국어교재
노트
주의사항
- 본 교수-학습 활동의 목표는 일상생활에서 능숙한 한국어 말하기 연습을 수행하는 것에 있다는 점을 인지하여 학생들에게 말하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한다.
- 본 교수- 학습활동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말하기를 녹음한 결과물을 수거하여 학생들의 한국어 말하기에서 어려워하는 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를 차시수업에 반영한다.
-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하면서 배운 학습내용을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현장수업도 차후에 진행한다.
[참고문헌]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외한 표현교육론 강의안
[학생] 네
[교사] [학생] (교사가 한국어 가격표현을 먼저 읽으면 학생들은 따라서 읽는다.)
[교사] 그러면 노트에 지금 배운 한국어 가격표현을 직접 써보도록 합니다.
한국어교재
노트
연습
(20분)
[학생] 네
(학생들은 노트에 한국어 가격표현을 직접 쓴다.)
한국어교재
노트
활용
(15분)
[교사] 그러면 옆의 학생과 짝을 이루어서 앞서 연습한 대화를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학생] 네
(옆의 학생과 짝을 이루어서 한국어 교재를 활용하여 대화를 익힌다.)
[대화]
- 가게주인 : 안녕하세요? 무엇을 주문하시겠습니 까?
- 손님 : 이 음식점에서 가장 판매가 잘되는 음식이 무엇인가요?
- 가게주인 : 육개장입니다. 저희 음식점은 육개장 전문음식점으로 육개장의 종류에는 일반 육개장, 사골 육개장, 순두부 육개장 등이 있습니다. 그 밖에 여름 을 맞이하여 물냉면과 비빔냉면도 있 습니다.
- 손님 : 일반 육개장 가격은 얼마인가요?
- 가게주인 : 10,000원입니다.
- 손님 : 손두부 육개장은 얼마인가요?
- 가게주인 : 12,000원입니다.
- 손님 : 일반 육개장으로 주문하겠습니다. 주문한 음식이 나오는데 얼마나 시간이 걸리나 요?
- 가게주인 : 약 10분 정도 걸립니다.
- 손님 : 카드로 결제하겠습니다. 영수증도 부탁드 립니다.
- 가게주인 : 결제가 되었습니다. 자리에 계시면 곧 육개장을 가져다 드리겠습니다. 그리 고, 반찬과 물은 셀프이며, 식탁 옆에 수저와 젓가락, 티슈가 구비되어 있습 니다.
- 손님 : 감사합니다.
한국어교재
녹음기
동영상
활용
(15분)
[교사] 짝을 이룬 학생과 가게손님의 말하기 역할과 손님의 말하기 역할을 바꾸어서 말하기 연습을 합니다. 그리고, 녹음기가 준비된 학생은 대화내용을 녹음하여 대화내용을 확인합니다.
[학생] 네
(짝과 가게주인과 손님의 말하기 역할을 바꾸어서 말하기 연습을 하고, 그 대화내용을 녹음기에 녹음한 후 녹음내용을 들어본다.)
[교사] 말하기 연습을 하고 대화내용을 직접 들어보니 어떤가요? 말하기 실력이 증가했나요?
[학생] 아직까지도 한국어 말하기가 미숙한 것 같아요. 더 연습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교사] 한국어 말하기에서 어떤 부분이 여전히 어려우신가요?
[학생] 앞서 선생님이 교수하신 한국어 숫자표현이 많이 헷갈립니다. 그리고, 직접 가게에 가서 음식을 주문할 경우에 수업시간에 배운 학습내용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여전히 자신감이 없습니다.
[교사] 한국어 역시 학생들에게는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이기 때문에 한국어를 배운데 상당히 어려움 문제가 있지만, 지속적으로 연습을 한다면 이러한 어려움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 배운 대화내용을 직접 현장에서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학생] 네
[교사] 그러면 수업시간 시작에서 본 동영상을 재시청하면서 오늘 배운 말하기 대화를 익히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어교재
녹음기
동영상
활용
(15분)
[학생] 네
[교사] (동영상을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마무리
(5분)
[교사] 오늘 수업을 마무리하겠습니다. 오늘 배운 대화내용을 직접 현장에서 활용하고 이에 대한 소감문을 다음시간까지 써오세요. 그리고, 한국어 숫자표현을 더 익히기 위해서 앞서 제시한 한국어 숫자표현을 다음시간까지 노트에 10번씩 써오시길 바랍니다.
[과제내용]
- 10원 →‘십원’. 50원 →‘오십원’
- 100원 → ‘백원’, 800원 → ‘팔백원’
- 1,000원 → ‘천원’, 5,000원 → ‘오천원’
- 10,000원 → ‘만원’, 50,000원 → ‘오만원’
- 100,000원 → ‘십만원’
300,000원 → ‘삼십만원’
- 1,000,000원 → ‘백만원’
5,000,000원 → ‘오백만원’
[학생] 네
[교사] [학생] 수업을 마무리한다.
한국어교재
노트
주의사항
- 본 교수-학습 활동의 목표는 일상생활에서 능숙한 한국어 말하기 연습을 수행하는 것에 있다는 점을 인지하여 학생들에게 말하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한다.
- 본 교수- 학습활동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말하기를 녹음한 결과물을 수거하여 학생들의 한국어 말하기에서 어려워하는 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를 차시수업에 반영한다.
-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하면서 배운 학습내용을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현장수업도 차후에 진행한다.
[참고문헌]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외한 표현교육론 강의안
추천자료
한국어 말하기 교육 시 TTT교수법을 활용할 때 PPP교수법을 활용한 교육과 어떻게 다른지 각 ...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한국어 말하기 교육시 TTT교육법을 활용할때 PPP교수법을 활...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한국어 말하기 교육시 TTT교육법을 활용할때 PPP교수법을 활용...
한국어 말하기 교육 시 TTT교수법을 활용할 때 PPP교수법을 활용한 교육과 어떻게 다른지 각 ...
말하기 수업에서 TTT 교수법과 PPP 교수법 비교 대조
[한국어교육학개론 4학년 공통] 문법 교수 모형 중 PPP 모형과 TTT 모형을 설명하시오
(한국어교육학개론 4) 문법 교수 모형 중 PPP 모형과 TTT 모형을 설명하시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표현교육론 ) 한국어 말하기 교육 시 TTT교수법을 활용할 때 PPP교수법을...
한국어표현교육론 ) 말하기 수업의 단계와 말하기 활동의 유형을 참고하여 초급과 중급 말하...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반영된 중심 교수법의 특징을 자세히 설명하고, 효율적인 말하기 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