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제주도문화][제주시][제주]제주도(제주지역)의 새시풍속, 제주도(제주지역)의 향토음식, 제주도(제주지역)의 하천, 제주도(제주지역)의 표해록, 제주도(제주지역)의 기생식물, 제주도(제주지역)의 섬 고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도][제주도문화][제주시][제주]제주도(제주지역)의 새시풍속, 제주도(제주지역)의 향토음식, 제주도(제주지역)의 하천, 제주도(제주지역)의 표해록, 제주도(제주지역)의 기생식물, 제주도(제주지역)의 섬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제주도(제주지역)의 새시풍속
1. 1월 1일
2. 2월
3. 3월
4. 5월 5일
5. 8월 1일
6. 8월 15일
7. 10월
1) 집 이는 일
2) 대액막이 때
8. 12월 그믐날 밤

Ⅱ. 제주도(제주지역)의 향토음식
1. 제주도의 전통음식
1) 곤밥
2) 갈치호박죽
3) 전복죽
4) 빙떡
5) 옥돔구이
2. 제주특색(별미)음식
1) 꿩메밀국수
2) 소라모듬
3) 오분자기 솥밥
4) 흑돼지불고기
3. 제주의 향토음식
1) 감제떡
2) 콕국
3) 사발밥
4) 미역새국
6) 빅개회
7) 우미

Ⅲ. 제주도(제주지역)의 하천
1. 효돈천
2. 산지천
3. 한천

Ⅳ. 제주도(제주지역)의 표해록

Ⅴ. 제주도(제주지역)의 기생식물
1. 으름난초 Galeoa septentrinalis Reichb. fil
2. 참나무겨우살이 Laranthus yadorik Sieb
3. 붉은 겨우살이 Viscumalbum var
4. 동백나무겨우살이 Pseudixus
5. 야고 Aeginetia indica L
6. 초종용 Orobanch oerulescons
7. 새삼 Cuscuta japonica Chois

Ⅵ. 제주도(제주지역)의 섬

참고문헌

본문내용

급 어종으로 제주에서는 명절날이나 제사때면 이 옥돔구이를 제삿상에 올리는 귀한 음식으로 전해왔다.
옥돔구이는 옥돔의 배를 갈라 넓적하게 펴서 제주의 바닷바람으로 약간 시들하게 해볕에 반쯤 말렸다가 구어 먹는데 담백하고 고소한 맛이 일품이며 제주여행 선물용으로도 인기가 높다.
또한 옥돔과 미역을 넣어 끊인 옥돔미역국과 신선한 옥돔살을 얇게 썰어 식초와 함께 양념을 한 옥돔물회도 진미인데 비린맛이 전혀 없고 시원하고 담백한 맛이 해장국으로도 최고이다.
♣ 성게국(구살국) : 성게는 5월말에서 6월사이의 제주바다에서 많이 잡히며 이 무렵에 제주해녀들은 바위틈에서 살이 오르고 맛있는 성게를 따낸다. 제주에서 자연서식되는 성게는 보라성게로서 껍질을 깨어보면 노란살이 들어 있으며 달콤한 맛이 있고 단백질과 비타민, 철분이 많아서 건강식으로도 좋다. 제주 사람들은 성게를 \'구살\'이라고도 불러 성게국을 구살국이라고도 부른다. 성게국은 미역과 함께 참기름에 살짝 볶은 오분자기를 넣고 국을 끓이며 소금으로 간을 하면 성게알은 노란빛을 더하며 순두부처럼 엉키어 달작지근 하면서 담백한 맛이 일품이다.
2. 제주특색(별미)음식
1) 꿩메밀국수
영양이 좋아 산후 음식으로 먹기도 했던 꿩메밀국수. 계절적으로 별미이다. 제주에서는 옛부터 메밀이나 차조를 이용한 음식들을 많이 만들어 먹었으며 특히 메밀은 영양이 좋아 산후 음식으로 미역국보다 메밀국수를 먼저 먹기도 했었다. 이런 메밀과 꿩고기 육수가 어우러져 별미를 내는게 꿩메밀국수이다. 꿩고기 육수에 메밀로 만든 국수를 넣어 끊인후 갖은 양념을 한 것으로 밀가루로 만든 음식에 비해 소화도 잘되며, 담백하여 겨울철 별미로 최고이다. 이외에 꿩요리로서 꿩토렴(샤브샤브), 꿩전골 등도 제주에서 맛볼 수 있는 별식이다.
2) 소라모듬
싱싱한 제주바다에서 채취한 자연산 소라를 맛볼 수 있는 제주, 제주바다에서 채취한 자연산 소라를 이용하여 회, 구이, 죽, 찜 등 소라의 모든 요리를 한번에 맛볼 수 있으며, 오돌오돌 씹히는 맛이 별미이다.
3) 오분자기 솥밥
오분자기를 제주에서는 오분재기 또는 오분자기 등으로 불리워진다. 영양분이 풍부하여 건강식으로 아주 좋은 식품이다. 오분자기는 제주도가 전체의 약 70%를 생산하는 전복과의 패류로서 생산량이 감소 추세에 있는 고급 수산물로 영양분이 풍부하여 건강식으로 아주 좋은 식품이다. 오분자기 돌솥밥은 전복의 새끼격인 오분자기의 오독오독 씹히는 맛과 향긋한 표고버섯 등이 어우러져 특색있는 맛을 낸다.
영양식으로 좋은 오분자기 돌솥밥은 사골육수 국물에 보리콩과 오분자기를 넣어 만드는데 맛의 비결은 갖은 양념을 한 양념간장과 마아가린으로 입맛에 맞게 적당히 넣어 비비면 군침 도는 고소한 냄새가 식욕을 돋군다. 이외에 해물을 넣은 해물돌솥밥 비빔밥도 별미이다.
4) 흑돼지불고기
그실린 도새기, 흑돼지 등 제주의 돼지를 부를 때 붙는 수식어도 다양하다. 오래전 제주에서는 집집마다 돼지를 길러 왔으며, 경조사시에는 집에서 키운 돼지를 잡아 손님들에게 대접하는 풍습이 있었다. 다른 지방의 돼지고기 보다 제주의 돼지고기 맛이 특이하다고 하는 것은 옛부터 집에서 잡을 때 그을리기 때문이다. 제주말로 \"그실린 도새기\"라고 하는데 돼지털을 없앨 때 전초를 이용하여 태워버리기 때문에 전초의 향이 고기속에 배어 맛이 특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주의 토종돼지는 털이 검어 \"흑돼지\"라고 하는데 들에 자연방목을 하기 때문에 돼지비계도 씹는 촉감이 좋을 뿐 아니라 육질은 쫄깃쫄깃하고 영양이 많으며 돼지 특유의 냄새가 나지 않아 일반돼지보다 맛이 고소하다.
제주토종돼지고기에 갖은 양념을 하여 구워낸 불고기나 생고기를 그대로 구워 소금장에 찍어 먹는 그 맛은 담백하고 고소한 맛을 내어 씹을수록 구미가 당기는 독특한 맛을 느낄 수 있다.
3. 제주의 향토음식
1) 감제떡
감제떡\"이란 고구마가루로 만든 떡을 말한다. 겨울에 농·어촌에서는 주로 간식용으로 감제가루(고구마가루)로 떡을 해 먹는다. 보통 이러한 떡은 고구마가루에다 생고구마를 얇게 썰어 넣고 가루와 함께 섞어서 만든 시루떡과 맨가루로만 만든 도래떡의 두 가지가 있음을 볼 수 있다. 고구마가 많이 생산되고 있는 제주도에서는 이러한 감제떡을 겨울철 도민의 시식이 되어 있음이 사실이다. 그밖에 이 고구마가루로 해 먹는 범벅과 조배기가 있는데, 그것은 \"감제범벅\" \"감제조배기\"라고 한다.
2) 콕국
콕\"이란 \"박\"의 제주도 사투리인데, 일면 \"콜락\"이라고도 말한다. \"콕국\"이란 \"박국\"을 가리키는 말이다. 예전에는 해녀들의 뒤웅박으로 쓰기 위해서 많은 박을 가꾸는 것이 풍속처럼 되어 있었으나, 요즘은 박을 심는 데를 좀처럼 볼 수 없게 되어버렸다. 박은 채 굳기 전, 연한 때 따내면 맛있는 국거리가 되며 반찬을 만들어 먹을 수 도 있다. 박국에는 자리젓국물로 끊이면 더욱 맛난 국이 된다. 박을 심는 데는, \"2월에 흙을파고 3월 삼짇날에 심은 박은 하늘에 줄벋어 간다\"는 말이 있고, 또 \"박은 6월 스므날 가마귀 머리만큼 되면 잘 굳는다.\"는 말이 있다.
이러한 말들은 2월달에 흙을 파고 밑거름을 해두었다가 3월 삼짇날에 심은 박은 잘 되어서 그 박줄이 하늘 높이 치솟을 만큼 뻗어가게 되며, 또한 이러한 박줄에서 꽃이 피고 박이 열려서 그 박이 6월 20일에 가마귀 머리만큼의 크기가 되면 그 박은 딴딴히 잘 여문다는 뜻이다. 이렇게 성장한 박을 따 내어 두 쪽 내어 식기로 이용되는 것을 \"콜락박새기\"라고 하며, 또한 이 박의 씨만을 고스란히 빼고 그 씨를 빼면 구멍을 때우고 잠수들의 뒤웅박으로 쓰는 것을 \"태왁박새기\"라고 말한다.
이처럼 박은 옛날 우리 선조들의 일상 생활에서 식용에서부터 식기나 뒤웅박에 이르기까지 여러 모로 쓰여 왔었음을 알 수 있다.
3) 사발밥
제주도의 민속에서 정월 대보름날 집집마다에는 \"사발밥\"을 찌어 보는 점법이 있다. 이렇게 사발밥의 됨됨이를 보아 그 해의 연사와 길흉을 판단하는 것을 \"매점\" 이라고 말한다. 사발밥은 쌀을 씻어 사발에 넣고 이를 다시 솥에 넣어 불을 지펴 밥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밥이 다 된 결과 그 사발 속의 밥의 모양이 가운데가 불룩하면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9.03.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4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