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 리프먼의 다차원적인 사고 세 가지를 제시하고, (2)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다차원적 사고의 예를 각각 제시하시오. (15점)
2. ‘담당교수 홈페이지>자료실>교과논리및논술’에 게시된 교사들의 토의글을 읽고,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 유아’의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상담글을 작성하시오. 상담글에는 (1)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 유아에 대한 학부모의 걱정 공감, (2)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 유아의 다양한 놀이 특성, (3)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문제 상황인지에 대한 본인의 생각, (4)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 유아에 대한 교사의 지원 계획이 순서대로 모두 들어가도록 하시오. (35점)
I. 서론
II. 본론
1.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 유아’의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상담 글
III. 결론
IV. 참고문헌
2. ‘담당교수 홈페이지>자료실>교과논리및논술’에 게시된 교사들의 토의글을 읽고,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 유아’의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상담글을 작성하시오. 상담글에는 (1)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 유아에 대한 학부모의 걱정 공감, (2)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 유아의 다양한 놀이 특성, (3)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문제 상황인지에 대한 본인의 생각, (4)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 유아에 대한 교사의 지원 계획이 순서대로 모두 들어가도록 하시오. (35점)
I. 서론
II. 본론
1.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 유아’의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상담 글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걸어보고, 부모와 자녀 1:1 놀이시간을 자주 가져주는 것이 심리 안정에 도움이 됩니다. 내성적인 성격인 경우, 비슷한 성향의 친구를 집으로 초대하여 어울릴 기회를 만들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자기애가 강한 아이의 경우 다른 또래도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알려주고 우정을 강조하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유아의 놀이는 참여하는 유아의 수보다는 각 유아가 놀이에 대한 몰입도와 즐거움을 살피고, 특히 혼자 놀이하는 유아를 관찰하여 유아의 성향을 파악하고 가정과 함께 지원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입니다. 성장하는 과정에서의 유아에게 조급한 시선을 대신 여유를 가지고 유아를 믿어주고 지원할 때 건강하게 발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들의 유아들이 해결할 수 있다는 마음으로 따뜻하게 바라보며 발달을 돕도록 하겠습니다.
III. 결론
지금까지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 유아’의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상담 글을 작성하였다.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는 유아보다는 참여하지 않는 소수의 유아가 하는 혼자 놀이를 사회성의 부족 등의 시선으로 부정적으로 보아왔기 때문에 학부모나 교사도 고민의 대상이기도 하다. 그러나 놀이는 즐겁고 자발적인 행위로 그 놀이가 몰입되고 즐거웠다면 혼자 놀이라 할지라도 긍정적인 의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놀이와 소수의 놀이라는 유아의 수가 주는 의미에서의 평가보다는 유아가 놀이로부터 경험하는 의미를 파악하고 그것에 적합한 개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학부모에게 제공되는 상담의 글에는 다수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의 유아를 위한 학부모의 걱정에 대한 공감과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유아의 놀이 특성, 그리고 혼자 놀이가 문제 상황이 되지 않음에 대해 연구들로 제시하며 교사의 생각을 정리하였다. 또한, 혼자 놀이가 즐거운 몰입의 의미가 아닌 쓸쓸한 혼자만의 놀이가 되었을 경우 교사의 지원과 지도계획을 작성하였다.
유아에게 놀이는 가장 즐거운 행위이며 놀이를 통해 성장하고 발달해 나가는 중요한 요소이다. 과제를 통해 유아의 혼자 놀이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고민을 통해 보다 질 좋은 유아교육 실천할 수 있는 팁을 얻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IV. 참고문헌
유주연·이승연·이순배(2021). 「교과논리 및 논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교과논리 및 논술 방송대 멀티미디어 강의.
토론글 - 다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유아들은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가?.
유아의 놀이는 참여하는 유아의 수보다는 각 유아가 놀이에 대한 몰입도와 즐거움을 살피고, 특히 혼자 놀이하는 유아를 관찰하여 유아의 성향을 파악하고 가정과 함께 지원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입니다. 성장하는 과정에서의 유아에게 조급한 시선을 대신 여유를 가지고 유아를 믿어주고 지원할 때 건강하게 발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들의 유아들이 해결할 수 있다는 마음으로 따뜻하게 바라보며 발달을 돕도록 하겠습니다.
III. 결론
지금까지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 유아’의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상담 글을 작성하였다.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는 유아보다는 참여하지 않는 소수의 유아가 하는 혼자 놀이를 사회성의 부족 등의 시선으로 부정적으로 보아왔기 때문에 학부모나 교사도 고민의 대상이기도 하다. 그러나 놀이는 즐겁고 자발적인 행위로 그 놀이가 몰입되고 즐거웠다면 혼자 놀이라 할지라도 긍정적인 의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놀이와 소수의 놀이라는 유아의 수가 주는 의미에서의 평가보다는 유아가 놀이로부터 경험하는 의미를 파악하고 그것에 적합한 개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학부모에게 제공되는 상담의 글에는 다수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의 유아를 위한 학부모의 걱정에 대한 공감과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유아의 놀이 특성, 그리고 혼자 놀이가 문제 상황이 되지 않음에 대해 연구들로 제시하며 교사의 생각을 정리하였다. 또한, 혼자 놀이가 즐거운 몰입의 의미가 아닌 쓸쓸한 혼자만의 놀이가 되었을 경우 교사의 지원과 지도계획을 작성하였다.
유아에게 놀이는 가장 즐거운 행위이며 놀이를 통해 성장하고 발달해 나가는 중요한 요소이다. 과제를 통해 유아의 혼자 놀이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고민을 통해 보다 질 좋은 유아교육 실천할 수 있는 팁을 얻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IV. 참고문헌
유주연·이승연·이순배(2021). 「교과논리 및 논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교과논리 및 논술 방송대 멀티미디어 강의.
토론글 - 다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유아들은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가?.
추천자료
교과논리및논술 ) (1) 리프먼의 다차원적인 사고 세 가지를 제시하고, (2) 본인이 일상에서 ...
2023년 1학기 교과논리및논술 기말시험 과제물(리프먼의 다차원적인 사고 세 가지 등)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교과논리및논술 기말시험과제물)리프먼의 다차원적인 사고 세 가지...
교과논리및논술
방송대 교과논리및논술
교과논리및논술 2023 기말] 1. (1) 리프먼의 다차원적인 사고 세 가지를 제시하고, (2) 유아...
2023 교과논리및논술 기말] 1. 리프먼의 다차원적인 사고 세 가지를 제시하고, 유아들이 가지...
교과논리논술 (1리프먼의 다차원적인 사고 세 가지를 제시하고, (2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다차...
리프먼의 다차원적인 사고 세 가지를 제시하고,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다차원적 사고의 예를 ...
교과논리및논술 게시된 교사들의 토의글을 읽고, ‘다수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소수 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