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과제명>
1. 지구상에서의 물의 순환과정과 우리나라의 강우특성 및 유출특성을 말하라.
2. 우리나라 전체 및 학생 거주지역(시군 또는 광역시 단위 기준)의 수자원 부존량 및 이용현황을 비교 설명하라. (참고문헌 참조)
3.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생활환경기준)중 매우 좋음(Very Good) 등급에 대한 수질기준, 수질상태 및 생물학적 특성을 설명하라.
*참고문헌
1. 지구상에서의 물의 순환과정과 우리나라의 강우특성 및 유출특성을 말하라.
2. 우리나라 전체 및 학생 거주지역(시군 또는 광역시 단위 기준)의 수자원 부존량 및 이용현황을 비교 설명하라. (참고문헌 참조)
3.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생활환경기준)중 매우 좋음(Very Good) 등급에 대한 수질기준, 수질상태 및 생물학적 특성을 설명하라.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태계이다. 여과, 살균, 침전 등 일반적인 정수처리로 생활 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가장 좋은 수질 수준인 ‘매우 좋음’은 용존산소가 풍부하고, 오염물질이 없는 청정상태의 생태계이며, 여과, 살균 등 간단한 정수 처리 후에 생활요수로 사용을 할 수 있다. 정수 처리를 거친 깨끗한 물로, 수질의 좋은 수준의 물은 자연 상태 중에 있는 하천 수 중에서 생태계가 형성이 되어 있는 물이다. ‘약간 좋음’의 물은 약간의 오염물질은 있지만, 용존산소가 많은 상태의 다소 좋은 생태계이며, 여과, 살균, 침전 등 일반적인 정수 처리 후에 생활용수 또는 수영용수로 사용할 수 있어 음용은 어렵지만, 인체에 무해한 용수이다.
3) 생물학적 특성
<표2>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
생물등급
생물 지표종
서식지 및 생물 특성
매우좋음~좋음
산천어, 열목어, 금강모치, 버들치 등
1) 물이 매우 맑고, 유속이 빠르다.
2) 바닥은 주로 바위, 자갈로 구성되어 있다.
3) 부착 조류가 매우 적다
좋음~보통
쉬리, 은어, 쏘가리 등
1) 물이 맑은 편이고, 유속은 보통이다.
2) 바닥은 주로 자갈과 모래로 구성된다.
3) 부착 조류가 약간 있다.
보통~약간나쁨
피라미, 끄리, 모래무지, 참붕어 등
1) 물이 약간 혼탁하고, 유속은 약간 느리다.
2) 바닥은 주로 잔자갈, 모래로 구성된다.
3) 부착 조류가 녹색을 띠며 많다.
약간나쁨~매우나쁨
붕어, 잉어, 미꾸라지, 메기 등
1) 물이 매우 혼탁하며, 유속은 느리다.
2) 바닥은 주로 모래, 실트로 구성되고, 대체로 검은색을 띤다.
3) 부착 조류가 갈색 또는 회색을 띠고 매우 많다.
일반적으로 생물종은 환경에 적응을 해서 고유한 환경조건에서 서식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준이 되는 어류 또는 저서생물과도 같은 수생 생물로부터 하천과 호수의 수질오염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가 되는 종을 ‘지표종’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지표종을 활용하면, 특정 지역의 환경 상태 파악이 가능하다. 한국의 하천 또는 저수지 수질의 급수 판별은 매우 좋음, 좋음, 약간 좋음, 보통, 약간 나쁨, 나쁨, 매우 나쁨의 7개의 등급으로 구분이 된다. 그리고 환경부 지정 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생물등급을 크게 4단계로 나누고 있다. 위의 <표2>는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이다.
Ⅲ. 결론
본론에서는 강우특성, 유출특성에 대해서 논했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서 강수량의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지리적인 영향으로 인해서 물이 쉽게 범람하지만, 필요할 때는 물이 적어서 가뭄을 겪기도 한다.
인천이라는 지역은 전국 평균 1일 수요량보다 많은 양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하수와 담용수 등의 대체자원으로 인해서 부족함이 없는 수자원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과제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질 평가 항목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국립생태원(https://www.nie.re.kr/)
2)환경부, 2017 먹는물 수질기준 해설서
가장 좋은 수질 수준인 ‘매우 좋음’은 용존산소가 풍부하고, 오염물질이 없는 청정상태의 생태계이며, 여과, 살균 등 간단한 정수 처리 후에 생활요수로 사용을 할 수 있다. 정수 처리를 거친 깨끗한 물로, 수질의 좋은 수준의 물은 자연 상태 중에 있는 하천 수 중에서 생태계가 형성이 되어 있는 물이다. ‘약간 좋음’의 물은 약간의 오염물질은 있지만, 용존산소가 많은 상태의 다소 좋은 생태계이며, 여과, 살균, 침전 등 일반적인 정수 처리 후에 생활용수 또는 수영용수로 사용할 수 있어 음용은 어렵지만, 인체에 무해한 용수이다.
3) 생물학적 특성
<표2>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
생물등급
생물 지표종
서식지 및 생물 특성
매우좋음~좋음
산천어, 열목어, 금강모치, 버들치 등
1) 물이 매우 맑고, 유속이 빠르다.
2) 바닥은 주로 바위, 자갈로 구성되어 있다.
3) 부착 조류가 매우 적다
좋음~보통
쉬리, 은어, 쏘가리 등
1) 물이 맑은 편이고, 유속은 보통이다.
2) 바닥은 주로 자갈과 모래로 구성된다.
3) 부착 조류가 약간 있다.
보통~약간나쁨
피라미, 끄리, 모래무지, 참붕어 등
1) 물이 약간 혼탁하고, 유속은 약간 느리다.
2) 바닥은 주로 잔자갈, 모래로 구성된다.
3) 부착 조류가 녹색을 띠며 많다.
약간나쁨~매우나쁨
붕어, 잉어, 미꾸라지, 메기 등
1) 물이 매우 혼탁하며, 유속은 느리다.
2) 바닥은 주로 모래, 실트로 구성되고, 대체로 검은색을 띤다.
3) 부착 조류가 갈색 또는 회색을 띠고 매우 많다.
일반적으로 생물종은 환경에 적응을 해서 고유한 환경조건에서 서식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준이 되는 어류 또는 저서생물과도 같은 수생 생물로부터 하천과 호수의 수질오염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가 되는 종을 ‘지표종’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지표종을 활용하면, 특정 지역의 환경 상태 파악이 가능하다. 한국의 하천 또는 저수지 수질의 급수 판별은 매우 좋음, 좋음, 약간 좋음, 보통, 약간 나쁨, 나쁨, 매우 나쁨의 7개의 등급으로 구분이 된다. 그리고 환경부 지정 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생물등급을 크게 4단계로 나누고 있다. 위의 <표2>는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이다.
Ⅲ. 결론
본론에서는 강우특성, 유출특성에 대해서 논했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서 강수량의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지리적인 영향으로 인해서 물이 쉽게 범람하지만, 필요할 때는 물이 적어서 가뭄을 겪기도 한다.
인천이라는 지역은 전국 평균 1일 수요량보다 많은 양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하수와 담용수 등의 대체자원으로 인해서 부족함이 없는 수자원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과제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질 평가 항목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국립생태원(https://www.nie.re.kr/)
2)환경부, 2017 먹는물 수질기준 해설서
추천자료
2023년 1학기 수질관리 중간시험과제물 E형(먹는 물 수질기준 중 휘발성 유기물질)
수질관리
수질관리 ) 1지구상에서의 물의 순환과정과 우리나라의 강우 특성 및 유출 특성을 말하라
수질관리 지구상에서의 물의 순환과정과 우리나라의 강우특성 및 유출특성을 말하라
2024년 1학기 수질관리 중간시험과제물 A형(먹는 물 수질기준 중 휘발성 유기물질)
보건환경학과 2 수질관리 A형 1. 지구상에서의 물의 순환과정과 우리나라의 강우특성 및 유...
[보건환경] 수질관리 중간과제물
(수질관리 C형) 1.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현황을 수자원 부존량, 강우특성 및 유출특성을 이...
(수질관리 E형) 1.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현황을 수자원 부존량, 강우특성 및 유출특성을 이...
(수질관리 B형) 1.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현황을 수자원 부존량, 강우특성 및 유출특성을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