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3편] 군주론, 블루오션전략, 좋은기업에서 위대한기업으로(Good to Great)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후감 3편] 군주론, 블루오션전략, 좋은기업에서 위대한기업으로(Good to Grea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을 읽고
(0) 여는글
(1) 마키아벨리가 살았던 시대
(2) 마키아벨리는 무엇을 하는 사람이었나?
(3) 군주론이란 책은?
(4) 정복한 땅을 확보하는 방법
(5) 어중간한 조치는 결단코 피해야 한다.
(6) 당신의 독자적인 능력을 넘어서는 일은 시도하지 말라
(7) 자유의 정신
(8) 새로운 제도의 도입
(9) 사악함으로는 진정한 영광을 얻을 수 없다.
(10) 명성과 인민의 호감
(11) 마무리
2. 블루오션 전략을 읽고
(1) 블루오션을 읽기 전
(2) 블루오션이란?
(3) 왜 사람들은 레드오션으로 뛰어드는가?
(4) 그럼 왜 이 책은 블루오션으로 가라고 말하는가?
(5) 블루오션 전략이 보물섬으로 갈 수 있는 보물섬 지도 같은 역할을 한다면 지도에는 무엇이 적혀 있는가?
(6) 블루오션 전략의 성공적 수립을 위한 4가지 안내 지침
(7) 블루오션 전략의 6가지 원칙
(8) 장애요소
(9) 가치혁신을 이루어라
(10) 기업가에게만 해당되는 말이지 않은가?
(11) 전략 캔버스
3. '좋은 기업에서 위대한 기업으로'를 읽고
(0) 여는 글
(1) 왜 위대한 기업인가?
(2) 왜 위대한 기업이 되어야 하는가?
(3) 위대한 리더에 대한 말을 하기 꺼려했던 짐 콜린스
(4) 위대한 리더에 대해1 - 단계5의 리더와 단계4의 리더
(5) 위대한 리더에 대해2 - 위대한 리더 그 이중성
(6) 위대한 리더에 대해3 - 자아의 욕구를 떼어 보다 큰 목표로 돌린다.
(7) 마무리

본문내용

책을 집필을 염두에 두었던 것으로 보이며 피렌체가 스페인 군대에 항복하고 난 후 2년 후 군주론 초고를 집필하였다. 정말이지 언제 꺼질지 모르는 촛불이었던 피렌체에서 강한 나라로 거듭하길 원했던 열망이 피렌체의 공화정이 해체되고 나서야 군주론으로 태어났다고 본다.
당신이라면 이런 상황에서 무엇을 할 수 있었을까? 유린당하는 것을 보고만 있을 것인가? 아니면 할 수 있는 일을 할 것인가? 아마도 자신의 위치에서 할 수 있는 일을 할 것이다. 물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마키아벨리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많은 역사적 지식을 이용하여 이탈리아가 다시 일어설 수 있게, 군주에게 군사, 정치, 외교적 조언을 이 책에 담은 것이다.
그렇기에 이 책은 현실적인 안목(역사를 바탕으로) 썼으며 씁쓸하지만 역사가 증명해줄 수 있는 일들로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왜 씁쓸할까? 하나의 예로 들자면 도덕적이지 못하게 행동해야할 때는 도덕적인 듯 사람들에게 숨기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사람을 도구화시켜 이용함도 서슴치 않기 때문이다. 즉 인간적이거나 윤리적인 것은 군주의 이익과 방향과 같을 때 함께하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비도덕한 행동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도덕적인 것이 군주에게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도덕적인 행동이지만 군주에게 해악이 될 수 있으며 정권을 유지하고 강한 나라로 만들기 위해 도덕은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후 마키아벨리는 만드라골라와 로마사 논고, 전술론 등을 집필한다. 다양한 분야의 책으로 이탈리아의 통일을 돕고자 한 것이라 생각된다. 그는 1527년 서거하였고 1531년 로마사 논고가 출간되었고, 1532년 군주론과 피렌체사가 출간되었다.
(2) 마키아벨리는 무엇을 하는 사람이었나?
그는 29세의 나이로 피렌체의 공화정에 참여하여 주로 외교업무를 하였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프랑스와 교황령 안으로 파견도 여러 차례 가게 된다. 그러던 중 피렌체 공화국은 스페인 공격으로 무너졌으며 메디치가에 의한 군주정이 복원되었다. 마키아벨리는 군주정이 들어서자 공직에서 추방되었으며 다시 공직으로 들어가기 위해 집필활동을 하게 된다. 공화정 주의자였던 마키아벨리는 교외에서 집필활동을 하고 있다가 프랑스가 로마를 약탈하자 교황이 도주하고 피렌체의 공화국이 복원되었다. 마키아벨리는 기뻤겠지만 다시 공직으로 들어가기 위해 노력하고 메디치가가 시킨 피렌체사라는 책까지 쓴 그는 새로운 공화주의자들에게 탐탁지 않게 생각되었고 그 후 병을 얻은 그는 세상을 떠났다.
(3) 군주론이란 책은?
이 책은 다시 공직생활을 하기위해 군주국의 통치자였던 메디치라는 왕에게 받쳐진 책이다. 공화주의자였던 마키아벨리는 군주국을 강력한 나라로 만들 수 있는 바람직한 형태의 나라라고 이 책에서 피력한다. 즉 메디치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기 위함이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스페인의 공격 이후 공화국이 무너지고 메디치 가문이 군주국을 복원하면서 마키아벨리는 반란죄로 조사 받아 고문도 당하고 투옥되기까지 한다. 아마 이런 상황들이 메디치의 심기를 건드릴 수 있는 내용은 제거한 군주론이란 책을 집필된 배경이라 생각된다.
군주론은 일종의 정치 책이다. 군주가 알아야할 군사와 외교관계, 신하 귀족 백성을 다스리는 방법이 적힌 책인 것이다. 이 책의 내용은 역사를 바탕으로 썼으며 그렇기에 이상적이고 이론적 내용이 배제된 현실적이고 객관적 시각으로 정치를 하게끔 글을 썼다. 종교윤리나 성인군자 같은 이야기는 이 책과 거리가 있겠다고 하겠다. 이제 이 군주론이란 책의 내용 속에서 이야기하고자한다.
(4) 정복한 땅을 확보하는 방법
마키아벨리는 정복한 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2가지 정책을 따라야 한다고 말한다. 첫째, 예전에 통치하던 군주의 가문을 제거하는 것이고, 둘째는 그들의 법을 바꾸지 않고 새로운 조세를 부과하지 않는 것이다. 이 방법에서 보면 반란의 핵심 역할을 하게 될 예전 군주 가문을 제거한다는 말이 나온다. 유배나 투옥도 아닌 제거는 어찌 보면 참 섬짓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군주의 가문은 어느 사람이 되었든 제거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바로 여기서 마키아벨리의 시선이 느껴진다. 도덕을 떠나 현실을 직시하는 그의 정치관을 말이다.
(5) 어중간한 조치는 결단코 피해야 한다.
이 군주론이란 책의 여러 부분 중 이런 대목은 정말 군주국의 독재를 더 견고히 해줄 수 있는 대목이라 생각된다. \"인간들이란 다정하게 안아주거나 아니면 아주 짓밟아 뭉개버려야 한다. 왜냐하면 인간이란 사소한 피해에 대해서는 보복하려고 들지만 엄청난 피해에 대해서는 감히 복수할 엄두도 못 내기 때문이다.\"
맞는 말이지만 보고나면 참 씁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스탈린은 이런 말을 했다. \"한 사람을 죽이면 살인이지만 여럿을 죽이면 통계일 뿐이다.\"
이 군주론이란 책은 아마 이 군주국을 더 견고히 강성하게 해줄 정치적 조언이란 생각이 든다. 그래서 여러 대목에서는 인정은 하지만 거부감이 일어났다. 그러나 거부감은 거부감일 뿐 이 책의 가치나 안목은 대단한 것임이 틀림없다. 더군다나 오늘날의 정치행태도 민주주의라고는 하지만 이 군주론에 있는 정치적(현실적) 관념들을 많은 부분 수용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이 책을 읽다보면 실용주의란 단어를 떠올리게 된다. 그리고 이번 정권의 실용주의란 말과 겹쳐져 보이게 된다. 역사는 반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군주 즉 우두머리는 도덕적이거나 인간적이지 않다. 정치란 그런 것이다. 하지만 윤리와 도덕을 잃은 정치가 어떤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지는 이미 스탈린과 히틀러에 의해 많이 알고 있으리라 믿는다. 우리에게는 어떠한 우두머리가 필요한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급급한 우두머리인지, 이익을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우두머리인지, 진짜 백성들을 위한 우두머리인지 말이다.
(6) 당신의 독자적인 능력을 넘어서는 일은 시도하지 말라
\"성취할 능력이 없는 자들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를 추구할 경우, 그것은 비난을 받을 만한 실책이 된다.\"고 군주론에서는 말한다. 맞는 말이다. 꿈만 크고 능력이 없는 자가 꿈을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9.03.21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