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국가공무원 후생복지제도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1) 맞춤형 복지제도
<표1> 복지항목 구성
<표2> 복지점수 배정기준
<표3> 보장내용
2. 공직분류체계에 대해 설명하고
3. 국가공무원, 지방공무원, 정무직공무원 그리고 공공기관 직원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비교설명하시오.
1) 국가공무원
2) 지방공무원
3) 정무직공무원
4) 공공기관 직원과의 유사점과 차이점
*참고문헌
1. 국가공무원 후생복지제도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1) 맞춤형 복지제도
<표1> 복지항목 구성
<표2> 복지점수 배정기준
<표3> 보장내용
2. 공직분류체계에 대해 설명하고
3. 국가공무원, 지방공무원, 정무직공무원 그리고 공공기관 직원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비교설명하시오.
1) 국가공무원
2) 지방공무원
3) 정무직공무원
4) 공공기관 직원과의 유사점과 차이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같은 지역에 있는 세무직공무원이라고 하여도 소속이 된 곳에 따라서 국가공무원은 국세 업무와 지방공무원은 지방세 업무를 다루는 등 수행하는 업무가 달라 근무지역이 아닌 소속기관을 확인해야 한다.
국가공무원 제2조 2항, 지방공무원법 제2조 제2항에 따르면 경력직 공무원은 실적과 자격에 따라서 임용이 되고, 신분이 보장되고, 평생동안 공무원으로 근무할 것이 예정되는 공무원을 말한다.
반면에 특수경력직 공무원은 경력직공무원 외의 공무원을 말하는 것이고, 일반직은 기술, 연구, 행정일반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고, 특정직은 담당업무가 특수하여 자격, 신분조장, 복무 등에서 특별법이 우선 적용이 되는 공무원이다.
3) 정무직공무원
특수경력직 공무원은 정무직과 별정직 공무원으로 나뉠 수 있다. 정무직은 선거, 국회의 동의에 의해서 임용되는 공무원이며, 고도의 정책결정업무를 담당하거나 이를 보조하는 공무원으로 법령에서 정무직으로 지정하는 공무원이다. 별정직은 비서관, 비서 등 보좌업무 등을 수행하거나 특정한 업무 수행을 위해 법령에서 별정직으로 지정하는 공무원이다.
4) 공공기관 직원과의 유사점과 차이점
공기업은 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가 사회 공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영하는 기업이다. 그래서 사기업과 동일하게 근로기준법이 있다. 공무원과 공기업의 가장 큰 차이점은 채용일정이다. 공기업은 364개의 기업 중에서 매년 채용을 하고 있어 수시로 지원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공무원은 연 2~3회 시험이 있어 비교적 채용기회가 적다.
공기업과 공무원은 블라인드 채용이라는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공기업은 어학성적, 자격증 취득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비교적 합격스펙이 높다.
따라서 공기업과 공무원을 서로의 공공 이익을 위해서 일한다는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공무원은 국가 또는 지방 공공 단체의 사무 업무를 하는 것이며, 공무원복무규정의 적용을 받으면서 지자체 등 정부 사업의 기획과 진행을 수립하며 처리하는 업무를 진행하는 것에 있어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김성국(2008). 조직과 인간행동. 서울: 명경사.
김명섭(2020). 지방공기업 직원의 흡수역량, 창의성, 지식공유, 혁신의지, 혁신행동 간의 구조 관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김승언(2012). 공무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감정노동과 직무전문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국가공무원 제2조 2항, 지방공무원법 제2조 제2항에 따르면 경력직 공무원은 실적과 자격에 따라서 임용이 되고, 신분이 보장되고, 평생동안 공무원으로 근무할 것이 예정되는 공무원을 말한다.
반면에 특수경력직 공무원은 경력직공무원 외의 공무원을 말하는 것이고, 일반직은 기술, 연구, 행정일반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고, 특정직은 담당업무가 특수하여 자격, 신분조장, 복무 등에서 특별법이 우선 적용이 되는 공무원이다.
3) 정무직공무원
특수경력직 공무원은 정무직과 별정직 공무원으로 나뉠 수 있다. 정무직은 선거, 국회의 동의에 의해서 임용되는 공무원이며, 고도의 정책결정업무를 담당하거나 이를 보조하는 공무원으로 법령에서 정무직으로 지정하는 공무원이다. 별정직은 비서관, 비서 등 보좌업무 등을 수행하거나 특정한 업무 수행을 위해 법령에서 별정직으로 지정하는 공무원이다.
4) 공공기관 직원과의 유사점과 차이점
공기업은 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가 사회 공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영하는 기업이다. 그래서 사기업과 동일하게 근로기준법이 있다. 공무원과 공기업의 가장 큰 차이점은 채용일정이다. 공기업은 364개의 기업 중에서 매년 채용을 하고 있어 수시로 지원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공무원은 연 2~3회 시험이 있어 비교적 채용기회가 적다.
공기업과 공무원은 블라인드 채용이라는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공기업은 어학성적, 자격증 취득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비교적 합격스펙이 높다.
따라서 공기업과 공무원을 서로의 공공 이익을 위해서 일한다는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공무원은 국가 또는 지방 공공 단체의 사무 업무를 하는 것이며, 공무원복무규정의 적용을 받으면서 지자체 등 정부 사업의 기획과 진행을 수립하며 처리하는 업무를 진행하는 것에 있어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김성국(2008). 조직과 인간행동. 서울: 명경사.
김명섭(2020). 지방공기업 직원의 흡수역량, 창의성, 지식공유, 혁신의지, 혁신행동 간의 구조 관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김승언(2012). 공무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감정노동과 직무전문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추천자료
[인사행정 개혁][인사행정 혁신][인사행정]인사행정 개혁(인사행정 혁신)의 쟁점, 교훈과 과...
[인적자원관리]대한항공 인사관리 사례분석(리포트)
[복지후생][복리후생][복리후생의 현황][복지후생 사례][복리후생 사례][후생복지]복지후생(...
특별채용제도
[인사행정][인사][행정][실적주의][엽관주의]인사행정의 특징, 인사행정의 실적주의, 인사행...
인적자원관리론 기말고사답안지_ A+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인적자원관리론 기말시험과제물)국가공무원 후생복지제도에 관하여 ...
(인적자원관리론 2학년) 1. 국가공무원 후생복지제도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10점) 2. 공직분...
2023년 1학기 인적자원관리론 기말시험 과제물(국가공무원 후생복지제도, 공직분류체계 등)
인적자원관리론 국가공무원 후생복지제도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