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론 2025년] 김재형(2021). 질병, 낙인 (무균사회의 욕망과 한센인의 강제격리) 돌베개. 독후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문제론 2025년] 김재형(2021). 질병, 낙인 (무균사회의 욕망과 한센인의 강제격리) 돌베개. 독후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내용 요약
1) 세균설·인종주의·강제격리
2) 식민지 조선과 한센병
3) 생존과 치료를 향해
4) 소록도, 절멸의 수용소
5) 해방된 조국, 해방되지 못한 사람들
6) 개혁과 반동의 시간
7) 죽어도 되는, 죽여야 하는
8) 강제격리 폐지라는 희망
9) 다양해진 강제격리
10) 음성나환자촌
11) 치료를 향한 전 세계의 노력
12) 지금 한센인은 어디에 있는가?

2. 감상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센인사건법>은 국가가 한센인 피해사건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의료 및 생활지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일본과 대만의 한센인 보상법은 한센인이 국가에 의해 일정 기간 강제격리됐다는 것이 인정되면 일괄 보상하도록 명시한 반면, 한국의 <한센인사건법>은 조사결과 인정받은 사건 피해자에게만 생활지원을 하게 되어 있다.
현재 한국사회에서는 한센인 차별분제가 해결됐다고 여겨지고 있어, 한센인 문제에 대중의 관심은 사라졌다. 한국사회에서 한센인에 대한 관심이 더 필요하다.
2. 감상
한센병은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질병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랜 역사를 통해 한센병은 존재해왔다. 일제강점기 시대에는 한센병 환자들은 소록도에 철저히 강제 격리되었다. 소록도에서 한센병 환자들은 강제노동과 낙태 단종 수술 등의 매우 심각한 인권침해를 겼었다. 광복 이후에도 한센병 환자들은 더욱 철저히 격리되었다. 그리고 2000년대 중반까지도 한센병 환자들에 대한 낙인과 편견은 매우 심하게 받아왔고, 현재까지도 마찬가지다.
한센병 환자들은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 편견이 매우 심해 교육, 취업, 결혼 등의 사회생활에서 많은 불이익을 겪었다. 한센병 환자의 자녀들은 학교 입학을 거부당해 정착마을의 분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한센병 환자의 자녀들은 성장해서도 대부분의 직종에서 취업을 거부당했다. 그리고 한센병 환자는 결혼도 하기 힘들었다. 이처럼 한센인은 어린 시절부터 죽을 때까지 편견과 차별 속에서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받았다.
한국사회에서 한센병 환자들에게 철저하게 격리하고 배제되었다. 지역민들은 음성나환자 정착마을을 공격하기도 했고, 폭행을 저질러지도 했다. 하지만 정부는 지역민과 환자의 갈등에 아무런 대처를 하지 않거나 소극적인 대처만 했다. 이처럼 한센인 문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정부의 한센병 환자에 대한 정책이라고 생각된다. WHO에서 한센병에 대해 격리를 풀 것을 권고했지만, 우리나라 정부는 한센병 환자를 더욱더 심하게 격리시켰다. 그리고 정부는 한센병 환자가 위험하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캠페인하여, 국민들의 불안감을 조성하고, 한센인에 대한 혐오감을 부추겼다. 그리고 지역주민들의 한센인에 대한 반발과 공격이 거세지는 상황에서도 정부는 적극적으로 중재나 해결노력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갈등은 더욱 심해졌던 것이다.
2005년 <한센인사건법>이 발의하여, 한센인 피해사건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의로 및 생활지원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과거사 진상규명이 충분하지 않고, 한센병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은 현재도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이 문제다. 그리고 지금 한국사회에서는 한센병 환자들이 어떻게 지내는지 관심조차 가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우리사회에서는 한센병 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해소를 위한 개선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한센병환자에 대한 의료 및 복지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 참고문헌
김재형(2021). 질병, 낙인: 무균사회의 욕망과 한센인의 강제격리. 돌베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5.03.06
  • 저작시기202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8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