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기오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기오염의 정의

1. 대기오염의 일반적 정의

2. 각국의 대기오염 정의

2. 대기오염원과 오염물질

1. 오염원과 오염물질

2. 자동차 배출가스

3. 대기오염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1. 피해의 특징

2. 인체장애

3. 인체에 미치는 작용별 오염물질

4. 입자상 물질

1. 입자상 물질의 분류

2. 분진의 특성

3. 분진의 배출원

4. 입자상 물질의 소멸

5. 인체에 미치는 영향

5. 가스상 물질

1. 황산화물 (SOx ; Sulfur Oxides)

2. 질소산화물 (NOx ; Nitrogen Oxides)

3. 산화물 (Oxidant)

4. 탄화수소 (Hydrocarbons)

5. 불소화합물 (Fluoride)

6. 일산화탄소 (CO ; Carbon Monoxide)

7. 이산화탄소 (CO2 ; Carbon dioxide)

8. 암모니아 (NH3)

9. 염화수소 (HCl)

10. 염소 (Cl2)

11. 황화수소 (H2S ; Hydrogen sulfide)

12. 이황화탄소 (CS2 ; Carbon disulfide)

13. 악취 (Offensive odor)

5. 주요 중금속 물질

1. 수은 (Hg ; Mercury)

2. 카드뮴 (Cd ; Cadmium)

3. 납 (Pb ; Lead)

4. 크롬 (Cr ; Chromium)

5. 구리 (Cu ; Copper)

6. 비소 (As ; Arsenic)

5. 기타

1. 니켈 (Ni ; Nickel)

2. 바나듐 (V ; Vanadium)

3. 벤젠 (C6H6 ; Benzene)

4. 페놀 (C6H5OH ; Phenol)

5. 취소 (Br2 ; Bromine)

6. 베릴륨 (Be ; Beryllium)

7. 포스겐 (COCl2 ; Phosgen)

8. 석면 (Asbestos)

참고문헌

본문내용

크실렌이 섞여 있으면 5~10분에 사망할 정도의 중독을 일으키며, 7500ppm에서도 30~60분에 사망하는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20000ppm이상의 경우에는 급성중독의 염려가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처음에 단시간의 흥분기를 거쳐, 깊은 마취상태에 빠지고 이때 오염환경으로부터 신선한 장소로 옮기지 않으면 사망할 우려가 있다. 회복한 뒤에도 1~2일 계속 숙취가 남게 된다.
만성중독은 보다 농도가 낮은 벤젠, 톨루엔, 크실렌의 증기를 계속 흡입하고 있으면 일어난다. 간혹 피로하고, 빈혈에 빠지며, 백혈구가 감소한다. 또 식욕이 없어지며, 위장을 다치게 하는 등 소화기의 이상을 나타내는 수가 있다. 신경쇠약, 건망증 등을 호소하는 자도 있다. 이들 물질의 인체내의 흡수는 증기의 흡입 뿐 아니라, 액체상태라도 탈지작용에 의해 피부에서 흡수되므로, 직접 맨손 등으로 접촉하는 일은 피하지 않으면 안된다.
4. 페놀 (C6H5OH ; Phenol)
석탄산, Phenylic acid라고도 불리우며, 분자량이 94.11인 백색 또는 담홍색의 결정괴상으로 공기중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액상이 되고, 자극성이 있는 특이한 냄새를 가진 부식성 유독물질이다.
용도는 의약품, 염료, 향료, 도료, 화약, 제초제, 방부제, 소독살균제 등으로 쓰이며, 페놀중독으로 인한 주증상은 구토, 허탈, 혼수상태를 들 수 있다.
5. 취소 (Br2 ; Bromine)
상온에서 적갈색인 휘발성 액체이며 자극성이 강하고 부식성이 있다.
용도는 살충제, 산화제, 의약품, 사진재료로 쓰이며, 인체에의 영향은 눈과 상기도 점막에 자극을 준다.
1. 인체에 미치는 영향
주로 상기도에 대하여 급성 흡입 효과를 지니고 고농도 하에서는 얼마 기간 지나서 폐부종을 유발하기도 한다. 만성폭로시 구강과 혀가 갈색으로 변색되며, 호흡시 독특한 냄새가 나고 피부반점이 생긴다. 또 두통, 현훈, 비출혈, 기팀, 위장장애, 정서불안을 동반한 신경장애 등의 취소증이 유발되며 여드름이 생기기도 한다.
6. 베릴륨 (Be ; Beryllium)
베릴륨의 분자량은 9.0, 비중 1.85, 융점1280℃, 비등점 2970℃의 회백색 결정체이다.
용도 및 배출원에는 금속베릴륨의 기계가공의 공정, 전기제품제조, 베릴륨 원광석의 채굴과정, 형광등 제조, 도자기 제조 등이 있으며, 인체에 미치는 주요 증상을 살펴보면 피부, 폐, 간장, 췌장, 신장, 심근층에 육아종의 변화가 생기며 베릴륨에 폭로된지 5~10년 후에는 베릴륨페증(Beryllosis)이 생기며 폐 또는 심기능 장애로 사망한다.
베릴륨페증은 neighborgood case라고 불리는데 이는 베릴륨을 취급하는 공장의 인근 주민에게서나 혹은 베릴륨 취급자의 옷을 세탁하는 자에게 간접적으로 폭로되어 일어났기 때문이다.
1. 인체에 미치는 영향
국소증상으로는 결막염, 각막궤양, 피부염, 피하 육아종, 코와 후두의 자극증상 등이 있고 급성중독증상으로는 폐렴이나 폐수종이 있다. 만성중독증상으로는 폭로된지 1~2년 후에 가벼운 기침이 있으며, 주요증상이 출현할 때까지 잠복기간은 5~10년, 때로는 20년 이상이 걸린다. 해소, 체중감소, 호흡곤란 및 흉부 X-선상 육아종 같은 특징적 소견을 나타낸다.
7. 포스겐 (COCl2 ; Phosgen)
이염화탄소라고도 불리우며, 분자량이 98.92인 독특한 풀냄새가 나는 무색(시판용품은 담황녹색)의 기체(액화가스)로서 비중은 3.4이고 융점은 -118℃이며, 비등점은 8.2℃이다.
이 물질은 건조상태에 있을 때는 부식성이 없으나 수분이 존재하면 포스겐이 가수분해되어 염산을 생성하기 때문에 금속을 부식시킨다.
용도는 이소시아네이트(Iso cyanate)의 제조, 염료, 의약품, 방초제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1. 인체에 미치는 영향
1) 상당히 유독한 가스로 흡입하면 급성중독을 일으키고 양이 많으면 죽는다.
2) 다른 자극성 가스와 달리 상기도 점막의 수축과 같은 보호적 반사작용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처음부터 폐 속 깊이 흡수된다. 포스겐을 일정량이상 흡입하면, 흡입 때 및 그 후 수시간은 거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2~6시간 후에 호흡이 거칠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기관지 폐렴이 되지 않으면 서서히 회복되지만 폐 장애를 일으키면 위험하다.
포스겐의 중독작용은 폐포 내의 혈장이 누출되므로 장애를 일으킨다.
농도 (ppm)
포스겐의 인체에 대한 영향
0.1
TLV (15min이하의 단시간 폭로한도의 농도)
0.5
허용한계
1
취기를 느낌, 장시간에 폐상해를 일으킴
2.5
장시간에 생명 위험
3
눈, 목을 자극하여 기침이 나옴, 목을 자극
4
눈, 목을 자극하여 기침이 나옴, 목을 자극
5
1분간에 위험상태를 나타냄, 기침이 나옴
5.6
취기를 느끼는 최소치
10
눈, 코, 목을 자극
12.5
0.5~1시간에 생명위험
20
위험, 급성사 심한 폐장애를 일으킴
5~25
0.5~1시간에 즉사 또는 중증사
25
5.5시간에 사망. 0.5~1시간에 위험상태
50
단시간에 사망
50<
즉시 생명 위험
90
0.5시간에 치사
표 9. 인체에 대한 포스겐의 유해성
8. 석면 (Asbestos)
석면이란 섬유모양을 갖는 광물성규산염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이며, 산업보건학적으로 가장 문제시 되는 석면은 백석면(chrysotile), 청석면(crocidolite) 및 황석면(amosite) 등 3종류이며 이들 석면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전체 사용량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백석면이다.
석면이 상업적으로 생산된 것은 19세기 이후였고 영국이 산엽혁명 이후 증기기관에 단열제로 사용되었으며 대량으로 생산된 것은 1950년대 이후였다.
석면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석면에 의한 질병이 차차 알려지게 되었고 1930년대 석면페증(asbestosis), 1950년대에 폐암 및 1960년대에는 중피종(mesothelioma)등이 석면에 의해 발생되었다.
참고문헌
1. 강복수 외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서울, 계축문화사, 1992
2. 우완기 : 대기오염개론, 서울, 도서출판 동화기술, 1992
3. 윤오섭, 홍성길 : 대기오염과 미기상학, 서울, 도서출판 동화기술, 1991

키워드

매연,   먼지 ,   가스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9.03.23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0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