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재 226페이지에서부터 239페이지에 걸쳐 9세트의 연습문제가 있다. 각각의 세트에서 ③번, ④번, ⑨번의 문장을 해석하고, 문법적인 문장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수정되어야 하는지 밝히고 그 이유를 서술하시오. (학생이 풀어야 할 연습문제는 총 27개임)
1. 주어-동사의 수일치
③ ④ ⑨
2. 수와 관련한 명사의 형태
③ ④ ⑨
3. 상황에 맞는 동사의 형태
③ ④ ⑨
4. 전치사
③ ④ ⑨
5. 관사
③ ④ ⑨
6. 명사절
③ ④ ⑨
7. 관계절
③ ④ ⑨
8. 부사절
③ ④ ⑨
9. 조건절
③ ④ ⑨
10. 참고문헌
1. 주어-동사의 수일치
③ ④ ⑨
2. 수와 관련한 명사의 형태
③ ④ ⑨
3. 상황에 맞는 동사의 형태
③ ④ ⑨
4. 전치사
③ ④ ⑨
5. 관사
③ ④ ⑨
6. 명사절
③ ④ ⑨
7. 관계절
③ ④ ⑨
8. 부사절
③ ④ ⑨
9. 조건절
③ ④ ⑨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정답: who → whose
해설: They haven’t seen a person. That person’s laptop weighs more than 5 kilograms.
이 두 문장을 관계절로 연결하는 것이므로 who가 아니라 소유격 관계대명사에 해당하는 whose가 적절하다.
The victim was John, that graduated from this school last year.
해석: 피해자는 작년에 이 학교를 졸업한 존이었다.
정답: that → who
해설: 선행사 John이 사람이고 콤마(,)를 사용한 관계사의 계속적 용법이므로 who를 사용한다.
I don’t think this is the way how the system is supposed to work.
해석: 나는 이것이 그 시스템이 작동되는 방식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정답: the way how → the way/how
해설: how가 방법을 의미하는 관계부사로 사용될 경우 the way는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관계부사 how를 생략하고 the way만 사용할 수도 있다.
8. 부사절
When he will come back, we can start dinner.
해석: 그가 돌아오면 우리는 저녁을 시작할 수 있다.
정답: will come → comes
해설: 시간이나 조건 부사절에서는 현재형으로 미래를 표현한다.
No one can easily deny that the people in this country live very well due oil money.
해석: 이 나라 사람들이 오일 머니 덕분에 잘 살고 있다는 사실은 누구도 쉽게 부인할 수 없다.
정답: due → due to
해설: “~에 기인하여”라는 의미로 due to를 사용한다.
The police refused to mention anything about the crime in order to not stir up more trouble.
해석: 경찰은 더 많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 위해 범죄에 대해 어떤 것도 언급하기를 거부했다.
정답: in order to not → in order not to
해설: to 부정사의 부정표현에서는 to 앞에 not이 위치한다.
9. 조건절
If I have enough money, I would buy my son a laptop.
해석: 내게 돈이 충분하다면 아들에게 노트북을 사 줄 텐데.
정답: If I had enough money, I would buy my son a laptop./
If I have enough money, I will buy my son a laptop.
해설: 현재 사실의 반대를 가정하는 것이라면 과거동사로 가정법 과거를 사용한다.
(즉, 현재 돈이 충분하지 않은데, 충분한다고 가정)
단순한 조건을 의미하는 조건문이라면 if절에는 현재시제를 사용하고, 주절에는 미래시제를 사용하면 된다.
If they had taken my advice, they could still have been healthy.
해석: 제 조언을 받아들였다면 여전히 건강할 수 있었을 것이다.
정답: If they had taken my advice, they could still be healthy.
해설: 그들이 과거에 조언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의미이므로, if절은 과거완료시제가 사용된다.
주절은 현재 건강하지 않은 사실을 의미하마로, 주절은 가정법 과거형이 사용된다.
If I am to be born again, I would like to be born as a genius.
해석: (그럴 리는 없지만) 만약 내가 다시 태어나게 된다면, 천재로 태어나고 싶다.
정답: If I were to be born again, I would like to be born as a genius.
해설: were to 가정법은 현실에서는 일어나지 않았거나 일어나기 힘든 조건을 상정한 가정법 미래 의 한 표현이다. 따라서 위 문장은 다시 태어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be 동사는 were이 적절하다. 보통 were to 가정법은 가정법 미래로 설명하지만, 동사의 시제만 놓고 보면 가정법 과거형으로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 참고문헌
영작문 1. 박동우 안승신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과제 스트레스 싹~ 학점 쑥!
https://www.happycampus.com/store/zzzyzyztusz/
정답: who → whose
해설: They haven’t seen a person. That person’s laptop weighs more than 5 kilograms.
이 두 문장을 관계절로 연결하는 것이므로 who가 아니라 소유격 관계대명사에 해당하는 whose가 적절하다.
The victim was John, that graduated from this school last year.
해석: 피해자는 작년에 이 학교를 졸업한 존이었다.
정답: that → who
해설: 선행사 John이 사람이고 콤마(,)를 사용한 관계사의 계속적 용법이므로 who를 사용한다.
I don’t think this is the way how the system is supposed to work.
해석: 나는 이것이 그 시스템이 작동되는 방식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정답: the way how → the way/how
해설: how가 방법을 의미하는 관계부사로 사용될 경우 the way는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관계부사 how를 생략하고 the way만 사용할 수도 있다.
8. 부사절
When he will come back, we can start dinner.
해석: 그가 돌아오면 우리는 저녁을 시작할 수 있다.
정답: will come → comes
해설: 시간이나 조건 부사절에서는 현재형으로 미래를 표현한다.
No one can easily deny that the people in this country live very well due oil money.
해석: 이 나라 사람들이 오일 머니 덕분에 잘 살고 있다는 사실은 누구도 쉽게 부인할 수 없다.
정답: due → due to
해설: “~에 기인하여”라는 의미로 due to를 사용한다.
The police refused to mention anything about the crime in order to not stir up more trouble.
해석: 경찰은 더 많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 위해 범죄에 대해 어떤 것도 언급하기를 거부했다.
정답: in order to not → in order not to
해설: to 부정사의 부정표현에서는 to 앞에 not이 위치한다.
9. 조건절
If I have enough money, I would buy my son a laptop.
해석: 내게 돈이 충분하다면 아들에게 노트북을 사 줄 텐데.
정답: If I had enough money, I would buy my son a laptop./
If I have enough money, I will buy my son a laptop.
해설: 현재 사실의 반대를 가정하는 것이라면 과거동사로 가정법 과거를 사용한다.
(즉, 현재 돈이 충분하지 않은데, 충분한다고 가정)
단순한 조건을 의미하는 조건문이라면 if절에는 현재시제를 사용하고, 주절에는 미래시제를 사용하면 된다.
If they had taken my advice, they could still have been healthy.
해석: 제 조언을 받아들였다면 여전히 건강할 수 있었을 것이다.
정답: If they had taken my advice, they could still be healthy.
해설: 그들이 과거에 조언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의미이므로, if절은 과거완료시제가 사용된다.
주절은 현재 건강하지 않은 사실을 의미하마로, 주절은 가정법 과거형이 사용된다.
If I am to be born again, I would like to be born as a genius.
해석: (그럴 리는 없지만) 만약 내가 다시 태어나게 된다면, 천재로 태어나고 싶다.
정답: If I were to be born again, I would like to be born as a genius.
해설: were to 가정법은 현실에서는 일어나지 않았거나 일어나기 힘든 조건을 상정한 가정법 미래 의 한 표현이다. 따라서 위 문장은 다시 태어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be 동사는 were이 적절하다. 보통 were to 가정법은 가정법 미래로 설명하지만, 동사의 시제만 놓고 보면 가정법 과거형으로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 참고문헌
영작문 1. 박동우 안승신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과제 스트레스 싹~ 학점 쑥!
https://www.happycampus.com/store/zzzyzyztusz/
추천자료
영작문1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교재 226페이지에서부터 239페이지에 걸쳐 9세트의 연습문제가 있다. 각각의 세트에서 2번, 4번, 7번의 문장을 해석하고, 문법적인 문장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수정되어야 하는지 밝히고 그 이유 서술
2023년 2학기 방송통신대 영작문1 중간과제물)교재 226페이지에서부터 239페이지에 걸쳐 9세트의 연습문제가 있다 각각의 세트에서 ⑤~⑦의 문장을 해석하고 문법적인 문장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수정되어야 하는지 밝히고 그 이유를 서술
방통대 중간과제물 영작문1 (교과서 226-239쪽 연습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