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Heart Rate as a Vital Sign 실험 보고서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리학] Heart Rate as a Vital Sign 실험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2 <1차>
Condition
Heart Rate
(beats/minute)
Time
(s)
Resting heart rate
66.37
Maximum heart rate
116.0
10
Rebound heart rate
85.25
35
홍길동2 <2차>
Condition
Heart Rate
(beats/minute)
Time
(s)
Resting heart rate
83.40
Maximum heart rate
155.5
45
Rebound heart rate
77.92
35
홍길동2 <3차>
Condition
Heart Rate
(beats/minute)
Time
(s)
Resting heart rate
85.78
Maximum heart rate
98.85
45
Rebound heart rate
84.03
50
홍길동3 <1차>
Condition
Heart Rate
(beats/minute)
Time
(s)
Resting heart rate
82.59
Maximum heart rate
94.13
40
Rebound heart rate
81.08
30
홍길동3 <2차>
Condition
Heart Rate
(beats/minute)
Time
(s)
Resting heart rate
82.67
Maximum heart rate
96.23
25
Rebound heart rate
74.90
60
홍길동3 <3차>
Condition
Heart Rate
(beats/minute)
Time
(s)
Resting heart rate
77.87
Maximum heart rate
87.02
25
Rebound heart rate
77.92
15
DATA 분석
1. 담근 후 당신의 심박수가 최댓값에 도달하기까지 얼마나 걸렸나? 심박수에서 이 변화가 유 도된 것을 생리학적 메커니즘으로 설명하시오.
- 홍길동1 : 평균 33초
홍길동2 : 평균 33초
홍길동3 : 평균 30초
찬물에 발을 담그면 자극에 의해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계가 활성화 되어 심박수가 빨라지게 된다.
2. 최댓값 이후에 일어나는 심박수의 변화를 묘사하시오. 최소 심박수 값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당신은 실험의 나머지에서 본 심박수의 변화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 최댓값 이후에 심박수가 점점 감소해서 최소 점을 찍은 후 다시 조금 증가하고 거의 변화가 없다.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계가 활성화 된 후 항상성 유지를 위하여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 되어 심박수가 감소하게 된다.
3. 최대 심박수 이후 당신의 리바운드 심박 수에 도달하기까지 얼마나 걸렸나? 자극에 의한 생리학적 반응의 속도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계된 메커니즘의 속도 관계에 대해 무 엇을 말할 수 있는가?
- 홍길동1 : 평균 53초
홍길동2 : 평균 40초
홍길동3 : 평균 35초
자극에 의한 생리학적 반응의 속도는 세 사람 평균 32초였는데 항상성 유지를 위해 설계된 메커니즘의 속도는 평균 43초이다. 이 것은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속도가 항상성 유지를 위한 메커니즘 속도보다 빠르다는 뜻이다.
4. 심박수가 너무 느리면 뇌 혈류를 유지하는데 불충분한 혈압이 있다. 이 것은 의식의 잃음 을 유도한다(기절). 이 실험에서 관찰한 자율신경계 반응을 잊지 말고, 매우 겁먹은 사람이 기절한 결과 사건의 순서를 설명하시오.
- 사람이 겁을 먹으면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어서 혈압과 맥박을 증가시키는데 혈압이 높아지게 되면 뇌로 가는 혈액의 양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절을 하게 된다.
실험 후 느낀 점
홍길동1 : 우리 조원친구들은 정상 맥박 치를 유지하는데, 나만 심박수가 정상 범위를 초과해서 더 불안했습니다. 원래 긴장을 잘 타고, 뭔가 처음 하는 것에 대한 흥미로움 이런 것들이 복합되어 더 정상 범위를 초과했던 것 같습니다. 한 3-4번 시도 끝에 정상 맥박수에 가까운 수치가 나와서 조금 더 안정감 있게 그래프가 나온 것 같습니다. 제 신체 중 손, 발이 가장 온도 변화 차가 심해서 원래 심박수와, 얼음물에 발을 담궜을 때의 차가 그래프로 잘 나타났습니다. 또한 고등학교 생물시간에 이론으로만 배웠던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를 직접 실험을 통해 그 차이를 느낄 수 있어서 더 신기했습니다.
우리 몸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원래의 체온으로 회복하는 것을 직접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리학에 대해 더 큰 흥미로움을 느끼게 되고, 호기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홍길동2 : 이 실험을 하며 나의 심장 박동 수를 직접 눈으로 관찰 할 수 있었다는 것이 신기하였다. 또한 다른 애들과 심장 박동 수가 다른 것을 보고 사람마다 기본 심장 박동 수가 다를 수도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그리고 차가운 물에 발을 담갔더니 심장 박동 수가 증가하고 다시 뺐더니 감소하는 것을 보고 내 몸에 있는 자율신경계가 이렇게 활성화되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자율신경계의 반응에서 교감신경계가 자극을 받고나서 다시 우리 몸의 항상성 유지를 위해 부교감신경계가 반응 하는 것을 보고 정말 우리 몸은 신비롭다고 생각하였다. 이렇게 직접 눈으로 관찰 할 수 있는 실험을 더 많이 해 보고 싶다고 느꼈다.
홍길동3 : 손을 통해서 내 심박 뛰는 것이 컴퓨터에 보여 진다는 것이 신기했다
나의 심장은 계속 55~90사이에 안정하게 유지되었는데 같은 조인 경민이는 계속 심장이 높게 뛰어서 실험을 하는데 안정을 되 찾는라 시간이 조금 걸렸다.
차가운 물에 발을 담그자 심박수가 90을 넘어서다가 발을 빼고 나서는 심박수가 다시 안정하게 돌아왔는데 다른 친구들과는 달리 나의 심박수는 조금 높아지기는 했지만 막 치솟지는 않았다 처음 실험했을 때보다 3번째 했을 때는 더더욱 심박수가 오르지 않았다.
그에 비해 경민이는 발을 담그자 심박수가 높게 올라갔는데 이런 현상을 보면서 나의 심장이 쉽게 놀라지 않는 건가 사람마다 느끼는 것이 다르구나 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3번째 실험 할 때는 더 안 올라가는 심박수를 보면서 단련이 되어 진 건가 궁금했다.
교감신경이 차가운 자극에 활성화되어 맥박을 증가시키면 부교감신경이 회복시켜 항상성 유지를 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인체의 신비함이 놀라웠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5.08.29
  • 저작시기202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1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