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간호사의 다양한 역할 수행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윤리적 딜레마 중 예시 1가지와 해결 방안을 본인의 경험과 의견을 기반으로 서술하시오.
1-1. 윤리적 딜레마 사례
1) 윤리적 딜레마 사례 배경
2) 사례의 구체적 윤리적 딜레마
1-2. 윤리적 딜레마 사례의 해결 방안
1) 윤리적 원칙 적용
2) 구체적 해결 방안
3) 기대효과
1-3. 본인의 의견
2. 다음 사례를 읽고, 대상 미숙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 중재와 근거를 서술하시오
2-1. 사례와 사례 분석
2-2. 사례의 미숙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 중재 및 근거
1) 호흡 지원 및 산소 요법
2) 체온 조절
3) 심혈관계 안정화 및 모니터링
4) 영양 공급 및 소화기 관리
5) 감염 예방
6) 통증 관리 및 발달 지원
2-3. 기대효과
3. 참고문헌
1-1. 윤리적 딜레마 사례
1) 윤리적 딜레마 사례 배경
2) 사례의 구체적 윤리적 딜레마
1-2. 윤리적 딜레마 사례의 해결 방안
1) 윤리적 원칙 적용
2) 구체적 해결 방안
3) 기대효과
1-3. 본인의 의견
2. 다음 사례를 읽고, 대상 미숙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 중재와 근거를 서술하시오
2-1. 사례와 사례 분석
2-2. 사례의 미숙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 중재 및 근거
1) 호흡 지원 및 산소 요법
2) 체온 조절
3) 심혈관계 안정화 및 모니터링
4) 영양 공급 및 소화기 관리
5) 감염 예방
6) 통증 관리 및 발달 지원
2-3. 기대효과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줄이며, 적절한 수액 관리는 저혈압과 신장 손상을 예방한다(Bell & Acarregui, 2014).
③빈맥은 저산소증, 통증, 또는 과도한 자극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다각적 평가가 필요한(Gomella et al., 2020).
4) 영양 공급 및 소화기 관리
(1) 중재
①초기 비경구 영양(TPN):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비경구 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을 시작해 단백질(2-3 g/kg/day)과 지질(0.5-1 g/kg/day)을 공급한다.
②최소 장내 영양: 소화기계 발달을 촉진하기 위하여 출생 2~3일 후 모유 또는 미숙아용 조제분유를 10-20 mL/kg/day로 소량 시작한다.
③위관 영양: 위관을 삽입해 소량씩(2~3시간마다) 영양을 공급하며, 잔류물을 확인해 장의 폐쇄를 모니터링한다.
(2) 근거
①비경구 영양은 미숙아의 에너지 요구를 충족시키고 성장 지연을 방지하며, 조기 투여는 단백질 대사를 지원한다(Hay et al., 2017).
②최소 장내 영양은 장 점막 발달을 촉진하고 괴사성 장염(NEC)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ㅣ다(Morgan et al., 2014).
③위관 영양은 소화기계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영양을 공급하며, 잔류물 확인은 장 기능 이상을 조기에 감지한다(Klein et al., 2019).
5) 감염 예방
(1) 중재
①무균 기술: 모든 침습적 처치(정맥 카테터 삽입, 기관내 삽관 등) 시 무균 기술을 철저히 준수한다.
②손 위생: 간호사·의료진은 환아 접촉 전후 철저한 손 위생을 시행한다.
②환경 관리: 보온기 및 장비를 정기적으로 소독하고, 방문자 제한 정책을 적용하여 감염원을 최소화한다.
(2) 근거
①미숙아는 면역계 미성숙으로 감염에 취약하며, 병원 내 감염은 사망률과 이환율을 증가시킨다(Stoll et al., 2015).
②무균 기술과 손 위생은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CLABSI)과 호흡기 감염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Polin et al., 2012).
6) 통증 관리 및 발달 지원
(1) 중재
①비약물적 통증 관리: 침습적 처치 전후로 비약물적 중재(캥거루 케어, 비영양성 빨기 등)를 적용해 통증과 스트레스를 완화한다.
②통증 평가: (NIPS) 또는(PIPP)를 사용하여 통증을 정기적으로 평가한다.
③발달 지원: 소음과 빛을 최소화하고, 클러스터 케어(cluster care)를 통하여 불필요한 자극을 줄이며, 부모와의 피부 접촉을 장려한다.
(2) 근거
①비약물적 통증 관리는 미숙아의 신경계 스트레스를 줄이고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Stevens et al., 2016).
②통증 평가는 적절한 통증 관리를 보장하며, 과도한 통증은 신경발달 장애 위험을 증가킨다(Anand & Hickey, 1987).
③발달 지원은 미숙아의 뇌 발달과 정서적 안정감을 촉진하며, 부모 참여는 가족 중심 간호를 강화한다(Als, 1982, NIDCAP).
2-3. 기대효과
위 간호 중재를 통해 미숙아의 호흡곤란증후군 증상을 완화하고, 체온과 심혈관계 안정성을 유지하며, 영양 공급과 감염 예방을 통해 건강한 성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증 관리와 발달 지원은 신경발달 결과와 가족의 만족도를 개선한다.
3. 참고문헌
정지연,김혜원,이주현(2025). 고위험모아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미예 외(2018), 아동건강회복간호, 수문사
이상미(2003), 모아간호학: 고위험대상자 중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여성희(2007),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한양대학교,
최지영(2010), 전문가윤리의 관점에서 본 교사의 도덕성에 대한 탐색적 논의, 교육발전연구
③빈맥은 저산소증, 통증, 또는 과도한 자극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다각적 평가가 필요한(Gomella et al., 2020).
4) 영양 공급 및 소화기 관리
(1) 중재
①초기 비경구 영양(TPN):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비경구 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을 시작해 단백질(2-3 g/kg/day)과 지질(0.5-1 g/kg/day)을 공급한다.
②최소 장내 영양: 소화기계 발달을 촉진하기 위하여 출생 2~3일 후 모유 또는 미숙아용 조제분유를 10-20 mL/kg/day로 소량 시작한다.
③위관 영양: 위관을 삽입해 소량씩(2~3시간마다) 영양을 공급하며, 잔류물을 확인해 장의 폐쇄를 모니터링한다.
(2) 근거
①비경구 영양은 미숙아의 에너지 요구를 충족시키고 성장 지연을 방지하며, 조기 투여는 단백질 대사를 지원한다(Hay et al., 2017).
②최소 장내 영양은 장 점막 발달을 촉진하고 괴사성 장염(NEC)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ㅣ다(Morgan et al., 2014).
③위관 영양은 소화기계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영양을 공급하며, 잔류물 확인은 장 기능 이상을 조기에 감지한다(Klein et al., 2019).
5) 감염 예방
(1) 중재
①무균 기술: 모든 침습적 처치(정맥 카테터 삽입, 기관내 삽관 등) 시 무균 기술을 철저히 준수한다.
②손 위생: 간호사·의료진은 환아 접촉 전후 철저한 손 위생을 시행한다.
②환경 관리: 보온기 및 장비를 정기적으로 소독하고, 방문자 제한 정책을 적용하여 감염원을 최소화한다.
(2) 근거
①미숙아는 면역계 미성숙으로 감염에 취약하며, 병원 내 감염은 사망률과 이환율을 증가시킨다(Stoll et al., 2015).
②무균 기술과 손 위생은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CLABSI)과 호흡기 감염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Polin et al., 2012).
6) 통증 관리 및 발달 지원
(1) 중재
①비약물적 통증 관리: 침습적 처치 전후로 비약물적 중재(캥거루 케어, 비영양성 빨기 등)를 적용해 통증과 스트레스를 완화한다.
②통증 평가: (NIPS) 또는(PIPP)를 사용하여 통증을 정기적으로 평가한다.
③발달 지원: 소음과 빛을 최소화하고, 클러스터 케어(cluster care)를 통하여 불필요한 자극을 줄이며, 부모와의 피부 접촉을 장려한다.
(2) 근거
①비약물적 통증 관리는 미숙아의 신경계 스트레스를 줄이고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Stevens et al., 2016).
②통증 평가는 적절한 통증 관리를 보장하며, 과도한 통증은 신경발달 장애 위험을 증가킨다(Anand & Hickey, 1987).
③발달 지원은 미숙아의 뇌 발달과 정서적 안정감을 촉진하며, 부모 참여는 가족 중심 간호를 강화한다(Als, 1982, NIDCAP).
2-3. 기대효과
위 간호 중재를 통해 미숙아의 호흡곤란증후군 증상을 완화하고, 체온과 심혈관계 안정성을 유지하며, 영양 공급과 감염 예방을 통해 건강한 성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증 관리와 발달 지원은 신경발달 결과와 가족의 만족도를 개선한다.
3. 참고문헌
정지연,김혜원,이주현(2025). 고위험모아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미예 외(2018), 아동건강회복간호, 수문사
이상미(2003), 모아간호학: 고위험대상자 중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여성희(2007),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한양대학교,
최지영(2010), 전문가윤리의 관점에서 본 교사의 도덕성에 대한 탐색적 논의, 교육발전연구
키워드
추천자료
고위험모아간호학 2023학년도 2학기) 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을 요약하고, 역할 수행 과정에...
[2023 고위험모아간호학] (1)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을 요약하고, 역할 수행 과정에서 직면하...
2023년 2학기 고위험모아간호학) 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을 요약하고,고위험모아간호학 역할 ...
고위험모아간호학] (1) 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을 요약하고, 역할 수행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
고위험모아간호학] (1) 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을 요약하고, 역할 수행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
고위험모아간호학 2023년 2학기) 고위험모아간호학 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을 요약 직면하게 ...
[고위험모아간호학 2024년 2학기 중간과제물) 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을 요약하고, 역할 수행...
(2024년 2학기 고위험모아간호학 중간- 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을 요약하고, 역할 수행 과정...
[고위험모아간호학 2024년 2학기 중간- 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을 요약하고, 역할 수행 과정...
고위험모아간호학 2025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아동간호사의 다양한 역할 수행 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