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어(비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특수어(비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뜻하는 영어 스위프(sweep)에서 유래했다고 보기도 한다. 대청소를 가리키는 \'미싱하우스\'는 물청소를 뜻하는 일본어 \'미즈나오시(みずなおし)\'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억지 영어 \'missing house\'에서 왔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 \'missing\'에 \'보이지 않는\'의 뜻이 있으므로 먼지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막사(house)를 청소한다는 의미에서 이 말이 쓰이게 됐다는 것이다.
경찰을 이르는 말인 \'짭새\'도 심심치 않게 사용되고 있다. 80년대 군사정권 아래에서 대학에 다닌 사람들은 \'짭새\'의 의미가 바로 와 닿을 것이다. 10.26 이후 신군부가 들어서면서 격렬한 시위가 벌어질 즈음 생긴 말이다. 그때는 주로 사복을 입고 교내에 들어와 데모하는 학생을 연행해 가는 경찰을 일컫는 말이었다. 경찰의 애칭인 \'포돌이\'처럼 \'잡다\'의 \'잡\'과 돌쇠 등에 쓰이는 \'-쇠\'가 결합해 \'잡쇠\'가 되고 \'짭새\'로 변했다고 보기도 하고, 경찰 마크인 독수리를 비하해 부르는 이름이라 보기도 한다.
허우대나 가슴을 뜻하는 \'갑빠\'도 쓰이고 있다. \'갓빠\' 또는 \'갓바\'라 부르기도 하는데, 포르투갈어 \'카파(capa)\'를 일본식으로 발음한 \'가빠\'에서 유래한 것이다. \'카파\'는 비가 올 때 사람의 어깨에서 무릎 위까지 걸치는 망토나 가구.기구를 덮는 보호막 등을 뜻하는 말이다. 카파를 입으면 본래의 몸체보다 커 보이고 듬직해 보인다는 이유로 체면.외양.체격, 가슴 근육 등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이처럼 비속어나 은어는 언어학적 방법이나 사실을 바탕으로 어원을 분석하기는 쉽지 않고 민간 속설에 의지해 그럴 것이라 짐작하는 정도에 머무르는 것이 대부분이다. 어느 사회에나 존재하는 이런 언어는 세태를 반영하거나 문화적.사회적 특성을 띠기도 한다. 언어생활에 활력이 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선 듣는 사람에게 혐오감과 모멸감을 주는 것이 적지 않다. 결국은 정상적인 언어를 파괴하고, 사용하는 사람의 격을 떨어뜨리는 말들이다. 더구나 요즘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솔직히 20대 후반인 본인도 알아들을 수 없는 말들이 많다. 이런식으로 가다가는 정말 한글이라는 언어는 사라지고 변형된 언어가 나타나 우리나라를 점령해 나갈지도 모른다. 한 나라의 말이 바로 서지 않으면 그 나라의 사상이 흔들리고 얼이 흐려진다. 하루빨리 우수한 우리 한글을 제대로 쓰자는 운동이 필요하다고 보며 나부터가 올바른 말을 써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키워드

특수어,   비어,   한글,   언어,   속어,   은어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3.24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4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