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이코패스
1) 사이코패스 & 반사회적 인격장애
2) 원조 사이코패스
3) 사이코패스 발생원인
2. 사이코패스 신드롬
1) 사이코패스(Psycho-path)
2) 사이코패스 신드롬, 문제 있다
3. 사이코패스 예방 사회가 되어야
참고 자료
1) 사이코패스 & 반사회적 인격장애
2) 원조 사이코패스
3) 사이코패스 발생원인
2. 사이코패스 신드롬
1) 사이코패스(Psycho-path)
2) 사이코패스 신드롬, 문제 있다
3. 사이코패스 예방 사회가 되어야
참고 자료
본문내용
없이 흘러가, 아이들은 강호순 흉내 내기 놀이를 하고 있고, 어른들은 ‘아이러브 호순’이라는 팬 카페까지도 탄생시켰으니, 이 얼마나 기가 막힐 노릇인가.
결국 7명을 목적이나 동기도 없이(물론 목적이나 동기가 있다고 해서 정당화 될 수는 절대 없지만) 살해한 비인간적 범죄 행각에 대한 진지한 성찰은 망각한 채, 사이코패스라는 용어만 유행어처럼 번지고 있다. 강호순의 살인은 한 인간의 범죄 행각이지만, ‘사이코패스 신드롬’은 하나의 사회적 범죄(병리)인 것이다.
사이코패스 예방 사회가 되어야
전국을 충격과 공포로 몰고 갔던 강호순의 범죄 행각을 돌이켜보자. 강호순이 현재 인정하고 있는, 즉 드러난 살인은 총 7건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얼마나 더 많은 범행이 숨겨져 있는지 알 수 없다. 물론 경찰이 늦게나마 강호순을 검거한 것은 다행이다. 여대생 실종 현장 주변을 지났던 7천여 대의 차량을 CCTV로 일일이 확인해가며 수사한 끝에 강호순을 잡아내고, 프로파일러의 활약과 함께 강씨의 차량에서 발견된 혈흔의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추가 범행 사실들을 알아낸 점은 높이 살 수 있다.
프로파일러(Profiler, 범죄 심리분석관)
범죄자의 특성(profile)을 찾아내는 사람들을 말한다. DNA나 지문 등 법의학적 증거나 생물학적 증거를 찾아내는 데 주력하는 과학수사와 달리, 프로파일러는 범죄자의 심리와 행동에 주목한다. 그들은 일련의 사건 속에서 범인이 주로 어떤 행동을 했는지를 찾아내고 그 이유를 도출한 뒤 사건을 재구성한다. 이런 정차를 거치면, 전혀 신원이 밝혀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범인의 성격과 특징을 찾아내 ‘목록’으로 만들 수 있다. 한국에서는 2000년에 프로파일링이 도입돼 현재 40여 명의 프로파일러가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몇몇 언론에서도 지적했듯이 부녀자들이 잇따라 실종될 때에도 범행수법이나 연관성을 찾기 힘들다는 이유로 연쇄살인에 대한 가능성을 배제하는 등 수사상의 허점을 보인 것도 사실이다. 강호순이 열흘 이내 간격으로 다섯 차례나 범행을 저질렀던 경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실들이나 추가범행에 대한 내용이 상당부분 수사에 의한 것이 아니라 범인의 자백에 의해 밝혀졌다는 것은 아직까지도 경찰의 수사력이나 사전 대응 노력들이 많이 부족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만약 경찰이 초기부터 좀 더 적극적으로 체계적인 수사망을 펼쳤다거나, 시민들이 좀 더 자발적인 감시의 눈을 밝혔더라면 이와 같은
결국 7명을 목적이나 동기도 없이(물론 목적이나 동기가 있다고 해서 정당화 될 수는 절대 없지만) 살해한 비인간적 범죄 행각에 대한 진지한 성찰은 망각한 채, 사이코패스라는 용어만 유행어처럼 번지고 있다. 강호순의 살인은 한 인간의 범죄 행각이지만, ‘사이코패스 신드롬’은 하나의 사회적 범죄(병리)인 것이다.
사이코패스 예방 사회가 되어야
전국을 충격과 공포로 몰고 갔던 강호순의 범죄 행각을 돌이켜보자. 강호순이 현재 인정하고 있는, 즉 드러난 살인은 총 7건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얼마나 더 많은 범행이 숨겨져 있는지 알 수 없다. 물론 경찰이 늦게나마 강호순을 검거한 것은 다행이다. 여대생 실종 현장 주변을 지났던 7천여 대의 차량을 CCTV로 일일이 확인해가며 수사한 끝에 강호순을 잡아내고, 프로파일러의 활약과 함께 강씨의 차량에서 발견된 혈흔의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추가 범행 사실들을 알아낸 점은 높이 살 수 있다.
프로파일러(Profiler, 범죄 심리분석관)
범죄자의 특성(profile)을 찾아내는 사람들을 말한다. DNA나 지문 등 법의학적 증거나 생물학적 증거를 찾아내는 데 주력하는 과학수사와 달리, 프로파일러는 범죄자의 심리와 행동에 주목한다. 그들은 일련의 사건 속에서 범인이 주로 어떤 행동을 했는지를 찾아내고 그 이유를 도출한 뒤 사건을 재구성한다. 이런 정차를 거치면, 전혀 신원이 밝혀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범인의 성격과 특징을 찾아내 ‘목록’으로 만들 수 있다. 한국에서는 2000년에 프로파일링이 도입돼 현재 40여 명의 프로파일러가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몇몇 언론에서도 지적했듯이 부녀자들이 잇따라 실종될 때에도 범행수법이나 연관성을 찾기 힘들다는 이유로 연쇄살인에 대한 가능성을 배제하는 등 수사상의 허점을 보인 것도 사실이다. 강호순이 열흘 이내 간격으로 다섯 차례나 범행을 저질렀던 경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실들이나 추가범행에 대한 내용이 상당부분 수사에 의한 것이 아니라 범인의 자백에 의해 밝혀졌다는 것은 아직까지도 경찰의 수사력이나 사전 대응 노력들이 많이 부족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만약 경찰이 초기부터 좀 더 적극적으로 체계적인 수사망을 펼쳤다거나, 시민들이 좀 더 자발적인 감시의 눈을 밝혔더라면 이와 같은
추천자료
유영철 살인사건
연쇄살인의 프로파일 요소
범죄 심리에 관련된 영화 감상문
[A+우수자료][맨온파이어영화감상문][맨온파이어 영화분석&영화비평][맨온파이어]
정두영 사건 범죄심리학적 분석
공중그네
영화 추격자 감상문을 현대심리학적관점으로
[토론문] 사형폐지 찬반토론문
[독후감] 브루클린의 소녀 (독서감상문) (저자 기욤 뮈소)
발달 이론 중 성숙 주의와 행동주의 따른 보육 교사의 역할을 비교하여 논하시고, 이를 바탕...
[독후감] 분노의 심리학 (서평, 독서감상문) 윌리엄 헬름라이히 저자
정유정의 종의 기원 을 읽고 난 후 독후감입니다.
[굿 미 배드 미]를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