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ganice Devices의 종류 및 작동원리와 현 발전 동향에 대하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Organice Devices의 종류 및 작동원리와 현 발전 동향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 Organic Transistor
1. Organic Transistor
2. 기본적인 동작원리
3. 유기 TFT기술의 응용
4. 최근 발전 동향
5. 결론 및 고찰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1.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2. OLED 구조
3. OLED 원리
4. OLED와 LED 구조의 차이점
5. OLED 문제점
6. OLED 전망
7. 결론 및 고찰

■ Solar Cell
1. 서론
2. Solar Cell
1) 태양전지의 종류 및 작동 원리
2) 문제점 및 발전 방향
3. 결론 및 고찰

■ 마치며..

본문내용

밀려 빛을 보지 못하고 있으며, 개발도 부진하여 언제 LCD를 대체할지 모르는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동영상 콘텐츠의 활성화로 인해서 LCD보다 1000배 빠른 응답속도를 갖고 있는 OLED는 DMB폰 디스플레이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확고하게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시장 규모 형성도 2006년 경에는 239만개,2007년 경에는 2천 484만 1천개,2008년 경에는 9천 588만 9천개,등으로 \'수직 상승\'해서 2010년 경에는 2억개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한국 기업으로서는 삼성SDI와 LG전자가 선두주자로 나서고 있으며, 일본 기업에서는 소니가 11인치 OLED TV를 선보였으며, 대만 기업들과 함께 각축을 벌이고 있다.
구분
OLED
LCD
두께
0.78mm ~ 0.81mm
1.9mm ~ 2.6mm
해상도
240 * 320
240 * 320
화면크기
2.0 ~ 2.4\"
2.4 ~ 2.4\"
색상수
26만 2천원
26만 2천 ~ 1,6000만
화면밝기
200 ~ 250 cd/m2
250~300cd/m2
명암비
10000 : 1
350 ~ 400 : 1
응답속도
0.01ms 이하
25ms
색재현율
70 ~ 100%
50 ~ 72%
소비전력
229mW
-
수명
20,000 ~ 28,000 hrs
-
2. OLED구조
EL디스플레이는, 유리 기판상에 양극, 3층의 유기막(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음극을 순서에 적층해 구성한다. 유기 분자는 에너지를 받으면(여기 상태), 원래의 상태(기저 상태)로 돌아오려고 한다. 그 때에 받은 에너지를 빛으로서 방출한다고 하는 성질이 있다. 유기 EL소자에서는, 전압을 걸면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홀(+)과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발광층내에서 재결합해, 유기 분자를 여기해 발광한다.
전압을 가하면 유기물이 빛을 발하는 특성을 이용하며, 유기물에 따라 R, G, B를 발하는 특성을 이용해 Full Color를 구현하는 것이 발광원리이다. 자발광소자로서 휘도/색순도 특성이 뛰어나다. OLED와 LCD의 구조적관점이라면 OLED는 전극사이에 organic이 들어가고 LED는 PN-junction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3. OLED원리
유기 EL디스플레이는, 유리 기판상에 양극, 3층의 유기막(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음극을 순서에 적층해 구성한다. 유기 분자는 에너지를 받으면(여기 상태), 원래의 상태(기저 상태)로 돌아오려고 해, 그 때에 받은 에너지를 빛으로서 방출한다고 하는 성질이 있다. 유기 EL소자에서는, 전압을 걸면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홀(+)과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발광층내에서 재결합해, 유기 분자를 여기해 발광한다. 전압을 가하면 유기물이 빛을 발하는 특성을 이용하며, 유기물에 따라 R, G, B를 발하는 특성을 이용해 Full Color를 구현하는 것이 발광원리이다. 자발광소자로서 휘도/색순도 특성이 뛰어나다.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가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음극에서는 전자(-)가 전자수송층의 도움으로 발광층으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양극에서는 Hole(+개념, 전자가 빠져나간 상태)이 Hole수송층의 도움으로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유기물질인 발광층에서 만난 전자와 홀은 높은 에너지를 갖는 여기자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여기자가 낮은 에너지로 떨어지면서 빛을 발생하게 된다. 발광층을 구성하고 있는 유기물질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빛의 색깔을 달라지게 되며, R,G,B를 내는 각각의 유기물질을 이용하여 Full Color를 구현할 수 있다. 단순히 Pixel을 열고 닫는 기능을 하는 LCD와는 달리 직접 발광하는 유기물을 이용한다.
4. OLED와 LED 구조의 차이점
LED / 발광다이오드
LED(Light Emitting Diode)란 발광다이오드의 영어명을 줄인것으로 빛을 발하는 반도체소자를 말하며 각종 전자제품류와 자동차계기판등의 전자표시판에 활용되고 있다.
갤륨비소(GaAs)재질이나 이 재질에 인·알루미늄 등을 첨가해 만든 칩을 사용하는 LED는 직경 3 , 5 등으로 제작되며 발광색상은 현재 빨강.녹색.노랑.오렌지색 등이 개발되어 있다.
첨가하는 불순물의 함량에 따라 재질의 파장이 달라 파장은 인간의 가시광선영역인 4백나노미터에서 7백나노미터사이이며 적색은 7백나노미터대, 녹색은 5백65나노미터, 노랑은 5백85나노미터, 오렌지색은 6백35나노미터의 파장을 형성하고 있다.
청색 LED는 아직 가시광선내에서의 파장이 미형성, 세계적으로 처음 선보이고 있는 시제품도 휘도가 크게 떨어져 상용화가 안되고 있었으나 최근 일본에서 질화갤륨비소와 사파이어 등을 이용하여 기존의 세계 최고 휘도제품의 7배휘도제품을 개발했다고 한다.
LED는 모노리식LED 디스플레이와 하이브리드형 LED디스플레이로 분류되며 반도체라는 특성으로 인해 처리속도, 전력소모, 수명 등의 제반사항에서 큰 장점을 보여 각종 전자제품의 전자표시부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기존 전구램프처럼 눈이 부시거나 엘러먼트가 단락되는 경우가 없는 LED는 소형으로 제작돼 각종 표시소자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반영구적인 수명(약 1백만시간)으로 그 활용도가 높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CD를 대체할 차세대 디스플레이용으로 볼 수 있다. 에너지 효율이 월등히 높고 밝기도 밝아 소형 가전 제품의 디스플레이용으로 적합하다. 유기 EL이라고 불리는 OLED는 자체 발광 방식으로 전장을 가하면 빛이 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선명한 컬러와 가벼운 구조, 빠른 응답 속도가 장점이다. 최근 부각되고 있는 OLED 기술은 현재까지 활발히 연구, 개발되고 있는 소자로 디지탈 카메라에서는 코닥 이지쉐어 LS633에 처음 채용되었다.
-차이점
한마디로 OLED는 유기 EL로 이루어진 차세대 디스플레이용으로 사용되고, LED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5. OLED 문제점
전자와 홀이 리컴비네이션할 때 나오는 빛을 유기적인 물질로 조절하여 RGB컬러를 내는 발광방식으로 백라이트가 필요없어 LCD에 비해 가볍고 얇다는 장점을 지닌다. 조도를 정할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9.03.29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64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