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비밀누설 금지의무
1. 사생활보호의무
2. 업무상비밀유지의무
3. 의료읜의 비밀유지의무
○ 확인의무
1. 확인의무의 볍률적 배경
2. 확인의무의 내용
1. 사생활보호의무
2. 업무상비밀유지의무
3. 의료읜의 비밀유지의무
○ 확인의무
1. 확인의무의 볍률적 배경
2. 확인의무의 내용
본문내용
미국연방병원과의 소송사례
- 간호사의 확인의무 공식 인정
→ 대상자에게 가해질 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독자적으로
판단하고 적극적으로 수행할 의무가 있음을 판단
대상자의 위해를 방지할 의무 → 확인의무
2. 확인의무의
내용
간호사 - 본인이 위임한 간호보조자의 행위를 지도 및 감독
하여야 할 의무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보건의료인의 행위
가 실무표준행위에 위반되지 않고 적절한지 관찰
의심이 가는 행위 발견 → 상위 관리자에게 보고
환자의 확인, 의약품 및 의료용 재료의 변질여부 확인, 의료
기구 및 기구의 상태 확인, 사용의약품의 분량, 투여방법 등
→ 확인할 의무
우리나라의 경우 : 확인의무를 별도의 법적 의무로 구분하지
않고 주의의무의 한 내용으로 보고 있음
팔에 석고붕대를 한 대상자의 손에 부종이 있었고 피부색이
검게 변하는 등 구획중후군의 증상과 증후를 보이면서 심하
게 고통을 호소하였다. 간호사가 담당의사에게 연락하여 의
사가 도착하였으나 경과를 좀더 지켜보자고 말만 하고 돌아
갔으며, 그후로 환자는 여러 차례 간호사에게 고통을 호소하
였고 간호사는 그때마다 의사에게 보고 하였으나 의사는 별
다른 조취를 취하지 않았다. 결국 환자의 감
- 간호사의 확인의무 공식 인정
→ 대상자에게 가해질 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독자적으로
판단하고 적극적으로 수행할 의무가 있음을 판단
대상자의 위해를 방지할 의무 → 확인의무
2. 확인의무의
내용
간호사 - 본인이 위임한 간호보조자의 행위를 지도 및 감독
하여야 할 의무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보건의료인의 행위
가 실무표준행위에 위반되지 않고 적절한지 관찰
의심이 가는 행위 발견 → 상위 관리자에게 보고
환자의 확인, 의약품 및 의료용 재료의 변질여부 확인, 의료
기구 및 기구의 상태 확인, 사용의약품의 분량, 투여방법 등
→ 확인할 의무
우리나라의 경우 : 확인의무를 별도의 법적 의무로 구분하지
않고 주의의무의 한 내용으로 보고 있음
팔에 석고붕대를 한 대상자의 손에 부종이 있었고 피부색이
검게 변하는 등 구획중후군의 증상과 증후를 보이면서 심하
게 고통을 호소하였다. 간호사가 담당의사에게 연락하여 의
사가 도착하였으나 경과를 좀더 지켜보자고 말만 하고 돌아
갔으며, 그후로 환자는 여러 차례 간호사에게 고통을 호소하
였고 간호사는 그때마다 의사에게 보고 하였으나 의사는 별
다른 조취를 취하지 않았다. 결국 환자의 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