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굴기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굴기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發掘區를 발굴해 나갈 때 유의해야할 점

2. 토층관찰용 둑(Balk)

3. 발굴의 여러 가지 방법

본문내용

면 실측과 기록 후에 이 층위까지의 둑을 제거하며, 이 상태에서 유구에 대한 관찰, 기록한 후에 다시 그 위치에 둑을 남기고 발굴해 내려간다.
- 토층 관찰용의 둑을 남길 여유가 없는 좁은 유구를 발굴할 경우에는 4분법에 준하여 둑을 만들지 않고 발굴구 또는 단위 유구 내에 十자 기준선을 설치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1구와 3구를 먼저 발굴하여 종단면과 횡단면 토층을 확인, 기록한 후, 2구와 4구를 발굴하면 된다.
- 토층관찰용 둑은 층위와 유구의 형상을 이해하기 쉬운 위치에 남겨져야 한다.
- 일반적으로 원형에 가까운 유구에서는 그 중심을 지나는 선에 단면 관찰용 토층의 둑이 벽면이 지나도록 둑을 설치하고,
- 방형 또는 장방형의 유구는 主軸에 직교 - 평행하는 중심선상에서 토층관찰용 둑의 단면선이 지나도록 둑을 설치한다.
- 두 개 이상의 층이나 유구가 부분적으로 중복되어 있는 경우는 중복되어 있는 부분에 토층관찰용 둑이 걸리도록 한다. 적절하지 못한 위치에 둑이 설치되어 토층 단면이 잘린 경우에는 유구나 토층의 관찰이 매우 어렵게 되고, 그 토층은 별 의미가 없어져 버린다.
2) 둑의 新設
- 발굴 초기에 설정한 토층관찰용의 둑이 그 후에 검출된 토층이나 유구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 토층이나 유구의 단면을 잘 관찰할 수 있는 곳에 새로운 둑을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토층이나 유구에서 둑이 다소 어긋나 있다 하더라도 실제로는 대부분의 경우 층위관계를 판정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으므로 처음 설정한 둑으로 층위관계와 유구 단면 파악이 불충분할 경우에만 필요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새로운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3.31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69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