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조어법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조어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어법
가. 굴곡
나. 파생
다. 합성

2. 어근과 접사
가. 어근과 접사의 규칙성
나. 어근과 접사의 불규칙성

3. 파생법
가. 접두파생법
나. 접미파생법

4. 합성법
가. 통사적 합성법과 비통사적 합성법
나. 명사 합성법
다. 동사 합성법
라. 형용사 합성법
마. 관형사 및 부사 합성법

5. 합성어의 파생

*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조어법 비교 분석
1. 조어법
형태소와 형태소가 결합하여 어휘를 형성하게 되는데, 형태소 결합에 의한 어휘 형성방법을 \'조어법\'이라고 한다. 형태소들이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굴곡\', \'파생\', \'합성\' 등이 있다.
가. 굴곡
조사 또는 어미가 어휘에 붙어서 문장 성분을 나타내거나 어형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를 굴곡이라 한다. 조사는 명사에 붙어서 그 명사의 문장 성분을 나타낸다. 반면 어미는 용언의 어간에 붙어서 어형의 변화를 일으키는데, 어형이 변화하지 않는 조사에 의한 굴곡을 \'준굴곡\'이라 하기도 한다. 이런 차이에 의해 조사를 \'곡용어미\'로, 어미를 \'활용어미\'로 각각 부르기도 한다.
나. 파생
파생은 어근에 접사가 붙어 이루어지는 형태소 결합 방식이다. 한국어의 접사는 접두사와 접미사로 나눠지므로, 파생의 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어휘는 크게 접두파생어와 접미파생어가 있고, 접두사와 접미사가 모두 사용되어 만들어지는 파생어도 있는데 이를 양면파생어라고 한다.
예) 접두 파생어 : 덧-니, 맏-아들, 맨-손
접미 파생어 : 장난-꾸러기, 울-보, 시골-나기
양면 파생어 : 헛-손-질, 쪽-집-개, 저-멀-리
다. 합성
합성은 두 가지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여 새로운 의미의 어휘를 만들게 되는 것을 이르며 그렇게 만들어진 것을 합성어라고 한다. 두 개 이상의 어근이 결합해서 각각의 어근의 의미와는 다른 새로운 의미를 얻게 되었을 때, 즉, 두 가지의 의미가 아닌 하나의 의미가 되는 것을 \'융합\'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몸집\'이라는 낱말과 같이 \'몸\', \'집\'이라는 각각의 형태소 의미와는 다른 의미가 생성되었을 경우를 이른다.
합성어는 대부분 성분의 통사적 관계에 의하여 결합되는데, 통사적 합성어에는 앞, 뒤 어근의 관계에 따라 종속관계와 병립관계로 나뉘며 이 두 부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들도 있다.
예) 통사적 합성어 : 종속 관계(콩-나물, 틀-창, 돌아-가다)
병립 관계(피-땀, 나-들다, 흑-백)
2. 어근과 접사
가. 복합어의 형성에 나타나는 실질형태소를 \'어근(root;뿌리)\'이라고 부르고, 형식형태소를 \' 접사(affix;가지)\'라고 부른다. 어근의 앞에 위치하는 접사는 \'접두사(prefix)\'라고 하며, 뒤에 위치하는 접사는 \'접미사(suffix)\'라고 한다.
나. 어근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1) 어근의 품사가 분명하고 다른 말과 자유롭게 통합될 수 있는 어근을 \'규칙적 어근\'이라 고 하고, 그렇지 않은 어근은 \'불규칙적 어근\'이라고 한다.
예) 짚-신, 아름-답다, 따뜻-하다
2) 불규칙적 어근은 대개 제한된 일부의 접사와만 결합할 수 있는데, 특히 이런 형태소를 \' 불구형태소\'라고 부른다.
다. 접사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접사는 일반적으로 어근과의 통합에 제약을 받는데, 그 정도가 접사마다 차이가 있다.
예1) 지붕(집-웅), 꼬락서리(꼴-악서리)
예2) 먹이다(먹-이-), 높이(높-이), 걱정스럽다(걱정-스럽-)
예3) 아이들, 백 원짜리, 두 개씩
예1)의 접미사들은 생산성이 없어 새로운 단어의 형성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접미사들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이어 적음으로써 원형을 밝히지 아니한다.
예2)의 접미사들은 비교적 생산성이 있는 부류로서,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원형 을 밝혀 적는다.
예3)의 접미사들은 생산성이 매우 높은 부류로서, 사전에 등재하지 아니한다.
라. 어근과 접사, 접사와 어미
1) 어근은 단어 형성시 불변요소이며, 어간(stem)은 활용시의 불변요소이다. 이에 대하여 접사는 단어형성의 가변요소이고, 어미(ending)는 활용시의 가변요소이다.
예) 짓밟혔다 : 짓 + 밟 + 히 + 였 + 다
접두사 어근 접미사 선어말어미 어말어미
어간 어미
2) 어떤 형식 X에 접사가 결합할 때, X를 \'어기(base)\'라고 부르기도 한다.
3. 파생법
가. 접두사에 의한 파생
중세국어에서도 현대국어와 같이 접두사에 의한 파생은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일이 없어 서, 모두 \'어휘적 파생법 어근의 뜻만을 한정하는 접사를 한정적 접사라고 하며, 품사를 바꾸는 접사를 지배적 접사라고 한다.
한정적 접사에 의한 파생법을 \'어휘적 파생법\'이라고 하며, 지배적 접사에 의한 파생법을 \'통사적 파생법\'이라고 한다.
\'에 속한다. 접두파생법에 의해 파생되는 품사에는 명사, 동사, 형용사가 있다.
1) 파생체언
명사어근에 접두사가 붙어 다시 명사가 된 것이다.
▶ 중세국어
예) 아마괴,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03.31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7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