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학교조경][공원조경][실내조경][잔디조경][학교][공원][실내][잔디]학교조경과 공원조경 및 실내조경 그리고 잔디조경 분석(조경, 학교조경, 공원조경, 실내조경, 잔디조경, 학교, 공원, 실내, 잔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경][학교조경][공원조경][실내조경][잔디조경][학교][공원][실내][잔디]학교조경과 공원조경 및 실내조경 그리고 잔디조경 분석(조경, 학교조경, 공원조경, 실내조경, 잔디조경, 학교, 공원, 실내, 잔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학교조경
1. 학교조경의 개념
2. 학교조경의 기능
1) 정서 순화를 위한 심리적 의의
2) 학습자료의 의의
3) 환경교육의 실천적 장이라는 교육적 의의
4) 환경 개선으로서의 생태적 의의
5) 지역 주민과 학생들의 근린공원으로서 의의
6) 학교 조경 조성을 위한 미학적·기능적 의의

Ⅱ. 공원조경
1. 공원조경의 정의
2. 공원조경의 역사
3. 공원조경의 기능과 효용성
1) 휴식, 대화의 장으로서의 기능
2) 경제적 토지이용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기능
3) 경관요소로서의 기능
4) 자연과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기능
5) 도시 문화환경 개선의 기능

Ⅲ. 실내조경
1. 현관
2. 응접실
3. 안방과 어린이방
4. 주방
5. 욕실
6. 창가

Ⅳ. 잔디조경
1. 잔디 까는 법
2. 잔디밭의 관리
1) 잔디깍기
2) 관수와 배수
3) 제초
4) 시비(施肥)
5) 잔디밭의 객토(客土 ; top dressing)
6) 잔디의 갱신(更新)
7) 잔디의 답안
8) 병충해와 방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에 밝은 분위기가 좋으며, 따뜻한 장소이기 때문에 식물이 자라는 데 비교적 적합한 편이지만 다른 어떤 장소보다 청결하게 손질하도록 마음 써야 한다. 키 큰 화분을 배치할 때는 화분 위에 작은 식물을 모아 심어 멋을 내고, 소품 식물로 접시정원을 만들어 식탁 위를 장식해 본다. 식물은 백합 글라디올러스이 좋다.
5. 욕실
다습하고 햇빛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협소한 공간이기 때문에 소품위주의 식물이 좋다. 많은 식물을 두는 것 보다는 수경재배하는 식물이나 모아심기한 소품을 한두 점 장식하는 것이 좋다. 높은 위치에 식물을 배치하려면, 덩굴성 식물이 적합하고 조란, 달개비, 시서스를 물심기하여 장식하는 것도 간편해서 좋다. 비눗물이나 더운 물이 튀는 위치에는 식물을 두지 않도록 주의한다. 과제로 기르고 있는 러브체인도 욕실에서 기르고 있다.
6. 창가
제철 꽃 식물을 놓아 계절감을 만끽하고, 집안 전체를 화사하게 꾸며 보자. 아이비, 제라늄, 페튜니아, 한련 등은 창가를 화려하게 장식해 주는 화초들이다. 같은 종류 같은 크기의 화분을 반복 배치해도 간결한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다. 창문의 턱이 여유 있다면, 조그마한 유리 용기나 나무 박스를 사용해 모아심기해도 좋다. 문턱이 없는 경우, 고중걸이 화분을 배치하여 장식 효과를 높인다.
실내정원을 관리할 때 포인트는 직사광선을 피할 것,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줄 것, 관수시 스프레이를 함께 실시하여 먼지를 씻어줄 것, 웃자라는 식물은 적당한 시기에 전정할 것, 병충해입은 것은 살충제를 뿌리거나 식물 제거하여 전염되는 일이 없도록 할 것 등이다.
Ⅳ. 잔디조경
잔디조경은 오늘날에 있어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조경재료로 그 이용범위가 대단히 넓다. 잔디밭은 그 목적이 호외생활(戶外生活)의 장소인 조경공간의 평면을 덮어서 관상과 실질생활에 필요한 오락, 운동, 휴양, 사교 등과 지표(地表)면의 보호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싱싱한 초록색의 잔디조경은 시원하고 상쾌함을 주는 동시에 평온하고 부드러운 감을 주며 또한 안정감을 갖게 한다.
운동 및 휴양용으로는 골프장, 야구장 그 밖의 운동경기장과 공원, 개인정원에서 이용된다. 지표면 보호용으로는 제방뚝이나 경사면의 표토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택지조성지, 묘지, 토사(土砂)유실과 사방지의 녹화에 이용되고, 그밖에도 관상대에서 온도를 재기 위해 백엽상(百葉箱) 주위 지표면을 피복하기도 한다. 또한 바람에 날리는 분간을 방지하기도 하고 소음을 방지하는 등 여러 가지 역할을 한다.
1. 잔디 까는 법
① 잔디를 늘어놓는다. 지표면을 잘 갈아 평평하게 배열한다. 고려잔디는 20매 1다발이고 2다발이면 1㎡ 정도를 깔 수 있다. 시기는 3~5월, 7~10월이 가장 좋다.
② 잔디밭 위에 비옥한 흙을 채로 쳐서 떨어뜨린다.
③ 잔디를 알맞은 간격으로 붙인다.
④ 잔디와 잔디 사이의 간격에 흙을 골고루 펼쳐 넣고 조금 가볍게 누르면서 채운다.
⑤ 끝나면 듬뿍 물을 준다.
2. 잔디밭의 관리
잔디밭은 조경관리에 있어 비교적 노력이 많이 든다. 잔디밭의 관리에는 까기, 관수, 배수, 제초, 시비, 복토, 진압, 갱신, 병충해방제 등이 필요하다. 또한 동양잔디류와 서양잔디류는 그 관리방법이 다소 다르다.
1) 잔디깍기
잔디밭을 아름답게 관상하기 위해서는 잔디를 깎아 주어야 한다. 잔디깍기의 목적은 빨리 수평으로 분열을 촉진 시켜 두꺼운 잔디밭을 만들고 통풍을 좋게 하여 이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하는 데 있다. 깎는 시기는 우리나라의 경우 동야잔디류(난지형 잔디)는 일반적으로 6~8월 상순에 걸쳐 줄기가 잘 뻗기 때문에 이 때에 깎아 주어야 한다. 깎는 회수는 8월 이전에 2회와 9월중에 1회를 깎아주는 것이 좋고, 일반적으로 높이는 2~3cm로 깎아준다. 그러나 골프장 그리인은 용도에 따라 높이가 5~8cm정도 되게 깎아주기도 한다.
서양잔디류(한지형잔디)는 4월에 1~2회 정도 깎아주고 5월부터 10월중에는 주 1회씩 1.5cm높이로 깎아주는 것이 이상적이다. 특수 목적으로 조성된 골프장 잔디는 연 60회 이상 깎는 경우도 있다. 또한 너무 자주 많이 깎아주면 탄소동화작용이 감퇴되어 생장이 쇠약하여지고 병해에 걸리기 쉽다.
그러나 적당히 깎아줄 때에는 포복경의 마디 사이가 짧아져서 떼의 재생력에 의하여 초장(草長)이 낮아지고 치밀한 잔디밭이 빨리 조성된다. 깎는 연모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면적이 좁을때는 잔디깎기 가위나 수동식 예초기(手動式 刈草機 : hand mower)를 사용하고, 면적이 넓을 때는 동력예초기(動力刈草機 : lawn rotary mower 또는 engine mower)를 이용한다. 그러나 잔디에 이슬이 있거나 비가 온 후 물기가 있을 때 깎으면 잘 깎아지지 않는다.
또한 너무 길게 자란 잔디를 예초기로 자르면 자르기가 나쁘다. 그러므로 처음에는 높게 자르고 차차 짧게 깎아 주어야 한다. 깎기 작업을 할 때는 다음에 유의해야 한다.
지나치게 길게 자라도록 방치하지 않는다. 잘려진 잎은 작업이 끝나는 대로 갈퀴로 글어모아 걷어낸다. 다만, 가뭄이 심할 때에는 그대로 방치하여 건조방지에 도움이 되게 한 후 걷어낸다. 깎은 뒤에는 거름을 준다. 잔디깎는 높이와 빈도는 규칙적이어야 하며, 불규칙한 잔디깎기는 오히려 해롭다. 잔디깎는 기계의 방향이 계획적이고 규칙적이어야 하며 날이 잘 안들어 잎이 찢어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2) 관수와 배수
내습성(耐濕性)이 약한 잔디류는 물빠짐이 좋도록 원로보다 야간 높게 잔디 정원을 조성하여야 한다. 질흙일 때는 배수가 잘 되게 모래나 퇴비 등을 혼합하여 토질개량을 하여야 한다. 내건성(耐乾性)이 약한 잔디의 경우 너무 오래 가물어 잎이 시들어 누렇게 될 때에는 스프링클러(sprinkler)를 장치하여 충분히 땅 속까지 스며들도록 3회이상 관수(灌水) 하여야 한다.
잔디가 여름철 높은 온도로 심하게 마르는 경우가 많다. 잔디는 나무에 비해 천근성이므로 깊게 뻗을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 번 주는 물의 양을 25~35mm 정도는 주어야 한다. 관수시간은 이른 아침이나 늦은 오후가 가장 좋다. 초저녁이나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4.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