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중국의 의복문화
Ⅲ. 중국의 주거문화
Ⅳ. 중국의 음식문화
1. 풍성다채의 음식과 요리법
2. 중국의 대표요리
1) 산동요리
2) 사천요리
3) 강절요리
4) 광동요리
5) 북경요리
Ⅴ. 중국의 식사예절
Ⅵ. 중국의 전통의상(치파오)
Ⅶ. 중국의 결혼문화
1. 리족
2. 야오족
3. 미아오족
4. 러빠족
5. 티베트 족
6. 나씨족
7. 와족과 라후족
Ⅷ. 중국의 소림사
Ⅸ. 중국의 관광명소
1. 명13릉 (明十三陵: 밍스싼링)
2. 옹화궁 (雍和宮, Yonghe Lamasery)
3. 공묘(孔廟, 공자사당)
4. 경산공원 (景山公園: 징샨공위엔)
5. 천단공원(天壇: 티엔탄), (Temple of Heaven: 세계문화유산, 1998)
6. 북해공원 (北海公園, 베이하이공위엔)
7. 천안문광장 (天安門廣場: 티엔안먼광창)
참고문헌
Ⅱ. 중국의 의복문화
Ⅲ. 중국의 주거문화
Ⅳ. 중국의 음식문화
1. 풍성다채의 음식과 요리법
2. 중국의 대표요리
1) 산동요리
2) 사천요리
3) 강절요리
4) 광동요리
5) 북경요리
Ⅴ. 중국의 식사예절
Ⅵ. 중국의 전통의상(치파오)
Ⅶ. 중국의 결혼문화
1. 리족
2. 야오족
3. 미아오족
4. 러빠족
5. 티베트 족
6. 나씨족
7. 와족과 라후족
Ⅷ. 중국의 소림사
Ⅸ. 중국의 관광명소
1. 명13릉 (明十三陵: 밍스싼링)
2. 옹화궁 (雍和宮, Yonghe Lamasery)
3. 공묘(孔廟, 공자사당)
4. 경산공원 (景山公園: 징샨공위엔)
5. 천단공원(天壇: 티엔탄), (Temple of Heaven: 세계문화유산, 1998)
6. 북해공원 (北海公園, 베이하이공위엔)
7. 천안문광장 (天安門廣場: 티엔안먼광창)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대도시의 상수원과 우물은 위생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했다. 또한 중국 화장실 문화는 동시대 서양과 비교하면 훨씬 앞서 있었다.
Ⅳ. 중국의 음식문화
1. 풍성다채의 음식과 요리법
중국 사람들은 하늘을 나는 것 중에는 비행기, 땅위에 있는 것 중에는 자동차만 빼고는 다 먹는다\' 라는 말이 있다. 중국에서 식탁에 올려지는 요리의 재료는 종류가 많아서 헤아릴 수도 없고, 먹는 방법도 다양하다. 대체로 色·香·味의 조화를 철저히 이루고 있는 중국요리의 비법은 다음의 다섯 가지 요소에 의해서 결정된다.
첫째, 중국요리에 사용되는 재료는 광범위하면서도 재료 선택이 엄격하다. 상용되는 재료는 약 3천여종이고, 총 재료수는 1만종 이상이다. 재료선택 면에서도 주재료와 부재료의 조화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둘째, 칼질이 정교하고 모양이 다양하며, 크기, 굵기, 두께가 고르다. 어떤 재료는 칼질을 거쳐 살아있는 것과 같은 새, 짐승, 화초 등 아름다운 조각과 같은 형상을 만들어 요리를 예술의 경지에까지 끌어올리기도 한다.
셋째, 중국음식은 불의 강약과 시간조절에 따라 그 요리의 色·香·味가 크게 좌우된다.
넷째, 중국요리의 특징은 날것으로 먹지 않는데 있으며, 반드시 숙식(熟食)을 기본으로 한다. 다섯째, 양념의 배합을 중요시한다. 중국요리의 조미료는 백여종에 달하여 세계적으로도 첫 손가락에 꼽히고 다양한 조미료는 중국요리에 있어서 맛의 조화를 이루어내는 관건이기도 하다.
2. 중국의 대표요리
일반적으로 중국 음식의 특징은 \'동쪽음식은 맵고, 서쪽은 시고, 남쪽은 달고, 북쪽은 짜다\' 라고 말한다. 지역마다 제각기 두드러진 특색을 가진 중국요리는 크게 산동요리, 강절(강서·절강) 요리, 사천요리, 광동요리로 분류하며, 그 밖에 북경지역 요리까지 포함한 각 지역별 요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산동요리
맛이 비교적 짜고 담백하며, 느끼하지 않다. 탕(湯) 종류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탕추위(糖醋魚 : 탕수육과 같은 형태로 고기 대신 생선을 사용한 것이다.)
2) 사천요리
혀를 얼얼하게 하는 독특한 매운맛이 특징이다. 주재료는 육류이다. 위샹로우쓰(魚香肉絲), 꿍바오지딩(宮保鷄丁), 간사오즈위(乾燒·魚)가 유명하다.
3) 강절요리
담백하고 신선하다. 조미료를 많이 쓰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초어(醋魚)를 재료로 하는 서호추어(西湖醜魚)요리가 유명하다.
4) 광동요리
청담하고 입맛이 깔끔하며 약간 달다 중국 내륙의 요리법과 서양의 요리법을 혼합한 요리 서차이(蛇菜 : 뱀요리), 롱후떠우(龍虎)가 유명하다.
5) 북경요리
베이징카오야(北京·鴨 : 북경오리구이) 쑤안양로우(羊肉 : 매우 얇게 썬 양고기 조각을 물이 부글부글 끓는 화로 속에 넣고 살짝 데쳐서 양념에 찍어 먹는다)의 뜻이 데치다는 뜻이다.
Ⅴ. 중국의 식사예절
중국 요리에는 복잡한 테이블 매너 같은 것은 없다.
큰 접시에 보기 좋게 차려진 요리를 자기의 식성에 따라 적당히 나눔 접시에 나누어서 먹는 방법으로 부담이 없다.
다만 간단한 순서와 주의할 점을 살펴보면, 주인이 자리에 앉은 다음 자기의 자리에 편히 앉아, 내프킨이 놓여 있으면 주인이 집은 다음 내프킨을 집어 펴서 무릎 위에 놓는다.
제일 먼저 전채(煎菜)와 술이 나온다. 주인이 술을 권하면 술을 입술에 대도록 한다.
술을 별로 하지 못하는 사람은 첫 잔만 받아 마시고, 그 다음은 거절하여도 실례가 되지 않는다. 다음은 요리가 되는 순서대로 차례로 나오게 되므로 식탁에 놓여지는 대로 자유로이 자기 앞 접시에 조금씩 담아서 식사하도록 한다.
그러나 자기의 입맛에 맞는 요리라 하여 혼자서만 많이 뜨는 것은 보기에도 좋지 않다. 처음부터 가볍게 드는 것이 좋으면 식성에 맞지 않는 요리는 뜨지 않아도 실례가 되지 않으나 일단 자기 앞에 나누어 놓은 요리는 남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은 매너이다. 큰 접시에 담긴 요리를 자기가 쓰던 젓가락으로 집어도 관계는 없으나, 나눔 젓가락이나 국자, 수저가 접시에 곁들여 있으면 그것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 앞 접시를 왼손으로 쥐고 큰 접시 곁에 가서 상 위에 떨어지지 않도록 나누어 담는다.
중요한 요리가 골고루 나오는 끝날 때 쯤 해서 밥이 나온다. 밥이 나오는 코오스에는 주인측에서 간단한 볶음요리와 탕·장아찌 종류를 주문하는 것이 좋다.
나눔 접시가 어지러워지고 새로운 접시를 필요로 할 때에는 주저하지 말고 바꾸어 주도록 요청한다. 밥이 끝나면 餃(간단한 중국식 떡)이 나온다.
만약 요리가 충분하여 만복감을 느낄 때에는 밥을 들지 않고 힌싱을 들어도 실례가 되지 않는다. 요리와 식사가 끝나면 따끈한 차를 마신다.
Ⅵ. 중국의 전통의상(치파오)
청대(淸代)는 만주 출신의 왕조였으므로 호복계의 장통수(長筒袖)의 의복을 입었는데, 둥근 깃이 달리고 오른쪽 겨드랑이부터 아래를 특수한 끈단추로 잠근다. 이것을 치파오[旗袍]라고 하며, 만주인은 모두 팔기(八旗)의 군단(軍團)에 편입되기 때문에 이 이름이 생겼다.
청조는 한인의 반항을 막기 위하여 두발이나 의복을 엄중히 만주식으로 단속했기 때문에 근대 200여 년 간은 전적으로 치파오를 입었으며, 민국혁명(民國革命) 이래 잠시 이 의복이 착용되었으나 현재는 젊은 여성이 취미로 화려한 치파오를 입는 것 외에는 유럽풍의 복장이 보급되어 한국과 마찬가지로 착용범위가 축소되고 있다.
Ⅶ. 중국의 결혼문화
1. 리족
마을 어귀의 한적한 곳에 팡쑤란 원두막같은 방길로를 여러개 설치하여 결혼 적령기에 이른 아가씨들을 그곳에서 살도록 하고 있다. 혼기에 있는 총각들은 자기가 점찍어둔 아가씨의 어느 팡쑤에 있는지 찾아가 구애를 한다. 팡쑤 속에 있는 아가씨가 막대기로 기둥을 두 번치면 마음에 든다는 신호고, 계속 딱딱치면 싫다는 뜻이다. 만약 팡쑤속의 아가씨가 피리의 노랫소리를 듣고 마음에 들면 팡쑤의 문을 열어주고 결혼을 약속하게 된다.
2. 야오족
방년출란이란 풍습을 갖고 있는데, 이것은 매년 음력 대보름 날부터 3일동안 미혼 남녀들이 함께 모여 줄기는 축제일로서 서로 마음에 드는 사람과 짝을 지어 산기슭이나 논밭의 언덕밑에서 노래를 부른 뒤 사랑을 나누는 풍습이다. 대부분은 짝
Ⅳ. 중국의 음식문화
1. 풍성다채의 음식과 요리법
중국 사람들은 하늘을 나는 것 중에는 비행기, 땅위에 있는 것 중에는 자동차만 빼고는 다 먹는다\' 라는 말이 있다. 중국에서 식탁에 올려지는 요리의 재료는 종류가 많아서 헤아릴 수도 없고, 먹는 방법도 다양하다. 대체로 色·香·味의 조화를 철저히 이루고 있는 중국요리의 비법은 다음의 다섯 가지 요소에 의해서 결정된다.
첫째, 중국요리에 사용되는 재료는 광범위하면서도 재료 선택이 엄격하다. 상용되는 재료는 약 3천여종이고, 총 재료수는 1만종 이상이다. 재료선택 면에서도 주재료와 부재료의 조화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둘째, 칼질이 정교하고 모양이 다양하며, 크기, 굵기, 두께가 고르다. 어떤 재료는 칼질을 거쳐 살아있는 것과 같은 새, 짐승, 화초 등 아름다운 조각과 같은 형상을 만들어 요리를 예술의 경지에까지 끌어올리기도 한다.
셋째, 중국음식은 불의 강약과 시간조절에 따라 그 요리의 色·香·味가 크게 좌우된다.
넷째, 중국요리의 특징은 날것으로 먹지 않는데 있으며, 반드시 숙식(熟食)을 기본으로 한다. 다섯째, 양념의 배합을 중요시한다. 중국요리의 조미료는 백여종에 달하여 세계적으로도 첫 손가락에 꼽히고 다양한 조미료는 중국요리에 있어서 맛의 조화를 이루어내는 관건이기도 하다.
2. 중국의 대표요리
일반적으로 중국 음식의 특징은 \'동쪽음식은 맵고, 서쪽은 시고, 남쪽은 달고, 북쪽은 짜다\' 라고 말한다. 지역마다 제각기 두드러진 특색을 가진 중국요리는 크게 산동요리, 강절(강서·절강) 요리, 사천요리, 광동요리로 분류하며, 그 밖에 북경지역 요리까지 포함한 각 지역별 요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산동요리
맛이 비교적 짜고 담백하며, 느끼하지 않다. 탕(湯) 종류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탕추위(糖醋魚 : 탕수육과 같은 형태로 고기 대신 생선을 사용한 것이다.)
2) 사천요리
혀를 얼얼하게 하는 독특한 매운맛이 특징이다. 주재료는 육류이다. 위샹로우쓰(魚香肉絲), 꿍바오지딩(宮保鷄丁), 간사오즈위(乾燒·魚)가 유명하다.
3) 강절요리
담백하고 신선하다. 조미료를 많이 쓰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초어(醋魚)를 재료로 하는 서호추어(西湖醜魚)요리가 유명하다.
4) 광동요리
청담하고 입맛이 깔끔하며 약간 달다 중국 내륙의 요리법과 서양의 요리법을 혼합한 요리 서차이(蛇菜 : 뱀요리), 롱후떠우(龍虎)가 유명하다.
5) 북경요리
베이징카오야(北京·鴨 : 북경오리구이) 쑤안양로우(羊肉 : 매우 얇게 썬 양고기 조각을 물이 부글부글 끓는 화로 속에 넣고 살짝 데쳐서 양념에 찍어 먹는다)의 뜻이 데치다는 뜻이다.
Ⅴ. 중국의 식사예절
중국 요리에는 복잡한 테이블 매너 같은 것은 없다.
큰 접시에 보기 좋게 차려진 요리를 자기의 식성에 따라 적당히 나눔 접시에 나누어서 먹는 방법으로 부담이 없다.
다만 간단한 순서와 주의할 점을 살펴보면, 주인이 자리에 앉은 다음 자기의 자리에 편히 앉아, 내프킨이 놓여 있으면 주인이 집은 다음 내프킨을 집어 펴서 무릎 위에 놓는다.
제일 먼저 전채(煎菜)와 술이 나온다. 주인이 술을 권하면 술을 입술에 대도록 한다.
술을 별로 하지 못하는 사람은 첫 잔만 받아 마시고, 그 다음은 거절하여도 실례가 되지 않는다. 다음은 요리가 되는 순서대로 차례로 나오게 되므로 식탁에 놓여지는 대로 자유로이 자기 앞 접시에 조금씩 담아서 식사하도록 한다.
그러나 자기의 입맛에 맞는 요리라 하여 혼자서만 많이 뜨는 것은 보기에도 좋지 않다. 처음부터 가볍게 드는 것이 좋으면 식성에 맞지 않는 요리는 뜨지 않아도 실례가 되지 않으나 일단 자기 앞에 나누어 놓은 요리는 남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은 매너이다. 큰 접시에 담긴 요리를 자기가 쓰던 젓가락으로 집어도 관계는 없으나, 나눔 젓가락이나 국자, 수저가 접시에 곁들여 있으면 그것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 앞 접시를 왼손으로 쥐고 큰 접시 곁에 가서 상 위에 떨어지지 않도록 나누어 담는다.
중요한 요리가 골고루 나오는 끝날 때 쯤 해서 밥이 나온다. 밥이 나오는 코오스에는 주인측에서 간단한 볶음요리와 탕·장아찌 종류를 주문하는 것이 좋다.
나눔 접시가 어지러워지고 새로운 접시를 필요로 할 때에는 주저하지 말고 바꾸어 주도록 요청한다. 밥이 끝나면 餃(간단한 중국식 떡)이 나온다.
만약 요리가 충분하여 만복감을 느낄 때에는 밥을 들지 않고 힌싱을 들어도 실례가 되지 않는다. 요리와 식사가 끝나면 따끈한 차를 마신다.
Ⅵ. 중국의 전통의상(치파오)
청대(淸代)는 만주 출신의 왕조였으므로 호복계의 장통수(長筒袖)의 의복을 입었는데, 둥근 깃이 달리고 오른쪽 겨드랑이부터 아래를 특수한 끈단추로 잠근다. 이것을 치파오[旗袍]라고 하며, 만주인은 모두 팔기(八旗)의 군단(軍團)에 편입되기 때문에 이 이름이 생겼다.
청조는 한인의 반항을 막기 위하여 두발이나 의복을 엄중히 만주식으로 단속했기 때문에 근대 200여 년 간은 전적으로 치파오를 입었으며, 민국혁명(民國革命) 이래 잠시 이 의복이 착용되었으나 현재는 젊은 여성이 취미로 화려한 치파오를 입는 것 외에는 유럽풍의 복장이 보급되어 한국과 마찬가지로 착용범위가 축소되고 있다.
Ⅶ. 중국의 결혼문화
1. 리족
마을 어귀의 한적한 곳에 팡쑤란 원두막같은 방길로를 여러개 설치하여 결혼 적령기에 이른 아가씨들을 그곳에서 살도록 하고 있다. 혼기에 있는 총각들은 자기가 점찍어둔 아가씨의 어느 팡쑤에 있는지 찾아가 구애를 한다. 팡쑤 속에 있는 아가씨가 막대기로 기둥을 두 번치면 마음에 든다는 신호고, 계속 딱딱치면 싫다는 뜻이다. 만약 팡쑤속의 아가씨가 피리의 노랫소리를 듣고 마음에 들면 팡쑤의 문을 열어주고 결혼을 약속하게 된다.
2. 야오족
방년출란이란 풍습을 갖고 있는데, 이것은 매년 음력 대보름 날부터 3일동안 미혼 남녀들이 함께 모여 줄기는 축제일로서 서로 마음에 드는 사람과 짝을 지어 산기슭이나 논밭의 언덕밑에서 노래를 부른 뒤 사랑을 나누는 풍습이다. 대부분은 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