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노증후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레이노증후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하게 됨
가성 동맥류(false aneurysm)
- 동맥벽의 모든 층이 파열 →혈종 주위조직에 축적 된 상태
→혈종은 박동성이 있어 주위조직을 압박하게 됨
1)흉부 대동맥류(Thoracic aneurysm)
- 85%정도가 죽상경화증에 의해서 일어남
- 40~70세 사이의 남자에게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남
- 가장흔한 형태는 분리형 대동맥류
→흉부대동맥류를 가진 환자중 1/3이 동맥 파열로 인해 사망을 초래
①임상증상
- 동맥류의 확장 정도와 박동이 있는 덩어리가 주위의 흉곽내부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따 라 달라짐
- 대부분 무증상
- 증상 발현시 지속적인 통증이 특징 → 환자가 앙와위로 누웠을 때 나타날 수 있음
- 기관, 기관지, 폐를 압박 →호흡곤란
- 빈번하고 발작적인 쇳소리가 나는 기침, 쉰목소리, 협착음, 약해진 목소리
- 완전한 무성증(aphonia : 좌측 회귀 후두신경의 압박으로 인한 증상)
- 식도압박 → 연하곤란
- 동맥류가 흉곽내의 대정맥을을 압박하면
→ 흉부, 목, 팔등의 표면정맥의 확장, 부종, 청색증이 나타남
- 경부교감신경계를 압박 → 눈의 동공크기가 같지 않게 됨
- 진단 → 주로 X-선 촬영, 형광투시검사
②치료
- 수술
목적 : 동맥류를 제거하는데 있으며 제거된 부위에 혈관이식을 함
- 내과적 치료
혈압을 조절하여 박동성이 있는 대동맥의 흐름을 감소 시킴
항고혈압제를 사용 하여 수축기압을 100~120mmHg 유지
박동성이 있는 흐름을 저하 시키기 위해 심장수축력을 감소 시키는 propranonol 과 같 은 약물을 사용
2)복부 대동맥류
- 일반적인 원인은 죽상경화증
- 매독이 원인인 경우는 환자의 1%에 미치지 않음
- 남성이 여성보다 4배가량 더 많고 60세 이후에서 가장 많이 발생
- 신장동맥 아래에서 발생
- 치료하지 않으면 나중에는 동맥류가 파열되어 죽음을 초래
①병태생리
- 혈관중막의 손상 → 선천적인 결함, 외상, 질환과정에 의해 발생
- 일단 동맥류가 발병되면 크기가 점점 증가
- 위험요인 : 유전적인 소인, 흡연, 고혈압
②임상증상
통증
- 환자가 누웠을 때 복부에서 심장이 뛰는것 처럼 느낌
-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심한 복부통증
→지속적, 간헐적으로 나타나며 종종 복부중아이나 왼쪽 하복부의 통증을 호소
- 환자에 따라 복부에서 덩어리나 강력한 박동을 느낌
→이러한 경우 절반이상에서 고혈압을 볼 수 있음
- 정상에서 다리의 수축기압은 팔의 압력 보다 15mmHg 이상 높음
- 복부 대동맥류가 있는 환자의 3/4에서 다리의 수축기압팔의 수축기압 보다 비정상적으 로 낮음
- 요통
→요부신경이 압박 당하기 때문
- 심각한 증상으로 일반적으로 동맥류가 빠르게 확장되거나 곧 동맥류가 파열됨을 의미
파열증상
- 지속적, 격심한 요통, 혈압하강
- RBC ↓, WBC↑ 함께 복부가 부드러워 짐
- 동맥류가 후복막강으로 파열
→음낭, 회음부, 음경등에 혈종을 형성
- 심부전의 증상과 시끄러운 잡음
→동맥류가 대정맥으로 파열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4.08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91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