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웍]네트웍 토폴로지 개념과 장담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성형
2. 버스형
3. 트리형
4. 링형
5. 그물형
6. 혼합형

본문내용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여러 노드들과 링크들이 물리적 혹은 논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식이다. 두 개 이상의 노드가 하나의 링크에 연결되며, 두 개 이상의 링크가 접속 형태를 이룬다. 노드(node)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주소를 가진 통신장치(device)를 말하며 컴퓨터, 프린터 등이 하나의 노드가 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형태는 네트워크상의 노드들에 대한 물리적인 배열보다는 상호 연결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성(star)형 접속 형태는 네트워크상의 모든 노드가 별 모양으로 허브에 물리적으로 놓여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성형, 그물형, 트리형, 버스형, 링형 등이 있으며, 사용 목적, 확장성, 전송효율, 경제성 등에 의해 결정된다.
1. 성형
1) 개념과 특징
• 가장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 형태
• 허브(hub)가 네트워크 중앙에 위치하고 다른 모든 노드들을 연결
• 중앙에 있는 허브가 회선 교환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려는 두 개의 노드에 전용 회선을 만들어 줌
• 일대일로 구성되는 점-대-점의 확장 형태
• 메인 프레임이 중앙에 위치하고 여기에 터미널을 연결한 메인 프레임 시스템이 전형적인 성형 접속 형태
2) 장점
• 저렴한 설치 비용
각 장치를 다른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링크 하나와 I/O 포트 하나만 필요함.
• 중앙 집중적인 구조로 유지 보수와 확장이 용이
• 안정적인 연결
만약 한 링크가 끊어져서 작동하지 않으면, 해당 링크만 영향을 받고
다른 링크들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음
• 노드의 증가, 이전 용이
각 노드를 접속하는 배선이 서로 독립되어 있음
3) 단점
• 통신량이 많은 경우 전송 지연
중앙에 있는 전송 제어 장치에 장애가 오면 네트워크 전체가 동작할 수 없음
• 많은 케이블 연결 필요
각 노드가 중앙 허브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이유 때문에
일부 다른 접속 형태(트리, 링, 버스)보다 많은 케이블 연결이 필요
2. 버스형
1) 개념과 특징
• 모든 네트워크 노드 및 주변 장치들이 파이프와 같은 일자형의
케이블(버스)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
• 긴 케이블 하나가 모든 네트워크상의 장치를 연결 ⇒ 중추 네트워크 역할
• 모든 노드는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이 되어 있고, 케이블의 시작과 끝에는 터미네이터(종단기) 장치를 붙여 신호가 케이블로 되돌아오는 것을 막음
2) 장점
• 간단한 설치와 경제적인 케이블 비용
• 용이한 장비 추가, 장비 고장 시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적은 양의 케이블 사용 가능
중추 케이블은 가장 효과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다양한 길이의 유도선에 의해 노드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성형, 트리형보다 적은 양의 케이블을 사용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4.08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5291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