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다른 방법 이용
지진력 수직분포
- 밑면 전단력을 수직 분포시킨 층별 횡하중
수직분포계수
: 건물 주기에 따른 분포계수
=1 : 0.5초 이하의 주기 가진 건물
=2 : 2.5초 이상의 주기 가진 건물
0.5~2.5초 주기의 ⇒ 1~2값을 직선보간하여 구함
, : 밑면부터 , 층 까지 높이
: 밑면 전단력
, : , 층 바닥에서의 중량
수평전단력분포
: 층 바닥에 작용하는 지진력
- 강한 격막: 층의 지진력 저항시스템 구성하는 수직부재들의 횡강성비 따라 분배
- 유연한 격막: 각 저항선상에 위치한 격막의 작용면적 기초로 수직부재에 분배
수평비틀림모멘트
- 건물 중심과 강심간의 편심에 의한 비틀림모멘트
= 편심거리 × 층전단력
- 우발비틀림모멘트 = 지진력에 직각인 평면치수의 5%에 해당하는 우발편심 × 층전단력
- 격막이 유연하지 않은 경우 고려해야 함
비틀림의 동적 증폭
비틀림 증폭계수
: 층 바닥에서의 최대변위
: 층 바닥에서 건물 각 보소리 변위의 평균
: 3.0초과할 필요 없음
- 비틀림 비정형 건물이 범주 C, D로 분류될 경우 :
전도모멘트
: 층 바닥에 작용하는 지진력
: 전도모멘트 감소계수
최상층으로부터 10번째 층까지=1.0
최상층으로부터 20번째 층과 그 이하=0.8
최상층으로부터 10번째 층과 20번째 층 사이
=1.0과 0.8사이의 직선보간한 값
횡변위 결정과 효과
- 골조와 기둥이 최대 층간변위에 도달한 경우 : 고정하중과 적재하중에서 최성파괴와 전도에 대한 안정성 확보해야 함
층간변위 () 결정
- : 주어진 층의 상하단 질량중심의 횡변위간 차
- 평면 비정형 유형 1과 내진설계범주 C, D인 경우 : 상하단 모서리 변위간 차이중 최대값
- 설계층간변위 : 증폭계수 곱하여 산정
층 변위
: 표에 의한 변위증폭계수
: 지진력저항시스템의 탄성해석에 의한 변위
: 표에 의한 건물 중요도계수
효과
안정계수
: 하중계수 고려하지 않은 층 및 그 상부층의 수직하중
⇒ 효과 고려위한 수직하중 산정 시에는 하중계수가 1.0넘을 필요 없음.
: 에 의한 설계층간변위
: 층 전단력
: 층 바닥 아래의 층높이
: 표에 의한 변위증폭계수
: 고려하는 층의 전단강도/설계전단력
⇒ 계산 없을 경우 :
- 는 를 초과하면 안됨
- : 층전단력과 모멘트로 인한 부재력 및 층간변위 산정에 효과 고 려하지 않아도 됨
- : 층간변위와 부재력은 효과 고려
- : 잠재적으로 불안정한 건물 ⇒ 재설계
지진력 수직분포
- 밑면 전단력을 수직 분포시킨 층별 횡하중
수직분포계수
: 건물 주기에 따른 분포계수
=1 : 0.5초 이하의 주기 가진 건물
=2 : 2.5초 이상의 주기 가진 건물
0.5~2.5초 주기의 ⇒ 1~2값을 직선보간하여 구함
, : 밑면부터 , 층 까지 높이
: 밑면 전단력
, : , 층 바닥에서의 중량
수평전단력분포
: 층 바닥에 작용하는 지진력
- 강한 격막: 층의 지진력 저항시스템 구성하는 수직부재들의 횡강성비 따라 분배
- 유연한 격막: 각 저항선상에 위치한 격막의 작용면적 기초로 수직부재에 분배
수평비틀림모멘트
- 건물 중심과 강심간의 편심에 의한 비틀림모멘트
= 편심거리 × 층전단력
- 우발비틀림모멘트 = 지진력에 직각인 평면치수의 5%에 해당하는 우발편심 × 층전단력
- 격막이 유연하지 않은 경우 고려해야 함
비틀림의 동적 증폭
비틀림 증폭계수
: 층 바닥에서의 최대변위
: 층 바닥에서 건물 각 보소리 변위의 평균
: 3.0초과할 필요 없음
- 비틀림 비정형 건물이 범주 C, D로 분류될 경우 :
전도모멘트
: 층 바닥에 작용하는 지진력
: 전도모멘트 감소계수
최상층으로부터 10번째 층까지=1.0
최상층으로부터 20번째 층과 그 이하=0.8
최상층으로부터 10번째 층과 20번째 층 사이
=1.0과 0.8사이의 직선보간한 값
횡변위 결정과 효과
- 골조와 기둥이 최대 층간변위에 도달한 경우 : 고정하중과 적재하중에서 최성파괴와 전도에 대한 안정성 확보해야 함
층간변위 () 결정
- : 주어진 층의 상하단 질량중심의 횡변위간 차
- 평면 비정형 유형 1과 내진설계범주 C, D인 경우 : 상하단 모서리 변위간 차이중 최대값
- 설계층간변위 : 증폭계수 곱하여 산정
층 변위
: 표에 의한 변위증폭계수
: 지진력저항시스템의 탄성해석에 의한 변위
: 표에 의한 건물 중요도계수
효과
안정계수
: 하중계수 고려하지 않은 층 및 그 상부층의 수직하중
⇒ 효과 고려위한 수직하중 산정 시에는 하중계수가 1.0넘을 필요 없음.
: 에 의한 설계층간변위
: 층 전단력
: 층 바닥 아래의 층높이
: 표에 의한 변위증폭계수
: 고려하는 층의 전단강도/설계전단력
⇒ 계산 없을 경우 :
- 는 를 초과하면 안됨
- : 층전단력과 모멘트로 인한 부재력 및 층간변위 산정에 효과 고 려하지 않아도 됨
- : 층간변위와 부재력은 효과 고려
- : 잠재적으로 불안정한 건물 ⇒ 재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