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쿠쿠홈시스(주)의 기업소개 및 환경분석
1. 기업소개
(1)쿠쿠의 목표
(2)쿠쿠의 탄생과 비전
(3)쿠쿠의 연혁
(4)CI소개
2. 환경분석
Ⅱ. 마케팅 환경분석
1. 시장분석
2. 자사분석
3. 경쟁자분석
4. STP분석
5. SWOT분석
Ⅲ. 마케팅 전략
1. 제품전략
2. 가격전략
3. 유통전략
4. 판촉전략
1. 기업소개
(1)쿠쿠의 목표
(2)쿠쿠의 탄생과 비전
(3)쿠쿠의 연혁
(4)CI소개
2. 환경분석
Ⅱ. 마케팅 환경분석
1. 시장분석
2. 자사분석
3. 경쟁자분석
4. STP분석
5. SWOT분석
Ⅲ. 마케팅 전략
1. 제품전략
2. 가격전략
3. 유통전략
4. 판촉전략
본문내용
일제를 겁낼 필요가 없다고 본다. 문제는 소비자의 의식이다. 일본 선진기술이 아무리 앞선다 하지만 밥솥 정도는 우리나라도 이미 선진국보다 더 앞서 있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우리는 주식이 밥이고 외국은 빵, 국수가 주식이고 밥이 있긴 하나 우리나라 밥과는 전혀 다르다. 일반 밥을 기름에 볶거나 튀기는 식으로 해서 먹기 때문에 밥의 양도 그리 많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밥이 주식인 우리나라가 밥솥 분야에서 제일 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무조건 외제를 선호하는 일부 소비자들 때문에 매스컴에서 이맛살을 찌푸리게 하는 일이 가끔 있다. 이제는 무조건이 아니라 알아보고 구매해야 한다. 우리가 앞서는 기술도 얼마든지 많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은 그것을 믿지 않으려 하는 나쁜 습관이 있다. 무조건 사고나면 국산품 보다 못한 외제도숫하게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메이커는 연구 개발에 전념하여 보다 나은 제품 생산에 최선을 다하고 그를 믿고 구매하는 우리 소비자들의 마음이 기뻐질 때 그 기술이 한 단계 올라섰음을 인정받게 된다.
이렇게 되면 외제가 무엇이 그리 두려운가? 얼마든지 물리칠 수 있고 우리가 이길 수 있다. 쿠쿠는 밥솥에 관한 한 세계제일이라고 자부한다. 최초로 개발했고 매출액도 1위고 소비자 인기도 단연 1위 이다. 순수한 쿠쿠 기술로 연구 개발한 그야말로 신토불이 제품이다. 외제가 아무리 밀려와도 자신이 있다. \"외제가 좋은게 나오면 우리 쿠쿠는 그 보다 더 나은 제품을 만들어 내면 된다. \"는 마음가짐이다.
오히려 외제가 들어옴으로써 경쟁력이 생겨 더 나은 제품을 개발하게 되고 이 것이 바로 기술 축척이 되어 기술 향상이 될 것이며 바로 그 기술이 우리 후손에게 물려질 것이다.
Ⅱ. 마케팅 환경분석
1. 시장분석
밥솥의 진화! 전기 압력 밥솥 시장.
밥솥의 기능은 밥을 짓는 기본적인 기능 뿐 만아니라 다양한 음식 조리는 물론이고 먹고 싶은 음식을 컴퓨터에 입력하면 이 정보를 다운 받아 그대로 음식을 조리하는 기능 등 “ 똑똑한 밥솥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밥솥시장은 치열한 경쟁의 국면에 있게 되었다.
(1) 국내 밥솥 시장 성장률
-현재 쿠쿠홈시스는 연간 3000억원대로 추정되는 밥솥시장의 절대 강자로 군림.
-국내 밥솥시장은 쿠쿠홈시스의 쿠쿠, 부방테크론의 리홈, 웅진코웨이의 쿠첸의 3파전이 일반적.
-몇 년간 계속 되어온 압력밥솥의 인기와 이로 인한 시장의 성장은 세계시장까지도
국내 밥솥시장을 넓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음.
-하지만 국내 밥솥 시장은 성장기에 이르렀고, 이미 진입해 있는 브랜드들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또 다른 경쟁자가 나타날 가능성은 적음.
(2) 현재 국내 밥솥시장의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
- 쿠쿠는 현재 70%에 육박하는 독보적인 시장 점유율 가지고 있음.
- 대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철수 → 공백을 차지하려는 업체들 간의 경쟁이 치열 해짐 → 쿠쿠는 시장 점유율 하락의 위협 가능성이 있음.
(3) 앞으로의 국내 밥솥 시장
- 업체별 경쟁의 가열.
압력밥솥의 적정교체시기를 평균 5∼6년이라 봤을 때 밥솥판매가 급증했던 지난 90년대 말 이후 제품 구입 고객들의 교체수요가 잇따를 것으로 보여 신제품 출시를 비롯한 업체들의 고객 확보 경쟁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국내 밥솥시장의 현재와 미래 전망으로 보아 자사인 쿠쿠홈시스는 쿠쿠의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할 뿐만 아니라 밥솥시장의 포화 상태에 대비해 자사의 다른 제품들의 개발과 홍보에 투자해야 할 것이다.
2. 자사분석
\'국내외 최대의 밥솥 브랜드 CUCKOO\'
(1) 쿠쿠의 연도별 판매량 추이
(2) 쿠쿠의 연간 매출액과 이익실적 추이
(3) 쿠쿠의 성공요인
▶ 쿠쿠의 고객우선의 서비스
- 언제, 어디서나 고객이 직접 만날 수 있는 서비스실현.
- 고객(소비자)이 원하는 곳은 어디든지 찾아가는 서비스실현.
- 고객과의 약속을 지키는 서비스실현.
- 판매를 도와주는 서비스실현.
- 고객 불만 접수 동시에 시장 PC에 전달.
▶ 고정관념 깨는 가전제품
- 종전의 열 판방식에서 벗어나 자력선을 이용해 오븐 전체를 가열 IH압력밥솥.
▶ 쿠쿠의 품질경영 혁신활동 추진
- 중소기업으로서는 감당하기 힘든 TV 광고를 집행하여 소비자의 인식을 단시간 에 바꾸는데 성공.
- 국내 대기업 및 외제선호 제품인 일제 전기밥솥의 아성을 누르고 시장점유율 1 위.
▶ 한 업종에만 전념…성공신화
▶ 고객 눈높이경영
- 디자인, 성능, 애프터서비스까지 소비자들의 생각과 기대에 근접하지 않으면 ` 낙점\'될 수 없다.
▶ 프로슈머 마케팅
- \"고객들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제품은 더 많은 고객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경쟁력이 될 것·\"
▶ 국내 통합브랜드 전략
- 성광전자 → (주)쿠쿠 → 쿠쿠홈시스(주)
▶ 중소기업이 당당히 자신의 브랜드로 승부를 걸다
- 쿠쿠의 브랜드 마케팅 역발상
(4) 쿠쿠의 약점
▶ 대기업의 막강한 브랜드파워, 광범위한 유통망, 자금력을 앞세운 마케팅전략에 중견기업들은 버텨내기 힘듦.
▶ 쿠쿠라는 압력 밥솥은 시장 1위이지만 그 외 가전제품들의 인지도 및 시장 점유율은 크게 떨어짐.
3. 경쟁자분석
(1) 경쟁사 분석
현재 전기압력밥솥 시장은 2004년까지 업계 2, 3위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던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시장에서 철수함에 따라 부동의 1위 쿠쿠홈시스를 중심으로 웅진코웨이, 부방테크론 등 탄탄한 중소기업들이 치열한 경쟁 중이다. 게다가 삼성전자에 압력밥솥을 OEM(주문자상표부착방식)으로 공급하던 노비타도 올해 독자 브랜드로 압력밥솥 시장에 뛰어들 계획이라 각 업체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현미, 잡곡밥맛을 살릴 수 있는 IH압력밥솥의 경쟁이 치열하며, 40만원에 육박하는 프리미엄급 상품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쿠쿠홈시스가 연간 3000억 원 대로 추정되는 국내 밥솥시장의 절대 강자로 군림하고 있는 가운데 쿠첸 광고를 대대적으로 내보내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선 웅진코웨이와 기술력을 앞세워 공세를 펼치고 있는 부방테크론이 그 뒤를
이렇게 되면 외제가 무엇이 그리 두려운가? 얼마든지 물리칠 수 있고 우리가 이길 수 있다. 쿠쿠는 밥솥에 관한 한 세계제일이라고 자부한다. 최초로 개발했고 매출액도 1위고 소비자 인기도 단연 1위 이다. 순수한 쿠쿠 기술로 연구 개발한 그야말로 신토불이 제품이다. 외제가 아무리 밀려와도 자신이 있다. \"외제가 좋은게 나오면 우리 쿠쿠는 그 보다 더 나은 제품을 만들어 내면 된다. \"는 마음가짐이다.
오히려 외제가 들어옴으로써 경쟁력이 생겨 더 나은 제품을 개발하게 되고 이 것이 바로 기술 축척이 되어 기술 향상이 될 것이며 바로 그 기술이 우리 후손에게 물려질 것이다.
Ⅱ. 마케팅 환경분석
1. 시장분석
밥솥의 진화! 전기 압력 밥솥 시장.
밥솥의 기능은 밥을 짓는 기본적인 기능 뿐 만아니라 다양한 음식 조리는 물론이고 먹고 싶은 음식을 컴퓨터에 입력하면 이 정보를 다운 받아 그대로 음식을 조리하는 기능 등 “ 똑똑한 밥솥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밥솥시장은 치열한 경쟁의 국면에 있게 되었다.
(1) 국내 밥솥 시장 성장률
-현재 쿠쿠홈시스는 연간 3000억원대로 추정되는 밥솥시장의 절대 강자로 군림.
-국내 밥솥시장은 쿠쿠홈시스의 쿠쿠, 부방테크론의 리홈, 웅진코웨이의 쿠첸의 3파전이 일반적.
-몇 년간 계속 되어온 압력밥솥의 인기와 이로 인한 시장의 성장은 세계시장까지도
국내 밥솥시장을 넓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음.
-하지만 국내 밥솥 시장은 성장기에 이르렀고, 이미 진입해 있는 브랜드들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또 다른 경쟁자가 나타날 가능성은 적음.
(2) 현재 국내 밥솥시장의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
- 쿠쿠는 현재 70%에 육박하는 독보적인 시장 점유율 가지고 있음.
- 대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철수 → 공백을 차지하려는 업체들 간의 경쟁이 치열 해짐 → 쿠쿠는 시장 점유율 하락의 위협 가능성이 있음.
(3) 앞으로의 국내 밥솥 시장
- 업체별 경쟁의 가열.
압력밥솥의 적정교체시기를 평균 5∼6년이라 봤을 때 밥솥판매가 급증했던 지난 90년대 말 이후 제품 구입 고객들의 교체수요가 잇따를 것으로 보여 신제품 출시를 비롯한 업체들의 고객 확보 경쟁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국내 밥솥시장의 현재와 미래 전망으로 보아 자사인 쿠쿠홈시스는 쿠쿠의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할 뿐만 아니라 밥솥시장의 포화 상태에 대비해 자사의 다른 제품들의 개발과 홍보에 투자해야 할 것이다.
2. 자사분석
\'국내외 최대의 밥솥 브랜드 CUCKOO\'
(1) 쿠쿠의 연도별 판매량 추이
(2) 쿠쿠의 연간 매출액과 이익실적 추이
(3) 쿠쿠의 성공요인
▶ 쿠쿠의 고객우선의 서비스
- 언제, 어디서나 고객이 직접 만날 수 있는 서비스실현.
- 고객(소비자)이 원하는 곳은 어디든지 찾아가는 서비스실현.
- 고객과의 약속을 지키는 서비스실현.
- 판매를 도와주는 서비스실현.
- 고객 불만 접수 동시에 시장 PC에 전달.
▶ 고정관념 깨는 가전제품
- 종전의 열 판방식에서 벗어나 자력선을 이용해 오븐 전체를 가열 IH압력밥솥.
▶ 쿠쿠의 품질경영 혁신활동 추진
- 중소기업으로서는 감당하기 힘든 TV 광고를 집행하여 소비자의 인식을 단시간 에 바꾸는데 성공.
- 국내 대기업 및 외제선호 제품인 일제 전기밥솥의 아성을 누르고 시장점유율 1 위.
▶ 한 업종에만 전념…성공신화
▶ 고객 눈높이경영
- 디자인, 성능, 애프터서비스까지 소비자들의 생각과 기대에 근접하지 않으면 ` 낙점\'될 수 없다.
▶ 프로슈머 마케팅
- \"고객들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제품은 더 많은 고객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경쟁력이 될 것·\"
▶ 국내 통합브랜드 전략
- 성광전자 → (주)쿠쿠 → 쿠쿠홈시스(주)
▶ 중소기업이 당당히 자신의 브랜드로 승부를 걸다
- 쿠쿠의 브랜드 마케팅 역발상
(4) 쿠쿠의 약점
▶ 대기업의 막강한 브랜드파워, 광범위한 유통망, 자금력을 앞세운 마케팅전략에 중견기업들은 버텨내기 힘듦.
▶ 쿠쿠라는 압력 밥솥은 시장 1위이지만 그 외 가전제품들의 인지도 및 시장 점유율은 크게 떨어짐.
3. 경쟁자분석
(1) 경쟁사 분석
현재 전기압력밥솥 시장은 2004년까지 업계 2, 3위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던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시장에서 철수함에 따라 부동의 1위 쿠쿠홈시스를 중심으로 웅진코웨이, 부방테크론 등 탄탄한 중소기업들이 치열한 경쟁 중이다. 게다가 삼성전자에 압력밥솥을 OEM(주문자상표부착방식)으로 공급하던 노비타도 올해 독자 브랜드로 압력밥솥 시장에 뛰어들 계획이라 각 업체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현미, 잡곡밥맛을 살릴 수 있는 IH압력밥솥의 경쟁이 치열하며, 40만원에 육박하는 프리미엄급 상품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쿠쿠홈시스가 연간 3000억 원 대로 추정되는 국내 밥솥시장의 절대 강자로 군림하고 있는 가운데 쿠첸 광고를 대대적으로 내보내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선 웅진코웨이와 기술력을 앞세워 공세를 펼치고 있는 부방테크론이 그 뒤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