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특성
1. 스포츠적 특성
2. 예술적 특성
3. 운동생리학적 특성
4. 레크레이션적 특성
Ⅲ.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종류
1. 룸바
1) 룸바의 정의
2) 룸바의 음악
3) 발생지
4) 박자기호
2. 차차차
1) 차차차의 유래
2) 차차차의 음악
3) 발생지
4) 템포 Tempo
5) 타이밍과 박자가치
6) 푸트워크와 체중을 분배
3. 자이브
1) 자이브의 유래
2) 발생지
3) 박자기호
4) 템포 Tempo
5) 타이밍과 박자가치
4. 삼바
1) 삼바의 유래
2) 삼바의 카운터와 박자
5. 파소도블레
1) 파소도블레 유래
2) 템포 Tempo
3) 발생지
4) 박자기호
Ⅳ.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발달 과정
Ⅴ.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의상
1. 명칭에 따른 분류
1) White Tie
2) Black Tie
2. 장소에 따른 분류
1) Formal(격식을 갖추어야 하는 장소)
2) Semi-formal(약간의 격식을 갖추어야 하는 장소)
3) Informal(격식을 갖출 필요가 없는 장소)
3. 춤의 종류에 따른 분류
1) 컨트리/웨스턴
2) 밀롱가(아르젠틴 탱고)
3) 라틴댄스
4) 스윙
4. 기타
Ⅵ.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국제매너와 에티켓
참고문헌
Ⅱ.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특성
1. 스포츠적 특성
2. 예술적 특성
3. 운동생리학적 특성
4. 레크레이션적 특성
Ⅲ.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종류
1. 룸바
1) 룸바의 정의
2) 룸바의 음악
3) 발생지
4) 박자기호
2. 차차차
1) 차차차의 유래
2) 차차차의 음악
3) 발생지
4) 템포 Tempo
5) 타이밍과 박자가치
6) 푸트워크와 체중을 분배
3. 자이브
1) 자이브의 유래
2) 발생지
3) 박자기호
4) 템포 Tempo
5) 타이밍과 박자가치
4. 삼바
1) 삼바의 유래
2) 삼바의 카운터와 박자
5. 파소도블레
1) 파소도블레 유래
2) 템포 Tempo
3) 발생지
4) 박자기호
Ⅳ.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발달 과정
Ⅴ.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의상
1. 명칭에 따른 분류
1) White Tie
2) Black Tie
2. 장소에 따른 분류
1) Formal(격식을 갖추어야 하는 장소)
2) Semi-formal(약간의 격식을 갖추어야 하는 장소)
3) Informal(격식을 갖출 필요가 없는 장소)
3. 춤의 종류에 따른 분류
1) 컨트리/웨스턴
2) 밀롱가(아르젠틴 탱고)
3) 라틴댄스
4) 스윙
4. 기타
Ⅵ.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국제매너와 에티켓
참고문헌
본문내용
당당하고 공격적인 남성미를 연출해야 하며 여자는 그 주변에서 남자를 돋보일 수 있도록 춤을 추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투우의 원형적인 형태 속에 대부분의 춤 자세와 팔 동작 등은 스페인의 전통 집시 댄스인 플라멩고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그래서 혹자들은 파소도블레 춤 안에서 시선을 위로 올리면 투우의 당당함이 나타나고 시선을 아래로 내리면 플라멩고의 정열이 나타난다고 말을 하기도 한다. 춤의 형태가 남성적인 것처럼 파소도블레의 음악 또한 투우사들이 투우장에 입장할 때 연주되는 행진곡풍으로 되어있다. 특히 이중 Spanish Gypsy Dance 혹은 Espana Cani로 불리어지는 행진곡은 파소도블레 음악의 고전으로 대부분의 파소도블레 음악은 이 느낌에 기초를 두고 만들어졌다. Espana Cani는 보통 2/4박자나 6/8박자이며 2분 정도의 음악 안에 3막 형태의 리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댄스스포츠 경기장에서는 대부분 이 음악만을 사용하고 있고 선수들 또한 이에 맞추어 춤의 순서를 총 3막으로 구성하고 마지막 부분에 클라이막스 동작을 연출한다. 다이나믹한 동작과 공격적인 눈동자 그리고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아름다움의 표현들! 바로 처절한 피의 향연을 예술적으로 승화한 파소도블레의 모습이다. 그러나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춤이 댄스스포츠 경기나 시범 이외에는 보기가 힘들다. 또한 댄스스포츠를 가르치는 곳에서도 시합에 나가는 선수 이외에는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때문에 파소도블레를 삼바와 더불어 댄스스포츠의 전문적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1992년 호주에서 만든 영화 \"Dancing Hero\"에는 파소도블레를 새로운 춤으로 소개하고 있는데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인 폴 머큐리오가 굳게 다문 입술 속에 머리칼을 휘날리며 무릎을 꿇고 회전하여 입장하는 모습은 이 영화의 백미이다.
협잡과 질시가 난무하는 범태평양 댄스스포츠 대회에 리듬처럼 흐르는 심장 박동과 혈관을 타고 강하게 흐르는 젊은 피, 그리고 거세게 몰아치는 숨소리 속에 연출되는 폴 머큐리오(스콧분)와 타라 모리스(프랜분)의 파소도블레는 그야말로 오염된 모든 것을 다 씻어버리고 선수와 관객이 하나가 되는 화합의 장으로 변모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스페인의 문화 속에 투우와 플라멩고에 묻혀 잘 나타지 않는 춤 파소도블레! 그러나 이미 스페인의 양대 문화를 모두 흡수하여 대중 속에 사랑을 받아오고 있는 춤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2) 템포 Tempo
1분간 60~62 소절의 템포이다.
3) 발생지
\"파소 도브레\"는 스페인어로 파소는 영어의 스탭(Step)을 그리고 도브레는 더블(Double)을 의미한다.
4) 박자기호
이 춤에서는 2/4박자기호의 음악을 사용하며, 그 음악의 엑센트(accent)는 각 소절의 첫 박자에 있고, 시작하는 스탭은 음악의 각 소절의 그 첫째 박자에서 춤을 춘다.
Ⅳ.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발달 과정
댄스스포츠는 특별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후나 계절과 같은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이루어질 수 있는 스포츠이므로 최적의 평생스포츠라 할 수 있다(염옥남,1986). 댄스스포츠는 17세기부터 유럽의 궁중 무도회에서 사교를 목적으로 남녀가 원형을 이루고 파트너를 바꾸어 추는 춤의 형식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였으며, 19세기까지는 발레의 기법을 사용하는 올드 타임(old time)이 주류를 이루어 민속음악의 요소가 크게 가미된 댄스음악의 발달과 함께 각종 사교댄스(social dance)로 발전하였다. 영국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댄스를 올드 타임과 구별하여 “모던댄스”라고 불렀다(Silvester, 1993).
무도회에서 추는 춤이란 뜻의 볼룸댄스(Ballroom Dancing)란 명칭은 1922년 개최된 세계프로페셔널 볼룸 선수권 대회(World Professional Ballroom Championship)에서 처음 사용하기 시작하였다(spencer, 1969). 영국 황실무도교사협회(Imperial Society of Teachers of Dancing : ISTD)가 1904년에 설립되어 모던댄스의 연구개발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1924년 볼룸분과위원회를 설치하고 왈츠, 탱고, 퀵스텝, 폭스트롯트, 비엔니스 왈츠 등 5개 종목의 도형과 기법을 정리하여 모던 불룸댄스의 개정기법을 발표하였다. 한편 1974년 룸바, 차차, 삼바, 파소도블, 자이브 등 5개 종목의 도형과 기법을 정리하여 라틴 아메리칸 댄스의 개정기법을 발표하였으며, 그에 따라 국제선수권 대회의 경기종목은 모던댄스(혹은 스탠다드)부분 5개 종목과 라틴아메리칸 댄스 부분 5개 종목으로 통일되었다. 또한 경기댄스의 올림픽 경기 정식종목 채택을 중요한 목표로 창설된 ICAD는 1980년부터 국제 올림픽위원회 가입을 꾸준히 추진하여 왔으며, 볼룸댄스(Ballroom Dance), 사교춤(Social Dance), 스포츠댄스(Sports Dance) 등으로 불리어오다가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을 추진하면서 댄스스포츠로 용어를 통일하게 되었다. ICAD는 1988년 서울 올림픽 경기를 앞두고 회원국들에게 볼룸댄스 대신 댄스스포츠로 명칭을 바꾸어 사용하도록 권장하였으며, 마침내 1990년 댄스스포츠를 관장하는 국제연맹이란 뜻의 국제댄스스포츠연맹(International Dancesport Federation : IDSF)이 탄생하게 되었다.
또한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시범종목으로 댄스스포츠는 폐막식에서 그 화려한 막이 올려졌으며, 2008년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이 추진 중이다. 이렇게 댄스스포츠는 국제적으로 보편화되어 건전한 사회체육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것은 연령이나 신분의 장벽을 초월하여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Ⅴ.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의상
의상은 대개 장소와 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춤을 추기가 편해야 하고 격식도 고려해야 한다. 춤에도 예의가 있듯, 복장도 예의를 갖추어야 한다. 예를 들어 뉴욕의 Charity Ball에서는 턱시도나 무도회 가운을 입지 않으면 실례가 된다. 반면에 일반적인 댄스레슨이나 워크
이 때문에 댄스스포츠 경기장에서는 대부분 이 음악만을 사용하고 있고 선수들 또한 이에 맞추어 춤의 순서를 총 3막으로 구성하고 마지막 부분에 클라이막스 동작을 연출한다. 다이나믹한 동작과 공격적인 눈동자 그리고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아름다움의 표현들! 바로 처절한 피의 향연을 예술적으로 승화한 파소도블레의 모습이다. 그러나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춤이 댄스스포츠 경기나 시범 이외에는 보기가 힘들다. 또한 댄스스포츠를 가르치는 곳에서도 시합에 나가는 선수 이외에는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때문에 파소도블레를 삼바와 더불어 댄스스포츠의 전문적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1992년 호주에서 만든 영화 \"Dancing Hero\"에는 파소도블레를 새로운 춤으로 소개하고 있는데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인 폴 머큐리오가 굳게 다문 입술 속에 머리칼을 휘날리며 무릎을 꿇고 회전하여 입장하는 모습은 이 영화의 백미이다.
협잡과 질시가 난무하는 범태평양 댄스스포츠 대회에 리듬처럼 흐르는 심장 박동과 혈관을 타고 강하게 흐르는 젊은 피, 그리고 거세게 몰아치는 숨소리 속에 연출되는 폴 머큐리오(스콧분)와 타라 모리스(프랜분)의 파소도블레는 그야말로 오염된 모든 것을 다 씻어버리고 선수와 관객이 하나가 되는 화합의 장으로 변모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스페인의 문화 속에 투우와 플라멩고에 묻혀 잘 나타지 않는 춤 파소도블레! 그러나 이미 스페인의 양대 문화를 모두 흡수하여 대중 속에 사랑을 받아오고 있는 춤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2) 템포 Tempo
1분간 60~62 소절의 템포이다.
3) 발생지
\"파소 도브레\"는 스페인어로 파소는 영어의 스탭(Step)을 그리고 도브레는 더블(Double)을 의미한다.
4) 박자기호
이 춤에서는 2/4박자기호의 음악을 사용하며, 그 음악의 엑센트(accent)는 각 소절의 첫 박자에 있고, 시작하는 스탭은 음악의 각 소절의 그 첫째 박자에서 춤을 춘다.
Ⅳ.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발달 과정
댄스스포츠는 특별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후나 계절과 같은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이루어질 수 있는 스포츠이므로 최적의 평생스포츠라 할 수 있다(염옥남,1986). 댄스스포츠는 17세기부터 유럽의 궁중 무도회에서 사교를 목적으로 남녀가 원형을 이루고 파트너를 바꾸어 추는 춤의 형식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였으며, 19세기까지는 발레의 기법을 사용하는 올드 타임(old time)이 주류를 이루어 민속음악의 요소가 크게 가미된 댄스음악의 발달과 함께 각종 사교댄스(social dance)로 발전하였다. 영국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댄스를 올드 타임과 구별하여 “모던댄스”라고 불렀다(Silvester, 1993).
무도회에서 추는 춤이란 뜻의 볼룸댄스(Ballroom Dancing)란 명칭은 1922년 개최된 세계프로페셔널 볼룸 선수권 대회(World Professional Ballroom Championship)에서 처음 사용하기 시작하였다(spencer, 1969). 영국 황실무도교사협회(Imperial Society of Teachers of Dancing : ISTD)가 1904년에 설립되어 모던댄스의 연구개발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1924년 볼룸분과위원회를 설치하고 왈츠, 탱고, 퀵스텝, 폭스트롯트, 비엔니스 왈츠 등 5개 종목의 도형과 기법을 정리하여 모던 불룸댄스의 개정기법을 발표하였다. 한편 1974년 룸바, 차차, 삼바, 파소도블, 자이브 등 5개 종목의 도형과 기법을 정리하여 라틴 아메리칸 댄스의 개정기법을 발표하였으며, 그에 따라 국제선수권 대회의 경기종목은 모던댄스(혹은 스탠다드)부분 5개 종목과 라틴아메리칸 댄스 부분 5개 종목으로 통일되었다. 또한 경기댄스의 올림픽 경기 정식종목 채택을 중요한 목표로 창설된 ICAD는 1980년부터 국제 올림픽위원회 가입을 꾸준히 추진하여 왔으며, 볼룸댄스(Ballroom Dance), 사교춤(Social Dance), 스포츠댄스(Sports Dance) 등으로 불리어오다가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을 추진하면서 댄스스포츠로 용어를 통일하게 되었다. ICAD는 1988년 서울 올림픽 경기를 앞두고 회원국들에게 볼룸댄스 대신 댄스스포츠로 명칭을 바꾸어 사용하도록 권장하였으며, 마침내 1990년 댄스스포츠를 관장하는 국제연맹이란 뜻의 국제댄스스포츠연맹(International Dancesport Federation : IDSF)이 탄생하게 되었다.
또한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시범종목으로 댄스스포츠는 폐막식에서 그 화려한 막이 올려졌으며, 2008년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이 추진 중이다. 이렇게 댄스스포츠는 국제적으로 보편화되어 건전한 사회체육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것은 연령이나 신분의 장벽을 초월하여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Ⅴ.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의상
의상은 대개 장소와 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춤을 추기가 편해야 하고 격식도 고려해야 한다. 춤에도 예의가 있듯, 복장도 예의를 갖추어야 한다. 예를 들어 뉴욕의 Charity Ball에서는 턱시도나 무도회 가운을 입지 않으면 실례가 된다. 반면에 일반적인 댄스레슨이나 워크
추천자료
사교댄스
밸리댄스에 대하여
포스트 모던댄스의 한국적 수용의 과제
더티댄싱과 쉘위댄스 영화감상문
생활무용과 재즈댄스
쉘위댄스 감상문
댄스 댄스 댄스 REMIX(타이핑 레슨)를 읽고나서
[발레 의상과 얼굴분장][발레의 현대화][재즈댄스][청각장애아교육][발레의 교육적 가치]발레...
[모던댄스][현대춤]현대무용(모던댄스, 현대춤)의 특징과 전개, 현대무용(모던댄스, 현대춤)...
[교육활동][교수학습활동][수업활동][학습활동]바른행동교육활동, 인성교육활동, 독서교육활...
무라카미 하루키의 ‘댄스댄스’를 읽고....
쉘 위 댄스 (Shall we ダンス?/Shall We Dance?) - 쉘위댄스
재즈댄스(Jazz Dance)의 역사와 종류 및 가치
에어로빅댄스의 본질 탐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