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념이해
⁍활용・심화
⁍활용・심화
본문내용
다.
きそうにない、かなさそうだ。
2) 품사에 따라 부정형이 다릅니다.
동사 : きそうも/に(は)ない。
イ/ナ형용사 : そうではない、そうではない
3) イ형용사인 ‘いいない’의 경우 ‘よさそうだなさそうだ’의 형태가 됩니다.
(연습)
るできるないだいいない
#전문의 そうだ
‘そうだ’는 추량의 의미 이외에도 전문(傳聞)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くそうだ。 (간다고 하더라)
いそうだ。 (덥다고 하더라)
だそうだ。 (안전하다더라)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전문의 ‘そうだ’는 동사형용사의 기본형에 붙어 다른 곳에서 들은 것(~라고 한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보통 다음 예와 같이 ‘~よると(의하면)’등의 정보를 얻은 소재를 같이 써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によるとがるそうだ。(신문에 의하면 내일 눈이 내린다고 한다)
⊙ようだ
ようだ
예시
명사
명사 +の +ようだ
はのようです。
ナ형용사
ナ형용사의 어간 +な +ようだ
このはなようです。
イ형용사
기본형 +ようだ
このケ─キはおいしいようです。
동사
기본형 +ようだ
がるようです。
활용에 있어서의 주의점
‘ようだ’는 부정형이나 의문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Xくようではない/くようですか
(연습)
るできるないだいいない
<‘そうだ’와 ‘ようだ’의 비교>
‘ようだ’가 상황을 근거로 한 말하는 이의 판단을 나타내는데 대해 ‘そうだ’는 기본적으로 외관을 묘사하는 표현입니다.
a. このケキはおいしいようです。
b. このケキはおいしいそうです。
a.가 무엇인가의 상황(잘 팔린다던가, 모두 먹으면서 좋아한다라는 등)으로 부터 말하는 이가 판단한 것에 대해서, b 는 끝까지 케
きそうにない、かなさそうだ。
2) 품사에 따라 부정형이 다릅니다.
동사 : きそうも/に(は)ない。
イ/ナ형용사 : そうではない、そうではない
3) イ형용사인 ‘いいない’의 경우 ‘よさそうだなさそうだ’의 형태가 됩니다.
(연습)
るできるないだいいない
#전문의 そうだ
‘そうだ’는 추량의 의미 이외에도 전문(傳聞)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くそうだ。 (간다고 하더라)
いそうだ。 (덥다고 하더라)
だそうだ。 (안전하다더라)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전문의 ‘そうだ’는 동사형용사의 기본형에 붙어 다른 곳에서 들은 것(~라고 한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보통 다음 예와 같이 ‘~よると(의하면)’등의 정보를 얻은 소재를 같이 써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によるとがるそうだ。(신문에 의하면 내일 눈이 내린다고 한다)
⊙ようだ
ようだ
예시
명사
명사 +の +ようだ
はのようです。
ナ형용사
ナ형용사의 어간 +な +ようだ
このはなようです。
イ형용사
기본형 +ようだ
このケ─キはおいしいようです。
동사
기본형 +ようだ
がるようです。
활용에 있어서의 주의점
‘ようだ’는 부정형이나 의문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Xくようではない/くようですか
(연습)
るできるないだいいない
<‘そうだ’와 ‘ようだ’의 비교>
‘ようだ’가 상황을 근거로 한 말하는 이의 판단을 나타내는데 대해 ‘そうだ’는 기본적으로 외관을 묘사하는 표현입니다.
a. このケキはおいしいようです。
b. このケキはおいしいそうです。
a.가 무엇인가의 상황(잘 팔린다던가, 모두 먹으면서 좋아한다라는 등)으로 부터 말하는 이가 판단한 것에 대해서, b 는 끝까지 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