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중화권 경제 전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중화권의 경제동향과 중장기 전망
가. 중화권의 경제동향
나. 중화권 경제협력의 도전 과제와 대만 · 홍콩의 역할 변화
다. 중화권의 중장기 경제발전 목표와 전망

2.중화권 내 경제교류 관계 현황과 전망
가. 중화권 내의 무역협력 현황과 전망
나. 중화권 내 투자협력 현황과 전망
다. 중화권 내 FTA 현황과 전망

3.중화권의 협력과 경쟁 : 금융 및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가. 중화권 내 금융협력 현황과 허브경쟁
나. 중화권 내 물류산업 재편과 경쟁 심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7
7,969
1,915
2003년
150,600
69,161
45.9
38,293
22,891
30,868
128,010
12,935
10.1
11,018
1,917
2004년
182,370
81,826
44.9
48,930
36,349
32,896
168,728
19,101
11.3
16,792
2,309
2005년
198,432
90,308
45.5
56,272
43,644
34,036
182,614
22,204
12.2
20,094
2,110
2006년
224,017
100,714
45.0
63,333
51,809
37,381
202,698
26,664
13.2
24,783
1,881
(단위: 백만 달러)
4) 중계무역항으로서 홍콩의 역할 강화
- 홍콩은 세계 12대 수출국으로서 중국의 중계무역기지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홍콩을 통한 중계무역은 주로 중국에서 수입하여 제3국으로 수출하거나 중국으로 역수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홍콩의 수출입 규모와 역내 교역>
수출
수입
대세계
(A)
역내
역내 교역중
대세계
(A)
역내
역내 교역중
수출액
비중
(%)
중국
대만
수출액
비중
(%)
중국
대만
1990년
82,272
23,798
28.9
20,332
3,466
82,490
37,779
45.8
30,313
7,466
1995년
173,556
62,453
36.0
57,861
4,592
192,765
86,353
44.8
69,738
16,615
2000년
202,249
74,864
37.0
69,744
5,120
213,328
107,803
50.5
91,804
15,999
2001년
190,081
74,645
39.3
70,096
4,549
201,474
101,441
50.3
87,522
13,919
2002년
200,320
83,193
41.5
78,744
4,449
208,024
106,991
51.4
92,032
14,959
2003년
224,040
100,917
45.0
95,477
5,440
232,580
117,405
50.5
101,260
16,145
2004년
259,423
120,494
46.4
114,180
6,314
271,458
137,879
50.8
118,051
19,828
2005년
289,509
136,772
47.2
130,283
6,489
299,967
156,742
52.3
135,084
21,658
2006년
316,819
155,548
49.1
148,853
6,695
334,691
178,616
53.4
153,651
24,965
(단위; 백만 달러)
(2007년 자료)
나. 중화권 내 투자협력 현황과 전망
“2005년 외국인투자 유입액은 1,099억 달러로 전세계 FDI유입액의 12% 차지”
중국
- WTO 가입 이후, 해외투자 규모 733.3억 달러로 급증 및 FDI의 증대
- 최근 남미, 유럽, 아프리카등 해외 투자 지역 확대
대만
- 2006년 대중 투자 1,090건, 투자금액 76억 4,233만 달러로 사상 최고치
- 외국인 투자 유치는 지속적 상승세
홍콩
- 해외투자액 4,700억 달러중 중국은 1,900억 달러, 버진아일랜드는 2,060억 달러.
- 2005년 말 FDI유입액은 5,200억 달러로 동년 GDP의 293%
다. 중화권 내 FTA 현황과 전망
1) 중국-홍콩 간 CEPA(Closer Economic Partnershop Arrangement) 체결
- 중국, 홍콩, 마카오 간의 경제무역관계긴밀화협정.
- 4단계의 과정을 통해 홍콩산 제품의 중국에서 무관세 혜택을 적용
2) 중국의 FTA 추진 현황과 전망
- 2004년 ASEAN, 2005년 칠레, 2006년 파키스탄과 FTA 상품협정 체결
- 호주, 뉴질랜드, GCC, 아이슬란드와 협상중.
- 외교 안보적 측면에서 역내 리더십을 강화하려는 목적
3) 대만의 FTA 전략
- 현재 총 24개국과 수교관계.
- 파나마(2003년), 과테말라(2005년), 니카라과(2006년), 온두라스, 엘살바도르(2007년) FTA협정
- 중국 · ASEAN FTA로 인한 경제적 파장이 큼
4) 중 · 대만 FTA 전망
- 친중적 성향인 국민당 마잉주 후보의 당선으로 FTA 추진의 가능성 증대
- 중국과의 경제통합의 가속화 예상
3.중화권의 협력과 경쟁 : 금융 및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가. 중화권 내 금융협력 현황과 허브경쟁
▶ 중화권 내 금융중심지와 금융협력 현황
- 홍콩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은행과 금융센터로 부상(2006년 말, 202개의 은행과 84개의 대표사무소)
- 홍콩은 아시아 3대, 세계 6대 외환시장 및 아시아 2위, 세계 6위의 주식시장
- 중국의 유일한 국제금융센터로 포지셔닝
▶ 역내 주요 금융허브 육성전략
홍콩
- 전세계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2위자리 고수(중국 본토 경제의 영향)
- 중국 본토 금융시장과의 동반 성장세를 이루는 방향을 발전
상하이
- 중국의 금융중심지로의 개발 계획
랴오닝 성 다롄의 동북아 금융허브 육성전략
- 11차 5개년 개발계획중 동북아 금융허브로 발전시키는 계획 포함
- 뉴욕 맨해튼 규모에 런던과 같은 위상을 갖는 것이 목표
나. 중화권 내 물류산업 재편과 경쟁 심화
“중국 중심의 물류 네트워크 재편과 물동량 흡수를 위한 중국·대만·홍콩간 경쟁의 심화”
▶ 중국의 항만 물류 현황
- 8대 항만등 수많은 연해 항만이 위치
- 중국 경제성장과 대외무역 증가에 따라 항만 인프라 건설 가속화.
- 중국 내 주요항만의 전문화, 대형화 추세로 주변국에 영향.
▶ 중국의 항공물류 현황
- 항공 인프라의 과부족 상태로 심각한 물류 적체를 유발
- 2010년 베이징 제 2공항 착공.
▶ 홍콩과 대만의 경쟁력 강화전략
- 상하이, 홍콩, 가오슝을 포함하나 협력 기반
- 홍콩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홍콩항 활성화 방안
- 대만의 가오슝항도 2006년 고효율, 고품질 서비스를 위한 경쟁력 강화 조치.
참고문헌
양평섭 외, 「한국의 주요국별 · 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 중화권」, 대외경제연구원, 2007.
외교통상부, http://www.mofat.go.kr.
산업연구원 http://www.kiet.re.kr.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4.17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5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