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서양의 향신료
1. 지네프로(주니퍼베리, 곱향나무: Juniper, Ginepro)
2. 끼오디 디 카로파노(크로브, 정향나무: Clove, Chiodi Di Garofano)
3. 노체 모스카타(육두구, 넛메그: Netmeg, Noce Moscata)
4. 페페(후추Pepper, PePe)
5. 살레(소금Salt, Sale)
6. 자페라노(샤프론Saffron, Zafferano)
7. 알리치, 아주케(엔초비Anchovy, Alici)
8. 풍기(풍기Mushroom, Funghi)
9. 바니질라(바닐라Vanilla, Vaniglia)
Ⅲ. 동양의 향신료
1. 계피(cinnamon, cannella)
2. 마늘(garlic, aglio)
3. 후추(pepper, pepe)
4. 월계수 잎(bay leaf, alloro)
5. 딜(dill, aneto)
6. 세이지(sage, salvia)
7. 커리(Curry)
9. 간장
1) 코이쿠치
2) 우스코치
10. 된장
1) 붉은색 된장(아카미소)
2) 엷은색 된장(시로미소)
3) 콩된장(마메미소)
11. 미림
12. 와사비
13. 겨자
14. 색고추가루
15. 우메보시
16. 시소(차조기)
17. 유바
18. 베니쇼오가
19. 소금
20. 된장
21. 고추장
22. 고춧가루
23. 참기름, 들기름, 식용유
24. 깨소금
25. 식초
26. 설탕, 꿀, 물엿
27. 파, 마늘, 생강
Ⅳ. 프랑스요리(프랑스음식)
1. 바게트
2. 과일플람베
3. 마롱글라세
4. 사바랭
5. 크레페수제트
6. 타르트
7. 베샤멜소스
Ⅴ. 슬로바키아요리(슬로바키아음식)
Ⅵ. 일본요리(일본음식)
1. 전채
2. 흡이물
3. 오조리
4. 소키물
5. 자물
6. 양게물
7. 초노물
8. 미소시루
9. 향노물
10. 어반
11. 과물
Ⅶ. 중국요리(중국음식)
1. 산동요리계통(산동채계) : 산동채, 노채
2. 회양요리계통(회양채계) : 강소채, 회양채
3. 사천요리계통(사천채계) : 사천채, 천채
4. 광동요리계통(광동채계) : 광동채
Ⅷ. 한국요리(한국음식)
1. 김치
2. 설렁탕
3. 떡
참고문헌
Ⅱ. 서양의 향신료
1. 지네프로(주니퍼베리, 곱향나무: Juniper, Ginepro)
2. 끼오디 디 카로파노(크로브, 정향나무: Clove, Chiodi Di Garofano)
3. 노체 모스카타(육두구, 넛메그: Netmeg, Noce Moscata)
4. 페페(후추Pepper, PePe)
5. 살레(소금Salt, Sale)
6. 자페라노(샤프론Saffron, Zafferano)
7. 알리치, 아주케(엔초비Anchovy, Alici)
8. 풍기(풍기Mushroom, Funghi)
9. 바니질라(바닐라Vanilla, Vaniglia)
Ⅲ. 동양의 향신료
1. 계피(cinnamon, cannella)
2. 마늘(garlic, aglio)
3. 후추(pepper, pepe)
4. 월계수 잎(bay leaf, alloro)
5. 딜(dill, aneto)
6. 세이지(sage, salvia)
7. 커리(Curry)
9. 간장
1) 코이쿠치
2) 우스코치
10. 된장
1) 붉은색 된장(아카미소)
2) 엷은색 된장(시로미소)
3) 콩된장(마메미소)
11. 미림
12. 와사비
13. 겨자
14. 색고추가루
15. 우메보시
16. 시소(차조기)
17. 유바
18. 베니쇼오가
19. 소금
20. 된장
21. 고추장
22. 고춧가루
23. 참기름, 들기름, 식용유
24. 깨소금
25. 식초
26. 설탕, 꿀, 물엿
27. 파, 마늘, 생강
Ⅳ. 프랑스요리(프랑스음식)
1. 바게트
2. 과일플람베
3. 마롱글라세
4. 사바랭
5. 크레페수제트
6. 타르트
7. 베샤멜소스
Ⅴ. 슬로바키아요리(슬로바키아음식)
Ⅵ. 일본요리(일본음식)
1. 전채
2. 흡이물
3. 오조리
4. 소키물
5. 자물
6. 양게물
7. 초노물
8. 미소시루
9. 향노물
10. 어반
11. 과물
Ⅶ. 중국요리(중국음식)
1. 산동요리계통(산동채계) : 산동채, 노채
2. 회양요리계통(회양채계) : 강소채, 회양채
3. 사천요리계통(사천채계) : 사천채, 천채
4. 광동요리계통(광동채계) : 광동채
Ⅷ. 한국요리(한국음식)
1. 김치
2. 설렁탕
3. 떡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 Clove, Chiodi Di Garofano)
3. 노체 모스카타(육두구, 넛메그: Netmeg, Noce Moscata)
4. 페페(후추Pepper, PePe)
5. 살레(소금Salt, Sale)
6. 자페라노(샤프론Saffron, Zafferano)
7. 알리치, 아주케(엔초비Anchovy, Alici)
8. 풍기(풍기Mushroom, Funghi)
9. 바니질라(바닐라Vanilla, Vaniglia)
Ⅲ. 동양의 향신료
1. 계피(cinnamon, cannella)
2. 마늘(garlic, aglio)
3. 후추(pepper, pepe)
4. 월계수 잎(bay leaf, alloro)
5. 딜(dill, aneto)
6. 세이지(sage, salvia)
7. 커리(Curry)
9. 간장
1) 코이쿠치
2) 우스코치
10. 된장
1) 붉은색 된장(아카미소)
2) 엷은색 된장(시로미소)
3) 콩된장(마메미소)
11. 미림
12. 와사비
13. 겨자
14. 색고추가루
15. 우메보시
16. 시소(차조기)
17. 유바
18. 베니쇼오가
19. 소금
20. 된장
21. 고추장
22. 고춧가루
23. 참기름, 들기름, 식용유
24. 깨소금
25. 식초
26. 설탕, 꿀, 물엿
27. 파, 마늘, 생강
Ⅳ. 프랑스요리(프랑스음식)
1. 바게트
2. 과일플람베
3. 마롱글라세
4. 사바랭
5. 크레페수제트
6. 타르트
7. 베샤멜소스
Ⅴ. 슬로바키아요리(슬로바키아음식)
Ⅵ. 일본요리(일본음식)
1. 전채
2. 흡이물
3. 오조리
4. 소키물
5. 자물
6. 양게물
7. 초노물
8. 미소시루
9. 향노물
10. 어반
11. 과물
Ⅶ. 중국요리(중국음식)
1. 산동요리계통(산동채계) : 산동채, 노채
2. 회양요리계통(회양채계) : 강소채, 회양채
3. 사천요리계통(사천채계) : 사천채, 천채
4. 광동요리계통(광동채계) : 광동채
Ⅷ. 한국요리(한국음식)
1. 김치
2. 설렁탕
3. 떡
참고문헌
Ⅰ. 개요
오늘날의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예술의 진보 등 이런 모든 면에서의 괄목할 만한 발달은 조리분야의 형태와 메뉴, 그리고 식생활 습관을 변모시켰다. 지난 수 백년간 지속된 조리법의 발달은 여전히 지속될 수 있다. 그런 변화들은 위에서 언급한 기술상의 발전 때문에도 가능했지만, 조리법의 전통에 대한 우리의 다양한 반응에도 연유한다. 두 가지 대조되는 요인이 조리의 역사를 통해서 작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 가지는 복잡한 재료의 순수하고 자연스런 맛을 강조하는 것이며, 다른 한 가지는 더욱더 우아하고 복잡한 절차를 강조하는 조리사의 창의력을 두드려지게 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요인들은 타당하고 유익하다. 즉 그 요인들은 조리 기술을 새롭게 만드는 것이다.
최초의 조리 역사에서 이런 경향을 읽을 수 있다. 조리사들은 양도 많고 복잡한 고정 조리법에 대한 반작용으로 60-70년대의 불란서 조리사들은 \'신 조리법(Nouvelle cuisine)\' 이라 불리는 스타일로 명성을 얻게 되었다. 그들은 밀가루로 소스를 진하게 하는 전통적 방법을 거부하고 간소하고 더욱 자연적인 맛을 강조하여 좀더 가벼운 소스와 양념, 짧은 조리시간을 주장하였다. \'아주 빠르게 더욱 간편하게\'라는 이 스타일은 낭비적(extravagant)이고 번거롭게(complicated)하여 손이 많이 감과 동시에 음식 준비 절차와 디자인이 화려하다는 평판을 얻었다. 1980년대에 많은 사람들은 \'신 조리법\'은 사라졌다고 말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사라지지 않았고 다만 에스코피에(Escoffier)의 조리법이 소멸한 것이다. 신 조리법의 가장 큰 업적은 고전적 전통에서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가장 최신의 아이디어와 현재도 지속되는 업적들 대부분은 그대로 고전적 방식으로 훈련된 조리사들의 사상과 업적들이 되어 왔다고 말해도 될 것이다.
미국의 전통 조리와 지방 특성 조리는 이민 거주자들이 전해준 조리법의 산물이다. 그들 조리법은 드넓은 국토에서 나는 특유의 산물과 조화되었다. 수년 동안 비평가들이 주장하기를 미국의 식단은 단조롭고 특별한 것이 없는 음식물들로 짜여져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최초의 미국인의 조리법이 패션 화하였고 거의 모든 지방의 특산 조리도 \'고전적(classic)\'이란 이름으로 불린다. 그러나 어느 나라에서도 좋은 음식과 그렇지 못한 음식을 모두 접하게 된다. 미국이든 프랑스든 어떤 특별한 음식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조리사가 원칙에 입각한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미국 요식업(Food service)의 성장은 조리사들에게 커다란 희망을 가져다주었다. 앞으로 미국에서 조리 관련 기술이 크게 변모할 것이며, 이들 변화에 적응할 여러 사람들이 필요하게 되고, 새로운 도전에 대응할 것이다. 비록 자동화와 인스턴트 음식이 크게 성장할 것이지만, 새로운 음식을 개발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창의적인 조리사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레스토랑과 호텔 그리고 학교병원 등의 시설에서 고단위 음식을 만들어 낼 신구 기술을 적절하게 응용할 수 있는 숙련된 조리사도 필요하게 될 것이다.
오늘날 요리는 점점 더 간편하고 자연적이며 가벼운 음식(비만방지)을 지향하고 있으며, 이 가볍고 자연적이란 말은 알렝 샤펠(Alain Chapel)과 같은 유명한 요리사와 함께 누벨 퀴진(Nouvelle Cuisine)이란 말을 낳았다. 오늘날 요리는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예술의 진보가 가져다 준 혜택의 선물이다. 모든 요리는 요리사가 정성을 갖고, 먹는 사람을 위하여 진정한 마음으로 만들어야 한다.
Ⅱ. 서양의 향신료
1. 지네프로(주니퍼베리, 곱향나무: Juniper, Ginepro)
다른 나라에서처럼 강한 맛과 향기를 가진 쥬니퍼 관목의 열매로 고기와 엽조류의 맛을 내는 또한 속재료(stuffing)와 마리네이드에 쓰인다.
2. 끼오디 디 카로파노(크로브, 정향나무: Clove, Chiodi Di Garofano)
여러 나라의 요리사들처럼 이탈리아 사람들은 클로우브를 마리네이드나 스톡에 넣기 전에 양파를 장식하기 위해 쓴다. 클로우브는 달콤한 요리와 케
3. 노체 모스카타(육두구, 넛메그: Netmeg, Noce Moscata)
4. 페페(후추Pepper, PePe)
5. 살레(소금Salt, Sale)
6. 자페라노(샤프론Saffron, Zafferano)
7. 알리치, 아주케(엔초비Anchovy, Alici)
8. 풍기(풍기Mushroom, Funghi)
9. 바니질라(바닐라Vanilla, Vaniglia)
Ⅲ. 동양의 향신료
1. 계피(cinnamon, cannella)
2. 마늘(garlic, aglio)
3. 후추(pepper, pepe)
4. 월계수 잎(bay leaf, alloro)
5. 딜(dill, aneto)
6. 세이지(sage, salvia)
7. 커리(Curry)
9. 간장
1) 코이쿠치
2) 우스코치
10. 된장
1) 붉은색 된장(아카미소)
2) 엷은색 된장(시로미소)
3) 콩된장(마메미소)
11. 미림
12. 와사비
13. 겨자
14. 색고추가루
15. 우메보시
16. 시소(차조기)
17. 유바
18. 베니쇼오가
19. 소금
20. 된장
21. 고추장
22. 고춧가루
23. 참기름, 들기름, 식용유
24. 깨소금
25. 식초
26. 설탕, 꿀, 물엿
27. 파, 마늘, 생강
Ⅳ. 프랑스요리(프랑스음식)
1. 바게트
2. 과일플람베
3. 마롱글라세
4. 사바랭
5. 크레페수제트
6. 타르트
7. 베샤멜소스
Ⅴ. 슬로바키아요리(슬로바키아음식)
Ⅵ. 일본요리(일본음식)
1. 전채
2. 흡이물
3. 오조리
4. 소키물
5. 자물
6. 양게물
7. 초노물
8. 미소시루
9. 향노물
10. 어반
11. 과물
Ⅶ. 중국요리(중국음식)
1. 산동요리계통(산동채계) : 산동채, 노채
2. 회양요리계통(회양채계) : 강소채, 회양채
3. 사천요리계통(사천채계) : 사천채, 천채
4. 광동요리계통(광동채계) : 광동채
Ⅷ. 한국요리(한국음식)
1. 김치
2. 설렁탕
3. 떡
참고문헌
Ⅰ. 개요
오늘날의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예술의 진보 등 이런 모든 면에서의 괄목할 만한 발달은 조리분야의 형태와 메뉴, 그리고 식생활 습관을 변모시켰다. 지난 수 백년간 지속된 조리법의 발달은 여전히 지속될 수 있다. 그런 변화들은 위에서 언급한 기술상의 발전 때문에도 가능했지만, 조리법의 전통에 대한 우리의 다양한 반응에도 연유한다. 두 가지 대조되는 요인이 조리의 역사를 통해서 작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 가지는 복잡한 재료의 순수하고 자연스런 맛을 강조하는 것이며, 다른 한 가지는 더욱더 우아하고 복잡한 절차를 강조하는 조리사의 창의력을 두드려지게 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요인들은 타당하고 유익하다. 즉 그 요인들은 조리 기술을 새롭게 만드는 것이다.
최초의 조리 역사에서 이런 경향을 읽을 수 있다. 조리사들은 양도 많고 복잡한 고정 조리법에 대한 반작용으로 60-70년대의 불란서 조리사들은 \'신 조리법(Nouvelle cuisine)\' 이라 불리는 스타일로 명성을 얻게 되었다. 그들은 밀가루로 소스를 진하게 하는 전통적 방법을 거부하고 간소하고 더욱 자연적인 맛을 강조하여 좀더 가벼운 소스와 양념, 짧은 조리시간을 주장하였다. \'아주 빠르게 더욱 간편하게\'라는 이 스타일은 낭비적(extravagant)이고 번거롭게(complicated)하여 손이 많이 감과 동시에 음식 준비 절차와 디자인이 화려하다는 평판을 얻었다. 1980년대에 많은 사람들은 \'신 조리법\'은 사라졌다고 말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사라지지 않았고 다만 에스코피에(Escoffier)의 조리법이 소멸한 것이다. 신 조리법의 가장 큰 업적은 고전적 전통에서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가장 최신의 아이디어와 현재도 지속되는 업적들 대부분은 그대로 고전적 방식으로 훈련된 조리사들의 사상과 업적들이 되어 왔다고 말해도 될 것이다.
미국의 전통 조리와 지방 특성 조리는 이민 거주자들이 전해준 조리법의 산물이다. 그들 조리법은 드넓은 국토에서 나는 특유의 산물과 조화되었다. 수년 동안 비평가들이 주장하기를 미국의 식단은 단조롭고 특별한 것이 없는 음식물들로 짜여져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최초의 미국인의 조리법이 패션 화하였고 거의 모든 지방의 특산 조리도 \'고전적(classic)\'이란 이름으로 불린다. 그러나 어느 나라에서도 좋은 음식과 그렇지 못한 음식을 모두 접하게 된다. 미국이든 프랑스든 어떤 특별한 음식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조리사가 원칙에 입각한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미국 요식업(Food service)의 성장은 조리사들에게 커다란 희망을 가져다주었다. 앞으로 미국에서 조리 관련 기술이 크게 변모할 것이며, 이들 변화에 적응할 여러 사람들이 필요하게 되고, 새로운 도전에 대응할 것이다. 비록 자동화와 인스턴트 음식이 크게 성장할 것이지만, 새로운 음식을 개발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창의적인 조리사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레스토랑과 호텔 그리고 학교병원 등의 시설에서 고단위 음식을 만들어 낼 신구 기술을 적절하게 응용할 수 있는 숙련된 조리사도 필요하게 될 것이다.
오늘날 요리는 점점 더 간편하고 자연적이며 가벼운 음식(비만방지)을 지향하고 있으며, 이 가볍고 자연적이란 말은 알렝 샤펠(Alain Chapel)과 같은 유명한 요리사와 함께 누벨 퀴진(Nouvelle Cuisine)이란 말을 낳았다. 오늘날 요리는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예술의 진보가 가져다 준 혜택의 선물이다. 모든 요리는 요리사가 정성을 갖고, 먹는 사람을 위하여 진정한 마음으로 만들어야 한다.
Ⅱ. 서양의 향신료
1. 지네프로(주니퍼베리, 곱향나무: Juniper, Ginepro)
다른 나라에서처럼 강한 맛과 향기를 가진 쥬니퍼 관목의 열매로 고기와 엽조류의 맛을 내는 또한 속재료(stuffing)와 마리네이드에 쓰인다.
2. 끼오디 디 카로파노(크로브, 정향나무: Clove, Chiodi Di Garofano)
여러 나라의 요리사들처럼 이탈리아 사람들은 클로우브를 마리네이드나 스톡에 넣기 전에 양파를 장식하기 위해 쓴다. 클로우브는 달콤한 요리와 케
추천자료
중국을 알기 위한 기본 “중국 요리” 알기 및 중국식습관 알기
멕시코의 식생활(음식문화), 스위스의 식생활(음식문화), 프랑스의 식생활(음식문화), 독일의...
[음식문화][식생활][멕시코][프랑스][터키][중국][일본][한국]멕시코와 프랑스의 음식문화(식...
[사업계획서] 노인대상 전문레스토랑 창업 사업계획서 (호박요리 전문점 창업 사업계획서) - ...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기본원칙을 설명하고 영아와 유아를 대상으로 각각의 발달 ...
[일본음식문화][음식문화 특징][식사예절][라면][우동][초밥(스시)]일본음식문화의 특징, 일...
독일 음식 문화 [독일 음식 문화 소개, 독일 식사습관, 독일 과거 식사 습관, 독일 현재 식사...
[음식관광] 음식관광의 중요성과 효과 및 성공사례 (음식관광의 중요성, 음식과 관광의 관계,...
유아(만3-5세) 과학활동으로 미술적 접근과 요리활동 접근 중 하나를 골라 자유롭게 단위활동...
편식하는 유아의 문제점과 식사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지도방법을 작성하고, 요리활동이 편식...
[편식의문제점] 편식하는 유아의 문제점과 식사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지도방법을 작성하고 요...
만 3~5세 유아와 할 수 있는 요리활동 부분수업계획안을 작성해 보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