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제통화기금 [國際通貨基金, International Monetary Fund]
1. 국제통화기금이란?
2. 국제통화기금의 목적 및 활동
1) 외환시세 안정
2) 외환제한 철폐
3) 자금 공여
3. 국제통화기금의 운영자금
4. 국제통화기금의 활동과 평가
5. 우리나라 통화 위기의 발생원인
1) 통화위기의 정의
2) 한국 통화위기의 발생
3) 한국 통화위기의 발생원인
[1]첫째
[2]둘째
[3]셋째
[4]넷째
[5]한국 통화위기의 발생원인 종합
6. 외환위기 이후
출처)
1. 국제통화기금이란?
2. 국제통화기금의 목적 및 활동
1) 외환시세 안정
2) 외환제한 철폐
3) 자금 공여
3. 국제통화기금의 운영자금
4. 국제통화기금의 활동과 평가
5. 우리나라 통화 위기의 발생원인
1) 통화위기의 정의
2) 한국 통화위기의 발생
3) 한국 통화위기의 발생원인
[1]첫째
[2]둘째
[3]셋째
[4]넷째
[5]한국 통화위기의 발생원인 종합
6. 외환위기 이후
출처)
본문내용
년 기간 중 한국의 기업들은 설비투자를 크게 늘림에 따라 투자 및 자본에 대한 수익률이 크게 하락하였고, 임금상승에 따른 경쟁력 약화, 금융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었다. 또한 정부는 부실기업 정리과정에서 시장원리와는 동 떨어진 부도유예협약, 협조융자 등 각종 정책을 실시하여 부실을 확대시키고 시장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 하였다.
[5]한국 통화위기의 발생원인 종합
1997년 한국의 통화위기는 한국의 외환시장 및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이 상대적으로 작은 가운데 외국인투자가들의 국내외국환은행의 채무상환능력 약화에 대응하여 대규모적인 에금인출을 시도함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6. 외환위기 이후
외환위기 이후 추진된 기업 구조조정은 퇴출 ·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 빅딜(대규모 사업교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추진됐다.
1998년 6월에는 55개 기업이 퇴출판정을 받아 청산·매각·합병 등으로 정리됐고 5대 그룹 간에는 빅딜이 이뤄졌다.
금융구조조정도 강도 높게 추진됐다. 1997년 말 33개에 이르던 은행은 2003년 16개로 줄었고 30곳에 이르던 종금사는 2곳만 남게 됐다.
이 같은 경제체질 강화로 금융기관과 기업들의 재무구조가 건전해졌다. 또 한보·기아·대우그룹의 몰락에서 보듯 ‘대마불사’신화는 무너지는 한편, 시장기능은 강화됐다. 기업 지배구조가 개선돼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 등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발판이 됐다.
10년 전 상상할 수 없는 충격을 받았던 한국경제는 이처럼 기업과 금융 구조조정을 통해 유례를 찾을 수 없는 짧은 기간에 정상을 되찾고 항해를 계속하고 있다.
국민의 정부 바통을 이어받은 참여정부는 경제구조조정과 시스템 선진화, 양극화 문제 등 경제 불균형 해소, 저출산·고령화 등 미래 위험에 대비한 성장 동력 확충 등 세 가지 방향으로 경제 체질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위한 구체방안으로 △위기관리시스템(EWS) 구축 △신용불량자 종합대책과 금융채무불이행자 대책 등을 통한 가계부채 조정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대책(2004.3), 벤처기업 활성화 대책(2004.12), 금융지원체계 개편방안(2005.6) 등을 통한 구조조정 및 경쟁력 강화 등을 추진했다. 아울러 △시장개혁 3개년 로드맵(2003.12)을 통한 기업 지배구조개선 △노사관계 선진화 방안 △사회안전망 구축 등의 정책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이 같은 노력으로 한 때 89억 달러로 바닥을 드러냈던 외환 보유액은 2500억 달러를 넘어 세계 5위가 됐고, 기업의 평균 부채비율도 미국 일본 등 선진국보다도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수출은 97년 1362억 달러에서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지난해 3000억 달러를 돌파(3254억 달러)했고 1인당 국민소득은 2만14달러(2007년 예상치)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국가신용등급도 S&P가 A, 무디스가 A2로 각각 8단계, 5단계 상승했다.
출처)
www.naver.com
이충열, ‘한국통화위기의 성격과 발생원인데 대한 연구’, 한국금융연구원 2003
[5]한국 통화위기의 발생원인 종합
1997년 한국의 통화위기는 한국의 외환시장 및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이 상대적으로 작은 가운데 외국인투자가들의 국내외국환은행의 채무상환능력 약화에 대응하여 대규모적인 에금인출을 시도함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6. 외환위기 이후
외환위기 이후 추진된 기업 구조조정은 퇴출 ·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 빅딜(대규모 사업교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추진됐다.
1998년 6월에는 55개 기업이 퇴출판정을 받아 청산·매각·합병 등으로 정리됐고 5대 그룹 간에는 빅딜이 이뤄졌다.
금융구조조정도 강도 높게 추진됐다. 1997년 말 33개에 이르던 은행은 2003년 16개로 줄었고 30곳에 이르던 종금사는 2곳만 남게 됐다.
이 같은 경제체질 강화로 금융기관과 기업들의 재무구조가 건전해졌다. 또 한보·기아·대우그룹의 몰락에서 보듯 ‘대마불사’신화는 무너지는 한편, 시장기능은 강화됐다. 기업 지배구조가 개선돼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 등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발판이 됐다.
10년 전 상상할 수 없는 충격을 받았던 한국경제는 이처럼 기업과 금융 구조조정을 통해 유례를 찾을 수 없는 짧은 기간에 정상을 되찾고 항해를 계속하고 있다.
국민의 정부 바통을 이어받은 참여정부는 경제구조조정과 시스템 선진화, 양극화 문제 등 경제 불균형 해소, 저출산·고령화 등 미래 위험에 대비한 성장 동력 확충 등 세 가지 방향으로 경제 체질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위한 구체방안으로 △위기관리시스템(EWS) 구축 △신용불량자 종합대책과 금융채무불이행자 대책 등을 통한 가계부채 조정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대책(2004.3), 벤처기업 활성화 대책(2004.12), 금융지원체계 개편방안(2005.6) 등을 통한 구조조정 및 경쟁력 강화 등을 추진했다. 아울러 △시장개혁 3개년 로드맵(2003.12)을 통한 기업 지배구조개선 △노사관계 선진화 방안 △사회안전망 구축 등의 정책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이 같은 노력으로 한 때 89억 달러로 바닥을 드러냈던 외환 보유액은 2500억 달러를 넘어 세계 5위가 됐고, 기업의 평균 부채비율도 미국 일본 등 선진국보다도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수출은 97년 1362억 달러에서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지난해 3000억 달러를 돌파(3254억 달러)했고 1인당 국민소득은 2만14달러(2007년 예상치)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국가신용등급도 S&P가 A, 무디스가 A2로 각각 8단계, 5단계 상승했다.
출처)
www.naver.com
이충열, ‘한국통화위기의 성격과 발생원인데 대한 연구’, 한국금융연구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