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베버의 관료제 국가론
2. 신 베버주의 국가론
1) 국가이념이론,국가이익이론
2) 국가구조론
3) 지배연합이론,사회연합이론
4) 국제체제이론
3. 신 맑스주의 국가론
1) 도구주의 국가론
2) 구조주의 국가론:국가의 상대적 자율성 이론
3) 헤겔적 맑스주의 국가론
4) 국가계급 투쟁론
5) 국가도출론
6) 종속국가론
7) 신 맑스주의 국가론평가
4. 파시즘 국가이론
5. 군부통치 국가이론 :예외 국가이론과 집정관 체제이론
1) 폴란차스의 군부통치 국가이론 : 예외 국가이론
2) 노드링거의 집정과 체제 이론
6. 국가 중심적 국가이론의 한계
2. 신 베버주의 국가론
1) 국가이념이론,국가이익이론
2) 국가구조론
3) 지배연합이론,사회연합이론
4) 국제체제이론
3. 신 맑스주의 국가론
1) 도구주의 국가론
2) 구조주의 국가론:국가의 상대적 자율성 이론
3) 헤겔적 맑스주의 국가론
4) 국가계급 투쟁론
5) 국가도출론
6) 종속국가론
7) 신 맑스주의 국가론평가
4. 파시즘 국가이론
5. 군부통치 국가이론 :예외 국가이론과 집정관 체제이론
1) 폴란차스의 군부통치 국가이론 : 예외 국가이론
2) 노드링거의 집정과 체제 이론
6. 국가 중심적 국가이론의 한계
본문내용
그는 국가을 자체의 이념과 이익을 실현하는 자율 적인 행위자로 파악하고 국가정책도 사회집단의 이익보다는 국가 자체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형성되고 집행된다는 정책을 주장한다.
2) 국가구조론
국가구조론(state structure theory)은 피터 칸체슈타인(Peter J. Katzenstein),존자이스만(John Zysman), 존 아이켄베리(John G. lkenberry)등에 의해 주장되며,이들은 국가정채의 결정이 그 국가의 구조,j 국가가 지배세력과 맺고 있는 권력의 집중성,국가관료 제도의 집권성과 분권성등과 관련하여 이루어짐을 선진 산업국들의 사례연구을 바탕으로 주장한다그러나 국가구조의 정태성이 동태적인 정책결정과 다양한 정책산출의 시간적인 변화을 설며못한다는 것이 비판점으로 제기된다.즉.유사한 국가 구조을 지닌 동유럽 국가의 경우에 그들의 정책내용은 다르게 전개되어 있는데 이는 그들의 정치적 동태가 다르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이에 관하여서는 뒤에 더 상세히 논의한다.
3) 지배연합이론,사회연합이론
지배연합(ruling coalition) 혹은 사회연합(social coalition)이론은 피터 거버지(Peter A. Gourevitch), 데타 스카치폴(Theda Skocpol), 스테판헤가드(Stephan M. Haggard) 등의 주장하는것으로 국가을 지배하는 연합으로 파악하여 지배연합의 성격에 따라 정책을 이루어진 다는 것이다.즉,특정 사회집단이 배제되거나 다른집단이 주도적인 구성원이 됨에 따라 국가의 정책도 지배동맹 구성원의 이념적,물질적 이익과 밀접히 관련이 이루어 진다는 주장이다. 이는 다원론의 관점을 계급이론관 집합시킨 것으로 각 이익 집단 혹은 세력 집단을 분석 단위로한다. 이는 조합주의 이론과도 서로 연결되는 측면이다.이러한 이유로 인해 국가 관료제의 자율성은 매우 상대적인것으로 파악한다는 점이 자유주의 들로 부터의 비판점이다.
4) 국제체제이론
국제체제이론은 국제체제의 관점에서 국가의 의존관계을 보는 이론이다. 이는 데이비드 래이크(David Lake)나 리차드 스클라(Richard Sklar)등에 의해주장되는 것으로 국가을 국제환경과 국제관제의 제약하에 행위하는 제한적인 존재로 보는 이론이다.즉, 개발국가의 국제적인 자율성을 어느정도 제한적인 것으로 뽄다는 것으로 월러스타인의 주장과 일견유사하지만,이 이론이 국가간의 외교관계,국제관계를 세계경제체제라는 단일체제나 논리로 파악하지 않고,국제기구와 개별국가의 관계라는 자유적이적 츠면에서 파악하는 점이 그와 다르다.
이상의 신 자유주의 국가론은 막스 베버가 주장하는 국가관료제의 자율성,합리성 등을 따르므로 신 자유주의 혹은 신 베버주의 국가론으로 부른다.이들은 대체로 막스주의의 경제적 환원주의를 벗어나 현실주의자의 관점에서 경험적으로 국가의 성겨을 분석한다는 장점이 있으나,국가와 경제,국가와 사회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구조적으로 파악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다.
3. 신 맑스주의 국가론
신맑스주의 국가론(Neo-Marzist state theory: \"capitalist state\")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국가를 \"지배 계급의 도구\"로 보면서 생산관계을 중심으로 이해한다.그러나 국가의 자율성에 대하여서는 약간의 차이을 보이고 있다.
1) 도구주의 국가론
맑스 도구주의(Marxist instrumentalism)의 국가론은 랄프 밀리반드가 대표적인 학자로 국가를 <부르조아 지배계급의 이익을 대변,보호하는 수단이다.>고 본다.이는 다원론을 비판하면서 ,국가을 자본계급의 집행위원회라 규정하는 정통 맑스주의 입장을 따르는 것으로 국가의 지배계급 종속성을 강조하므로 자율성을 부인한다.이 입장은 국가의 지배계급의 도구로서 지배계급을 옹홍하게 되므로 강한 국가로 될 가능성을 낮게보고, 정책도 국가의 자율적 화동의 결과로서 보다는 지배계급의 이익의 반영으로 본다. 이에대해 폴란차스 등의 국가의 상대적 자율성을 무시한데 대해 비판하고 있다.
2) 구조주의 국가론:국가의 상대적 자율성 이론
맑스의 구조주의(Marxist structuralism)의 국가이론은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 이후 루이스 알투세르(Louis Althusser)와 니코스 폴란차스(Nicos Poulantzas)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이는 도구주의가 지나치게 국가을 지배계급의 수단이라고 단순화 시킴을 비판한다.이들은 자본주의 국가가 자본주의의 자체가 지니는 성격긴 자본 축적과 서비스,자본배분등
2) 국가구조론
국가구조론(state structure theory)은 피터 칸체슈타인(Peter J. Katzenstein),존자이스만(John Zysman), 존 아이켄베리(John G. lkenberry)등에 의해 주장되며,이들은 국가정채의 결정이 그 국가의 구조,j 국가가 지배세력과 맺고 있는 권력의 집중성,국가관료 제도의 집권성과 분권성등과 관련하여 이루어짐을 선진 산업국들의 사례연구을 바탕으로 주장한다그러나 국가구조의 정태성이 동태적인 정책결정과 다양한 정책산출의 시간적인 변화을 설며못한다는 것이 비판점으로 제기된다.즉.유사한 국가 구조을 지닌 동유럽 국가의 경우에 그들의 정책내용은 다르게 전개되어 있는데 이는 그들의 정치적 동태가 다르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이에 관하여서는 뒤에 더 상세히 논의한다.
3) 지배연합이론,사회연합이론
지배연합(ruling coalition) 혹은 사회연합(social coalition)이론은 피터 거버지(Peter A. Gourevitch), 데타 스카치폴(Theda Skocpol), 스테판헤가드(Stephan M. Haggard) 등의 주장하는것으로 국가을 지배하는 연합으로 파악하여 지배연합의 성격에 따라 정책을 이루어진 다는 것이다.즉,특정 사회집단이 배제되거나 다른집단이 주도적인 구성원이 됨에 따라 국가의 정책도 지배동맹 구성원의 이념적,물질적 이익과 밀접히 관련이 이루어 진다는 주장이다. 이는 다원론의 관점을 계급이론관 집합시킨 것으로 각 이익 집단 혹은 세력 집단을 분석 단위로한다. 이는 조합주의 이론과도 서로 연결되는 측면이다.이러한 이유로 인해 국가 관료제의 자율성은 매우 상대적인것으로 파악한다는 점이 자유주의 들로 부터의 비판점이다.
4) 국제체제이론
국제체제이론은 국제체제의 관점에서 국가의 의존관계을 보는 이론이다. 이는 데이비드 래이크(David Lake)나 리차드 스클라(Richard Sklar)등에 의해주장되는 것으로 국가을 국제환경과 국제관제의 제약하에 행위하는 제한적인 존재로 보는 이론이다.즉, 개발국가의 국제적인 자율성을 어느정도 제한적인 것으로 뽄다는 것으로 월러스타인의 주장과 일견유사하지만,이 이론이 국가간의 외교관계,국제관계를 세계경제체제라는 단일체제나 논리로 파악하지 않고,국제기구와 개별국가의 관계라는 자유적이적 츠면에서 파악하는 점이 그와 다르다.
이상의 신 자유주의 국가론은 막스 베버가 주장하는 국가관료제의 자율성,합리성 등을 따르므로 신 자유주의 혹은 신 베버주의 국가론으로 부른다.이들은 대체로 막스주의의 경제적 환원주의를 벗어나 현실주의자의 관점에서 경험적으로 국가의 성겨을 분석한다는 장점이 있으나,국가와 경제,국가와 사회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구조적으로 파악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다.
3. 신 맑스주의 국가론
신맑스주의 국가론(Neo-Marzist state theory: \"capitalist state\")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국가를 \"지배 계급의 도구\"로 보면서 생산관계을 중심으로 이해한다.그러나 국가의 자율성에 대하여서는 약간의 차이을 보이고 있다.
1) 도구주의 국가론
맑스 도구주의(Marxist instrumentalism)의 국가론은 랄프 밀리반드가 대표적인 학자로 국가를 <부르조아 지배계급의 이익을 대변,보호하는 수단이다.>고 본다.이는 다원론을 비판하면서 ,국가을 자본계급의 집행위원회라 규정하는 정통 맑스주의 입장을 따르는 것으로 국가의 지배계급 종속성을 강조하므로 자율성을 부인한다.이 입장은 국가의 지배계급의 도구로서 지배계급을 옹홍하게 되므로 강한 국가로 될 가능성을 낮게보고, 정책도 국가의 자율적 화동의 결과로서 보다는 지배계급의 이익의 반영으로 본다. 이에대해 폴란차스 등의 국가의 상대적 자율성을 무시한데 대해 비판하고 있다.
2) 구조주의 국가론:국가의 상대적 자율성 이론
맑스의 구조주의(Marxist structuralism)의 국가이론은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 이후 루이스 알투세르(Louis Althusser)와 니코스 폴란차스(Nicos Poulantzas)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이는 도구주의가 지나치게 국가을 지배계급의 수단이라고 단순화 시킴을 비판한다.이들은 자본주의 국가가 자본주의의 자체가 지니는 성격긴 자본 축적과 서비스,자본배분등
추천자료
수용미학(受容美學, Rezeptions&auml;sthetik)의 발단과 주요이론 및 한계점
인간 중심적 상담 이론에 대한 이해 상담자의 태도 및 상담기법등 모든 것
상담이론 -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 중심적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 인지중심 상담...
[경제학파][경제학이론][경제학] 케임브리지학파(경제학파), 케인즈학파(경제학파), 중상주의...
사회복지정책 관련 이론과 사상관련기본법
정신분석이론의 대표적인 두 학자의 이론 Freud의 심리성적이론과 erikson의 심리사회이론을 ...
아동의 인지발달과정을 설명한 피아제(Piaget)의 이론을 정리하여 소개하고 Piaget이론의 의...
간호이론3공통)카커프의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1)대인관계이론의 개념 정리 2)만성환자 상담주...
[국어교육]구어 문법의 개념과 언어 교육적 의의(비판적 담화분석, 실세계 중심적 수행 중심...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적 상담 이론
자본주의에 관한 성찰, 시장의 조절기능 vs 시장의 한계 - 국가의 역할과 관련해서-
콜버그 : 콜버그의 도덕성발달단계의 특징 ;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의 내용과 한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