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감상문] (D-13) 서틴데이즈(Thirteen days)를 보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감상문] (D-13) 서틴데이즈(Thirteen days)를 보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여는 글 - 대재앙의 불씨
(1) 제3차 세계대전 정도가 아닌 대재앙의 불씨
(2)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3) 정답은 없다. 그러나 지켜야할 가치가 있다.
2. 급박했던 위기의 순간
(1) 침공이냐 봉쇄냐
(2) 교전은 곧 전쟁
(3) 외교전
(4) 침공이냐 협상이냐
3. 각 나라의 이해관계
(1) 안보를 지키려한 미국
(2) 자주 국방을 실현하고자한 쿠바
(3) 미국을 견제하고자 한 소련
(4) 더 이상의 전쟁을 원하지 않는 세계
4. 닫는 글 - 세계평화를 위하여
(1) 전쟁 억제 효과와 파멸의 힘을 동시에 지닌 핵무기
(2) 정치의 중요성
(3) 소통의 세계 평화의 세계
(4) 전쟁을 부추기는 영화가 아닌 평화를 지키는 방법을 알려주는 영화

본문내용

싸우지 않고 원하는 바를 이루는 것’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정치이다. 이 영화를 통해 정치가 얼마나 중요하고 올바른 정치가가 왜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를 뼈저리게 느꼈다. 도덕성의 시험장에서 수장의 도덕성이 미흡하다면 국민들의 의사와 바람과는 상관없는 결과가 생길 것이다. 왜 도덕적인 사람이 대통령이 되어야하는지 그를 보좌하는 사람들은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지 알 수 있었다.
(3) 소통의 세계 평화의 세계
미국이 소련과 마지막까지 대화를 하려고 노력했다. 즉 협상을 하자는 것이다. 꼬마가 칼을 가지고 놀지 못하게 형이 감시만 해준다면 꼬마를 절대 괴롭히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것이다. 둘 다 한 발자국씩 물러나는 것이다. 설거지를 같이 하는 것이다. 이는 서로 소통할 때 비로소 가능하게 된다. 소통 없이 배짱만 부리다가는 시기를 놓치고 만다.
(4) 전쟁을 부추기는 영화가 아닌 평화를 지키는 방법을 알려주는 영화
핵전쟁의 위험성을 알 수 있었고 또 정치의 중요성, 도덕적인 정치가의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 더불어 국제관계에 있어서 소통의 중요성도 알 수 있었다. 마치 사람과 사람의 인간관계와 같이 국제관계 또한 비슷했다. 서로 총을 겨누지 않고 주먹이 아닌 말로 해결하고 또 지켜야할 최소한의 가치(평화)를 서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모든 것들은 바로 평화를 위한 초석이 되는 내용들이다. 시원한 액션과 전쟁을 위대한 행위처럼 표현한 영화들과는 다르게 전쟁을 하기 전에는 얼마나 신중해야하고 전쟁을 하지 않을 수 있다면 전쟁을 하지 않는 것이 진정한 승리임을 보여준 영화이다.
감사합니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4.20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13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