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볼의 역사 경기방법과 규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 핸드볼의 역사 1
1. 한국의 핸드볼 1

Ⅱ. 경기장 규격 및 시설 2
1. 경기장 2
2. 볼 3

Ⅲ. 경기방법 3
1. 선수 3
2. 경기시간 3
3. 타임아웃(작전타임) 4

Ⅳ. 경기규칙 4
1. 득점 4
2. 드로오프 4
3. 드로인 5
4. 프리 드로우 5
5. 아웃된 공의 처리 6
6. 반칙과 비신사적행위 7
7. 골키퍼의 행위 7
8. 패시브플레이 8


※ 참고 문헌 9

본문내용

라인을 밟거나 넘어서선 안된다.(골에 맞기 전에 드로어나 같은 팀 선수가 다시 볼을 잡아서는 안된다.)
- 7m드로가 시행되는 동안 상대팀 선수들은 프리드로라인 바깥쪽에 있어야 하며, 7m라인에서 3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골키퍼는 제한라인을 넘는 경우 득점이 되지 않았다면 7m드로를 다시 시행하지만 골키퍼에 대한 개인 처벌은 없다.
- 직접 슛하여야 하며 튀어나온 공은 인플레이가 된다.
2) 9M 드로우가 주어지는 경우
- 방어자가 방어목적이 아닌 우연히 골에어리어 안으로 들어갈 때.
- 9M 라인 안에서 일어나는 방어측의 반칙.
5. 아웃된 공의 처리
골키퍼에 터치되거나, 공격선수의 몸에 맞고 엔드라인 아웃 되었을 경우는 골 드로우가 되며, 골키퍼가 아닌 방어 선수에 맞고 나간 경우는 코오너 드로우가 된다. (코너 드로우는 코너라인을 밟고 드로우하며 직접 슛을 하여도 무방하다)
6. 반칙과 비신사적행위
1) 다음 행위는 허용된다.
- 두 팔과 손을 이용해 볼을 잡는 것을 막거나 볼을 잡는 행위
- 어느 방향에서든 상대팀 선수에게 볼을 뺏기지 않고 다루기 위해 한 손 주먹을 펴고 플레이를 하는 행위
- 상대팀 선수가 볼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몸으로 상대 선수를 막는 행위
- 상대팀 선수와 마주한 위치에서 두 팔을 구부린 채 상대 선수와 신체접촉을 하고, 그 선수를 따라 다니며 수비하기 위해 이러한 신체접촉을 유지하는 행위
2) 다음 행위는 허용되지 않는다.
- 상대팀 선수의 손에서 볼을 끌어내거나 쳐내는 행위
- 두 팔이나 손, 다리로 상대 선수를 막거나 밀어내는 행위
- 상대 선수를 저지하거나, 잡거나(몸이나 유니폼), 밀거나 상대 선수에게 달려드는 행위
- 볼의 소유 여부에 관계없이 상대 선수를 위험에 빠뜨리는 행위
7. 골키퍼의 행위
골키퍼에게는 다음 행위가 허용된다.
- 골에리어 내에서 수비를 하면서 신체 일부분으로 볼을 접촉하는 행위
- 골에리어 내에서 볼을 갖고 자유로이 움직이는 행위,하지만 골드로의 집행을 지연하여서는 안된다.
- 볼을 갖지 않은 채 골에리어를 떠나 경기에 참여하는 경우, 이때 골키퍼는 경기장에서 경기에 임하는 선수들에게 해당되는 규칙의 적용을 받는다.
-볼을 컨트롤 하지 못해 볼을 가진 채 골에리어를 떠나 경기장에서 다시 볼을 처리하는 경우
골키퍼에게는 다음 행위가 금지된다.
- 수비 행위 중 상대 선수에게 위험을 주는 행위
- 볼을 잡은 채 골에리어를 떠나는 행위; 이는 레프리가 골드로 시행 휘슬을 했다면 프리드로가 된다. 반대의 경우에는 단순히 골드로가 재 시행된다.
- 골에리어 내에 있으면서 골에리어 밖 경기장에 정지해 있거나 바닥에 굴러가는 볼에 닿는 경우
- 골에리어 밖 경기장에 정지해 있거나 바닥에 굴러가는 볼을 골에리어 안으로 가져 오는 경우
- 볼을 가지고 경기장으로부터 골에리어에 다시 들어오는 경우
- 볼이 골에리어 내에서 정지해 있거나 경기장 쪽으로 움직일 때 발이나 무릎 아래 부분의 다리에 볼이 닿는 경우
- 7m드로를 집행하는 상대편의 손에서 볼이 떠나기 전에 골키퍼 제한 라인이나 그 양쪽의 돌출 부분을 넘는 경우 골키퍼의 한쪽 발이 제한선을 밟고 있거나 제한선 뒤에 있는 이상 다른 발이나 신체의 어느 부분이라도 4m 라인 밖의 공중에 있을 수 있다.
8. 패시브플레이
패시브플레이의 규칙 적용은 공격적이지 않은 경기진행과 경기의 고의적인 지연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레프리가 경기를 일관되게 경기의 소극성을 판단하여야 한다. 경기의 소극적 방법은 팀의 공격 시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다.
- 경기 막판에 근소한 차이로 앞서고 있을 때
- 선수가 2분퇴장 시
- 상대팀의 수비가 뛰어날 때 사전 경고 신호의 활용
- 볼을 가진 팀이 공격이나 득점을 위해 별다른 시도를 하지 않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드로오프, 프리드로, 드로인이나 골키퍼드로의 시행을 반복해서 지연하는 것도 허용되지 않는다. 이는 패시브플레이로 간주되어 상대팀에게 프리드로가 주어진다.
※ 참고 문헌
- 박천조. 핸드볼(성공을 위한 단계별 학습)Team handball : steps to success. 대한미디어. 2005.05.02.
- 문성철. 핸드볼(중등학교 체육수업 지도서) 인하대학교출판부. 1997.
- 박종갑. 최신 핸드볼. 세진사. 1993.09.01
- 대한핸드볼협회 http://handball.sports.or.kr/
- 한국 중고등학교 핸드볼 연맹 http://www.kmhhf.com/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4.21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1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