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존 밀턴 아레오파지티카의 배경
Ⅱ. 존 밀턴 아레오파지티카의 목적
Ⅲ. 존 밀턴 아레오파지티카의 주장
Ⅳ. 존 밀턴 아레오파지티카의 의의
Ⅴ. 존 밀턴과 밀의 언론 자유사상 비교 - 아레오파지티카와 자유론을 중심으로
1. 진리관
2. 인간관
3. 자유관
4. 정치관
5. 언론관
참고문헌
Ⅱ. 존 밀턴 아레오파지티카의 목적
Ⅲ. 존 밀턴 아레오파지티카의 주장
Ⅳ. 존 밀턴 아레오파지티카의 의의
Ⅴ. 존 밀턴과 밀의 언론 자유사상 비교 - 아레오파지티카와 자유론을 중심으로
1. 진리관
2. 인간관
3. 자유관
4. 정치관
5. 언론관
참고문헌
본문내용
검열제가 도입된 것은 전적으로 카톨릭의 영향에 의한 것이며, 잉글랜드의 역사에는 그러한 전통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물론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밀턴은 왜 검열제의 역사에 대해 사실과 맞지 않는 자의적인 설명을 했는가? 그것은 검열제의 원조인 카톨릭의 전제적 전통과 종교개혁의 선도자인 잉글랜드의 자유의 전통을 양극적으로 대비시킴으로써, 장로파가 어느 편에 서 있는가를 분명히 하기 위한 수사적 전략에 기인한 것이었다. 천년왕국 사상의 양극화된 패러다임은 밀턴의 아레오파기티카에서 검열제를 악으로, 표현의 자유를 선으로 간주하는 이원적 대립 관계로 구체화되었던 것이다.
밀턴이 볼 때 웨스트민스터 종교회의의 장로파는 “예수회의 영향을 받은 나머지” 종교개혁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검열을 요구하면서 정작 “그들이 금하는 것이 다름 아닌 진리 그 자체라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고” 있었다. 밀턴은 장로파의 행동에서 “로마의 부패를 능가”한 “전제와 미신”을 보았던 것이다. 밀턴은 종교개혁을 진리의 진보를 위한 탐색의 과정으로 파악하는 가운데 표현의 자유를 주장했다. 그것은 칼뱅에 의해 성경의 모든 진리가 단번에 드러났으며 따라서 더 이상의 부연이 필요치 않다고 본 웨스트민스터 종교회의 장로파의 관점과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입장이었다.
그러므로 밀턴은 아레오파기티카에서 의원들에게 종교개혁 완성의 사명감을 고취시키는 한편, 의회와 웨스트민스터 종교회의의 장로파 성직자 사이를 분열시키고자 하는 수사적 전략을 구사했다. 밀턴은 의원들에게 검열제가 잉글랜드의 전통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으며 신의 선민인 잉글랜드인이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사명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종교개혁의 과정을 결코 중단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역설하면서 출판허가법의 철회를 촉구했다. 밀턴은 진리의 진보를 위해서는 종교 문제와 성경 해석에 관한 자유로운 의견 개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거듭하여 주장했다. 그러므로 밀턴이 아레오파기티카에서 말한 “양심에 따라 자유롭게 말하고 주장할 수 있는 자유”란 자신이 옳다고 믿는 종교 교리를 택할 수 있는 양심의 자유, 자신의 신앙에 관해 자유롭게 주장할 수 있는 언론의 자유, 그리고 그것을 출판물을 통해 펴낼 수 있는 출판의 자유를 의미했고, 그 자유의 목적인 종교개혁의 완성에 있었다.
Ⅴ. 존 밀턴과 밀의 언론 자유사상 비교 - 아레오파지티카와 자유론을 중심으로
1. 진리관
(1) 밀턴 : 진리는 명백히 증명 가능한 것이며 사상의 공래 시장에서 반드시 생존할 수 있는 독특한 힘을 가진다.
(2) 밀 : 진리는 예상되는 모든 오류로부터 보호받음으로써 존재의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종류의 상이한 견해에 부딪힐 때 좀 더 참된 의미인 진리에 다가선다.
2. 인간관
(1) 밀턴 : 이성을 가진 합리적 존재
(2) 밀 : 이성을 가진 합ㄹl적 존재이며 자주성이 강한 존재
3. 자유관
(1) 밀턴 : 절대적 자유추구, 神으로 부터의 자유
(2) 밀 : 상대적 자유추구,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범위내에서의 사회적 가치와 연관된 자유
4. 정치관
(1) 밀턴 : 공화제
(2) 밀 : 대의 민주제
5. 언론관
(1) 밀턴 : 언론은 진리의 추구수단(자유주의 언론관)
(2) 밀 : 언론은 여론을 주도하여 최대다수의 최대 행복 추구(공리주의적 언론관)
참고문헌
밀턴 J.저, 임상원 역 - 아레오파지티카, 나남, 1998
박지향 - 영국사, 까치글방, 1997
이종우 - 밀턴의 아레오파지티카, 사회비평, 제16호, pp. 277∼301, 1996
조신권 - 존 밀턴의 문학과 사상, 도서출판 동인, 2002
진원숙 - 손에 잡히는 서양사 이야기, 새론서원, 1999
밀턴이 볼 때 웨스트민스터 종교회의의 장로파는 “예수회의 영향을 받은 나머지” 종교개혁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검열을 요구하면서 정작 “그들이 금하는 것이 다름 아닌 진리 그 자체라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고” 있었다. 밀턴은 장로파의 행동에서 “로마의 부패를 능가”한 “전제와 미신”을 보았던 것이다. 밀턴은 종교개혁을 진리의 진보를 위한 탐색의 과정으로 파악하는 가운데 표현의 자유를 주장했다. 그것은 칼뱅에 의해 성경의 모든 진리가 단번에 드러났으며 따라서 더 이상의 부연이 필요치 않다고 본 웨스트민스터 종교회의 장로파의 관점과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입장이었다.
그러므로 밀턴은 아레오파기티카에서 의원들에게 종교개혁 완성의 사명감을 고취시키는 한편, 의회와 웨스트민스터 종교회의의 장로파 성직자 사이를 분열시키고자 하는 수사적 전략을 구사했다. 밀턴은 의원들에게 검열제가 잉글랜드의 전통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으며 신의 선민인 잉글랜드인이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사명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종교개혁의 과정을 결코 중단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역설하면서 출판허가법의 철회를 촉구했다. 밀턴은 진리의 진보를 위해서는 종교 문제와 성경 해석에 관한 자유로운 의견 개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거듭하여 주장했다. 그러므로 밀턴이 아레오파기티카에서 말한 “양심에 따라 자유롭게 말하고 주장할 수 있는 자유”란 자신이 옳다고 믿는 종교 교리를 택할 수 있는 양심의 자유, 자신의 신앙에 관해 자유롭게 주장할 수 있는 언론의 자유, 그리고 그것을 출판물을 통해 펴낼 수 있는 출판의 자유를 의미했고, 그 자유의 목적인 종교개혁의 완성에 있었다.
Ⅴ. 존 밀턴과 밀의 언론 자유사상 비교 - 아레오파지티카와 자유론을 중심으로
1. 진리관
(1) 밀턴 : 진리는 명백히 증명 가능한 것이며 사상의 공래 시장에서 반드시 생존할 수 있는 독특한 힘을 가진다.
(2) 밀 : 진리는 예상되는 모든 오류로부터 보호받음으로써 존재의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종류의 상이한 견해에 부딪힐 때 좀 더 참된 의미인 진리에 다가선다.
2. 인간관
(1) 밀턴 : 이성을 가진 합리적 존재
(2) 밀 : 이성을 가진 합ㄹl적 존재이며 자주성이 강한 존재
3. 자유관
(1) 밀턴 : 절대적 자유추구, 神으로 부터의 자유
(2) 밀 : 상대적 자유추구,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범위내에서의 사회적 가치와 연관된 자유
4. 정치관
(1) 밀턴 : 공화제
(2) 밀 : 대의 민주제
5. 언론관
(1) 밀턴 : 언론은 진리의 추구수단(자유주의 언론관)
(2) 밀 : 언론은 여론을 주도하여 최대다수의 최대 행복 추구(공리주의적 언론관)
참고문헌
밀턴 J.저, 임상원 역 - 아레오파지티카, 나남, 1998
박지향 - 영국사, 까치글방, 1997
이종우 - 밀턴의 아레오파지티카, 사회비평, 제16호, pp. 277∼301, 1996
조신권 - 존 밀턴의 문학과 사상, 도서출판 동인, 2002
진원숙 - 손에 잡히는 서양사 이야기, 새론서원,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