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r 전류가 줄면서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와 같은 강한 피드백에 의해 (Q1 = off, Q2 = on) 상태로 가게 된다. 이 상태는 C2가 충전되면서 T2 0.69 RB1C2 후에 다시 원래의 안정 상태로 돌아가서 다음 음의 펄스가 들어올 때까지 그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림 3에서는 구형파를 vio로 입력한 다음, R2C3 미분회로로 미분하여 spike 형태의 펄스를 얻은 후 다이오우드로 음의 펄스만을 골라 vi로 Q1의 base에 입력하고 있다. 따라서, 음의 펄스 사이의 간격은 구형파의 주기가 된다. 그림 4는 Q1 base의 입력 파형과 그에 따른 Q1과 Q2의 collector 전압 파형을 보여준다.
그림 4.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의 외부 입력 파형과 collector 출력 파형
그림 4.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의 외부 입력 파형과 collector 출력 파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