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목차
1장 13억의 중국, 변화의 속도
1.개혁 개방 후의 고속 성장
2.경제 발전 속도에 관한 이론
3.세계 3위, 아직 제3세계
2장 5천년의 중국, 문화의 힘
1.문화 자원의 중요성
2.중국과 미국의 문화 비교
3.중국과 일본의 문화 비교
4.일본 기업 문화 참관기
5.중국 문화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명
6.행정 구역 문화와 사회 경제
3장 자연 자원의 영향과 가치관
1.자연 자원의 특성과 분류
2.자연 자원의 영향
3.자연 지대성의 영향
4.자연 자원 평가의 기본 관점
5.자연 자원의사회성과 가치관
4장 지역 개발의 역사와 7개 경제 구역
1.지역 개발의 역사
2.개혁 개방 전후의 지역 경제의 변화
3.거리 체감의법칙: 경제 공간의 변화
4.공간 활동과 관련된 부분 경제학 이론
5.공간 활동과 관련된 부분 지리학 이론
6.7개 경제 구역
5장 남북의 차이와 남북 응집
1.남북 자연의 차이
2.남북 사람들의 체형과 성격의 차이
3.남북 언어와 문화 예술의 차이
4.남북 음식의 차이
5.남북 정원과 건축의 차이
6.정치 중심은 왜 북방에 위치하는가
7.장원 분포의 지역 차이
8.인재 분포의 지역 차이
9.남북 응집
6장 동서 차이와 빈곤 지역
1.자연 환경의 동서 대비
2.사회 환경의 동서 대비
3.중서부 지역의 우위와 개발
4.빈곤 지역의 형성
5.빈곤 지역 개발의 주요 유형
6.중서부 지역 발전과 빈곤 부양에 대한 동부 지역의 공헌
7.산악 지역 발전의 단계성
7장 도시 발전의 법칙과 관점
1.도시 사회 진보의 지표
2.대 중 소도시의 협조: 도시 체계 발전 법칙
3.현대 도시 발전의 기본 추세
4.산수 도시: 중국 문화 전통을 살리는 도서관
5.문화 유산 계승과 관련된 두 가지 관점
6.지리적 위치의 역사적 변천이 도시에 미치는 영향
7.광업 도시 발전의 법칙성
8장 중국의 주요 도시
1.베이징 발전의 거시적 분석
2.홍콩: 국제 경제 중심의 회고와 발전
3.마카오의 변화
4.선전의 특징과 기능
9장 인구 이전, 도시 발전의 새로운 동력
1.인구 이전의 법칙성
2.베이징의 저장촌
3.베이징의 신장촌
10장 지속 가능한 발전의 문제
1.지속 가능한 발전의 개념
2.지속 가능한 발전의 전제: 정치 안정과 공정 정치
3.지속 가능한 발전의 기초: 문화 교육의 진흥
4.지속 가능한 발전의 핵심: 자원과 환경의 보호
5.지속 가능한 발전의 동력: 외자 유입
6.동아시아 금융 위기와 중국
7.타이완 경제 발전의 시사점
1.개혁 개방 후의 고속 성장
2.경제 발전 속도에 관한 이론
3.세계 3위, 아직 제3세계
2장 5천년의 중국, 문화의 힘
1.문화 자원의 중요성
2.중국과 미국의 문화 비교
3.중국과 일본의 문화 비교
4.일본 기업 문화 참관기
5.중국 문화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명
6.행정 구역 문화와 사회 경제
3장 자연 자원의 영향과 가치관
1.자연 자원의 특성과 분류
2.자연 자원의 영향
3.자연 지대성의 영향
4.자연 자원 평가의 기본 관점
5.자연 자원의사회성과 가치관
4장 지역 개발의 역사와 7개 경제 구역
1.지역 개발의 역사
2.개혁 개방 전후의 지역 경제의 변화
3.거리 체감의법칙: 경제 공간의 변화
4.공간 활동과 관련된 부분 경제학 이론
5.공간 활동과 관련된 부분 지리학 이론
6.7개 경제 구역
5장 남북의 차이와 남북 응집
1.남북 자연의 차이
2.남북 사람들의 체형과 성격의 차이
3.남북 언어와 문화 예술의 차이
4.남북 음식의 차이
5.남북 정원과 건축의 차이
6.정치 중심은 왜 북방에 위치하는가
7.장원 분포의 지역 차이
8.인재 분포의 지역 차이
9.남북 응집
6장 동서 차이와 빈곤 지역
1.자연 환경의 동서 대비
2.사회 환경의 동서 대비
3.중서부 지역의 우위와 개발
4.빈곤 지역의 형성
5.빈곤 지역 개발의 주요 유형
6.중서부 지역 발전과 빈곤 부양에 대한 동부 지역의 공헌
7.산악 지역 발전의 단계성
7장 도시 발전의 법칙과 관점
1.도시 사회 진보의 지표
2.대 중 소도시의 협조: 도시 체계 발전 법칙
3.현대 도시 발전의 기본 추세
4.산수 도시: 중국 문화 전통을 살리는 도서관
5.문화 유산 계승과 관련된 두 가지 관점
6.지리적 위치의 역사적 변천이 도시에 미치는 영향
7.광업 도시 발전의 법칙성
8장 중국의 주요 도시
1.베이징 발전의 거시적 분석
2.홍콩: 국제 경제 중심의 회고와 발전
3.마카오의 변화
4.선전의 특징과 기능
9장 인구 이전, 도시 발전의 새로운 동력
1.인구 이전의 법칙성
2.베이징의 저장촌
3.베이징의 신장촌
10장 지속 가능한 발전의 문제
1.지속 가능한 발전의 개념
2.지속 가능한 발전의 전제: 정치 안정과 공정 정치
3.지속 가능한 발전의 기초: 문화 교육의 진흥
4.지속 가능한 발전의 핵심: 자원과 환경의 보호
5.지속 가능한 발전의 동력: 외자 유입
6.동아시아 금융 위기와 중국
7.타이완 경제 발전의 시사점
본문내용
양을 제공한다. 인재의 배출은 또한 경제의 지속적인 번영을 추동한다. 1997년 중국 동부 지역이 중국 국민총생산의 57.9%를 차지하였고, 중국의 인구 비중과 대비하면 15.6%가 더 높아진다. 이렇게 된 원인 가운데 하나는 인재가 우수하다는것이다. 특히 집체 기업(집단 소유 기업)과 외자 기업은 모두 인재와 관련이 있는데, 집체 기업이 가장 발달한 장쑤성, 저장성, 산둥성의 지식계의 대표적인 교수의 본적지 분포도와 집체 기업의 분포도는 놀랄 만큼 일치한다. 그들 간의 지리적 연계율은 89.9%에 달한다. 이는 인재의 우세함이 경제의 우세함으로 전화되는 것을 설명해 준다.
2. 인재 분포의 특징
화동 지역장쑤성, 저장성, 상하이환발해 지역
베이징, 텐진, 허베이성, 산둥성, 라오닝성
화남 지역
푸젠성, 광둥성, 광시성, 하이나성
화중 지역
후난성, 후베이성, 장시성, 안후이성
중북부 지역
허난성, 산시성, 네이멍구 자치구, 지린성, 헤이룽장
서남 지역
쓰촨성, 구이저우성, 윈난성, 시짱 자치구, 충칭
서북 지역
산시성, 간쑤성, 칭하이성, 닝샤 자치구, 신장 자치구
가. 인재는 동쪽에 많고 서쪽에 적다 : 1987년 전국 일반 대학 교수 가운데, 화동 지역, 환발해 지역, 화남 지역, 화중 지역의 동부 지구 출신이 64.3%를 차지하였다. 1955년 중국과학원을 졸업한 연구원은 동부 지구가 74.8%를 차지하였다.
나. 인재가 남쪽에 많고 북쪽에 적다 : 화동 지역, 화남 지역, 화중 지역, 서남 지역의 남부 지구본적인 교수는 69.1%이며 중국과학원 출신 연구원은 84.2%였다.
다. 인재가 저장성 일대에 가장 밀집되어 있다.- 장쑤성, 저장성, 상하이 지역은 인재의 밀집도가 전국 평균치의 세 배 이상이다.
2. 인재 이동의 사회적 의미
인재의 대규모 이동은 사회 발전을 추동하는 경제 요인이다.
가. 현대화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가 밀집되어 있는 대도시는 확산 작용을 일으킨다. 대도시의 인재는 전국 각지의 지원을 필요로 한다. 베이징, 상하이, 텐진의 3개 직할시를 예로 들자면, 보통 고등 교육 학교의 교수 가운데 90% 이상이 외지출신이다.
나. 인재의 균형적 분포의 촉진은 경제 균형화를 가속시킨다. 중국의 북방에서 일하는 교수는 전국의 50%로 남방과 같은 비율이다. 그들 대부분은 남방에서 왔다.
다. 전문직 인재의 과잉과 부족을 조정한다. 모든 지역마다 각계 분야의 인재를 배양해 낼 수는 없기 때문에, 희소한 분야는 소수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배양해 낼 수 밖에 없다. 이 역시 인재 지역 조정의 필연성을 가중시킨다.
<9> 남북 응집
중국이 하나의 통일된 정치 실체로서 동방에서 우뚝 서게 된 것은, 자연, 역사, 사회 등의 다방면의 원인으로 인해 조성된 것이다. 중국 남북의 차이는 매우 크지만. 남북의 응집의 역량은 더욱 컸다.
1. 자연 환경의 응집성
양쯔강, 황허강, 주장강 등이 모두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 중하류에 이르면 서로 운하를 통해서 연결되기 때문에 치수 사업에 유리하다.
2. 문화의 응집성
공자를 대표로 하는 유가 사상의 전국적인 전파, 하나의 문자, 같은 역사 전통을 가지고 있어, 유럽에서 거의 각 나라마다 자신의 문자와 문화를 형성하였던 것과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3. 군사, 정치의 응집성
중원 사람들은 농경을 생업으로 삼고 강한 고향 관념과 영토 관념을 지니고 있어, 장성을 경계로 하여 농경 영역을 보호해 줄 통일된 정부를 필요로 하였다. 그리고 주변 민족이 중원에 들어오게 되면, 응집을 통해 다민족이라는 대가정을 이루게 되었다.
6장. 동서 차이와 빈곤 지역
동서 지역의 빈부 차이는 현재 중국의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1> 자연 환경의 동서 대비
1. 기후 :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강수량은 동남 지역에서 서북쪽으로 갈수록 줄어들어, 서북 내륙 지역은 가물고 비가 적게 온다.
2. 지형 : 중국의 지형은 서고동저형으로 서부 고원에서 발원한 하천들이 동부에 편편한 지대를 형성하여 경작에 유리하고 비옥한 환경을 조성한다.
3. 해안 : 동부 지역은 바다를 향하고 있어 해양 운수에 유리하다. 1997년 중국 연해지역 항구의 화물물동량은 9억 톤이었다.
<2> 사회 환경의 동서 대비
1. 교통 불편, 정보 단절, 사회 발전의 지체 : 높은 산과 가파른 비탈길로 인해 산악 지대에 현대적 교통 노선을 건설하는 것은 평원지대에 비해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교통의 불편은 산악 지구의 자원 탐사에도 장애가 된다. 중국 서부 지역의 면적은 전 국토의 56.2%를 차지한다. 그에 반해 이 지역에서 탐사된 45종의 주요 광산의 잠재 가치는 전국 12조 달러의 21.2%에 불과하다.
=산악 지역, 구릉 지역, 평원 지역의 지역 경제지표 비교(1987)
지표
산악 지역
구릉 지역
평원 지역
현급 단위의 수(개)
936
625
797
향촌 인구(1만 명)
24716
26790
33541
경작지(아르/명)
1.38
1.66
1.87
식량 생산량(kg/명)
356
473
556
면화 생산량(kg/명)
0.4
1.8
10.6
기름 생산량(kg/명)
13.5
17.4
21.3
육류 생산량(kg/명)
23.3
26.0
21.0
농촌 총생산(위안/명)
729
1024
1478
사회의 농산물 구매(위안/명)
148
211
283
2. 교육과 문화 지체 : 교통과 문화의 단절, 경제 및 생산의 낙후 등은 교육과 문화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중국의 비교적 발달한 지역(베이징, 상하이 등)의 15세 이상의 문맹률은 10% 정도인 반면, 낙후한 지역(간쑤성, 구이저우성 등)의 문맹률은 30%를 상회한다.
3. 역사적 배경과 순차적 개방의 영향
역사상 중국의 문화, 경제, 정치 중심은 모두 동쪽으로 이동하는 추세이다. 1842년 아편전쟁으로 중국은 연해 지역에서부터 개방을 추진했고, 1978년의 개혁 개방 역시 연해 지역에서 내륙 쪽으로 이동하는 형식이다.
<3> 중서부 지역의 우위와 개발
1. 중서부 지역의 상대적 우위
중서부 지역이 우세한 점은 두 가지이다.
가. 자원의 우위 : 중서부 지역의 광활한 면적에는 중국 자연 자원 총량의 상당 부분이 보유되어 이
2. 인재 분포의 특징
화동 지역장쑤성, 저장성, 상하이환발해 지역
베이징, 텐진, 허베이성, 산둥성, 라오닝성
화남 지역
푸젠성, 광둥성, 광시성, 하이나성
화중 지역
후난성, 후베이성, 장시성, 안후이성
중북부 지역
허난성, 산시성, 네이멍구 자치구, 지린성, 헤이룽장
서남 지역
쓰촨성, 구이저우성, 윈난성, 시짱 자치구, 충칭
서북 지역
산시성, 간쑤성, 칭하이성, 닝샤 자치구, 신장 자치구
가. 인재는 동쪽에 많고 서쪽에 적다 : 1987년 전국 일반 대학 교수 가운데, 화동 지역, 환발해 지역, 화남 지역, 화중 지역의 동부 지구 출신이 64.3%를 차지하였다. 1955년 중국과학원을 졸업한 연구원은 동부 지구가 74.8%를 차지하였다.
나. 인재가 남쪽에 많고 북쪽에 적다 : 화동 지역, 화남 지역, 화중 지역, 서남 지역의 남부 지구본적인 교수는 69.1%이며 중국과학원 출신 연구원은 84.2%였다.
다. 인재가 저장성 일대에 가장 밀집되어 있다.- 장쑤성, 저장성, 상하이 지역은 인재의 밀집도가 전국 평균치의 세 배 이상이다.
2. 인재 이동의 사회적 의미
인재의 대규모 이동은 사회 발전을 추동하는 경제 요인이다.
가. 현대화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가 밀집되어 있는 대도시는 확산 작용을 일으킨다. 대도시의 인재는 전국 각지의 지원을 필요로 한다. 베이징, 상하이, 텐진의 3개 직할시를 예로 들자면, 보통 고등 교육 학교의 교수 가운데 90% 이상이 외지출신이다.
나. 인재의 균형적 분포의 촉진은 경제 균형화를 가속시킨다. 중국의 북방에서 일하는 교수는 전국의 50%로 남방과 같은 비율이다. 그들 대부분은 남방에서 왔다.
다. 전문직 인재의 과잉과 부족을 조정한다. 모든 지역마다 각계 분야의 인재를 배양해 낼 수는 없기 때문에, 희소한 분야는 소수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배양해 낼 수 밖에 없다. 이 역시 인재 지역 조정의 필연성을 가중시킨다.
<9> 남북 응집
중국이 하나의 통일된 정치 실체로서 동방에서 우뚝 서게 된 것은, 자연, 역사, 사회 등의 다방면의 원인으로 인해 조성된 것이다. 중국 남북의 차이는 매우 크지만. 남북의 응집의 역량은 더욱 컸다.
1. 자연 환경의 응집성
양쯔강, 황허강, 주장강 등이 모두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 중하류에 이르면 서로 운하를 통해서 연결되기 때문에 치수 사업에 유리하다.
2. 문화의 응집성
공자를 대표로 하는 유가 사상의 전국적인 전파, 하나의 문자, 같은 역사 전통을 가지고 있어, 유럽에서 거의 각 나라마다 자신의 문자와 문화를 형성하였던 것과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3. 군사, 정치의 응집성
중원 사람들은 농경을 생업으로 삼고 강한 고향 관념과 영토 관념을 지니고 있어, 장성을 경계로 하여 농경 영역을 보호해 줄 통일된 정부를 필요로 하였다. 그리고 주변 민족이 중원에 들어오게 되면, 응집을 통해 다민족이라는 대가정을 이루게 되었다.
6장. 동서 차이와 빈곤 지역
동서 지역의 빈부 차이는 현재 중국의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1> 자연 환경의 동서 대비
1. 기후 :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강수량은 동남 지역에서 서북쪽으로 갈수록 줄어들어, 서북 내륙 지역은 가물고 비가 적게 온다.
2. 지형 : 중국의 지형은 서고동저형으로 서부 고원에서 발원한 하천들이 동부에 편편한 지대를 형성하여 경작에 유리하고 비옥한 환경을 조성한다.
3. 해안 : 동부 지역은 바다를 향하고 있어 해양 운수에 유리하다. 1997년 중국 연해지역 항구의 화물물동량은 9억 톤이었다.
<2> 사회 환경의 동서 대비
1. 교통 불편, 정보 단절, 사회 발전의 지체 : 높은 산과 가파른 비탈길로 인해 산악 지대에 현대적 교통 노선을 건설하는 것은 평원지대에 비해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교통의 불편은 산악 지구의 자원 탐사에도 장애가 된다. 중국 서부 지역의 면적은 전 국토의 56.2%를 차지한다. 그에 반해 이 지역에서 탐사된 45종의 주요 광산의 잠재 가치는 전국 12조 달러의 21.2%에 불과하다.
=산악 지역, 구릉 지역, 평원 지역의 지역 경제지표 비교(1987)
지표
산악 지역
구릉 지역
평원 지역
현급 단위의 수(개)
936
625
797
향촌 인구(1만 명)
24716
26790
33541
경작지(아르/명)
1.38
1.66
1.87
식량 생산량(kg/명)
356
473
556
면화 생산량(kg/명)
0.4
1.8
10.6
기름 생산량(kg/명)
13.5
17.4
21.3
육류 생산량(kg/명)
23.3
26.0
21.0
농촌 총생산(위안/명)
729
1024
1478
사회의 농산물 구매(위안/명)
148
211
283
2. 교육과 문화 지체 : 교통과 문화의 단절, 경제 및 생산의 낙후 등은 교육과 문화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중국의 비교적 발달한 지역(베이징, 상하이 등)의 15세 이상의 문맹률은 10% 정도인 반면, 낙후한 지역(간쑤성, 구이저우성 등)의 문맹률은 30%를 상회한다.
3. 역사적 배경과 순차적 개방의 영향
역사상 중국의 문화, 경제, 정치 중심은 모두 동쪽으로 이동하는 추세이다. 1842년 아편전쟁으로 중국은 연해 지역에서부터 개방을 추진했고, 1978년의 개혁 개방 역시 연해 지역에서 내륙 쪽으로 이동하는 형식이다.
<3> 중서부 지역의 우위와 개발
1. 중서부 지역의 상대적 우위
중서부 지역이 우세한 점은 두 가지이다.
가. 자원의 우위 : 중서부 지역의 광활한 면적에는 중국 자연 자원 총량의 상당 부분이 보유되어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