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릿말
2. 순교자 출현 배경으로서의 공인 이전 신라의 신불 상황 및 그 세력
3. 법흥왕의 신불 및 이차돈과의 관계
4. 흥륜사 창건에 있어서 이차돈의 희생의 이유
5. 이차돈 순교 사실의 설화화
6. 불교 공인 이후 왕권의 강화
7. 불교 공인 이전 신라인의 세계관
8. 불교 공인 이후 신라인의 세계관
2. 순교자 출현 배경으로서의 공인 이전 신라의 신불 상황 및 그 세력
3. 법흥왕의 신불 및 이차돈과의 관계
4. 흥륜사 창건에 있어서 이차돈의 희생의 이유
5. 이차돈 순교 사실의 설화화
6. 불교 공인 이후 왕권의 강화
7. 불교 공인 이전 신라인의 세계관
8. 불교 공인 이후 신라인의 세계관
본문내용
신이나 왕 주변에서 신불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왕실의 불교 수용을 뒷받침 할 만한 근거는 만년에 상대등에 까지 올랐던 거칠부가 신라인의 출가가 공식으로 허락된 진흥왕 5년(543) 보다 훨씬 이전에 출가한 사건으로 알 수 있다.
3. 법흥왕의 신불 및 이차돈과의 관계
(삼국유사 권3)에 따르면 이차돈의 순교 후 법흥왕 16년에는 살생을 금지하라는 명령이 내려지고, 21년에는 대왕흥륜사의 조영에 들어가며 왕은 스스로 출가하여 법공이라는 법명을 가지고 이 절에 주석한다.
이차돈은 \'사인\'이라는 높지 않은 관직에 종사했다. 순교할 때의 나이는 22세 혹은 26세 법흥왕과는 가까운 혈족간이라는 기록이 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지증왕의 아버지인 습보갈문왕의 증손자라고 전한다. 왕실의 일원이 아니더라도 법흥왕과 흥법 신념을 함께한 신앙적 동지관계라고 보는 주장도 있다.
4. 흥륜사의 창건과 이차돈의 순교 사건
(해동고승전 권1)에 따르면 법흥왕이 불법을 세우기 위해 크게 가람을 세우고 불상과 설비를 갖추려 하자 신하들이 백성의 수고와 전쟁을 이유로 들어 크게 반대하여 고민하던 때에 26세 의혈청년 이차돈이 왕의 큰 뜻을 돕기 위해 사전에 순교를 모의한다.
또 (삼국사기 권4)에 따르면 눌지왕 이래 숙원 사업인 불교의 중흥을 꿈꾸지만 귀족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히던 차 이차돈이 자신의 머리를 베어 뭇 사람의 반대를 진정시키라고 한다. 법흥왕은 불도를 일으키는 일에 죄 없는 사람을 죽이는 것에 반대하지만 이차돈이 자신의 죽음 후에 기적이 생길 것 임을 예언한다. 해서 이차돈의 목을 치자 피가
3. 법흥왕의 신불 및 이차돈과의 관계
(삼국유사 권3)에 따르면 이차돈의 순교 후 법흥왕 16년에는 살생을 금지하라는 명령이 내려지고, 21년에는 대왕흥륜사의 조영에 들어가며 왕은 스스로 출가하여 법공이라는 법명을 가지고 이 절에 주석한다.
이차돈은 \'사인\'이라는 높지 않은 관직에 종사했다. 순교할 때의 나이는 22세 혹은 26세 법흥왕과는 가까운 혈족간이라는 기록이 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지증왕의 아버지인 습보갈문왕의 증손자라고 전한다. 왕실의 일원이 아니더라도 법흥왕과 흥법 신념을 함께한 신앙적 동지관계라고 보는 주장도 있다.
4. 흥륜사의 창건과 이차돈의 순교 사건
(해동고승전 권1)에 따르면 법흥왕이 불법을 세우기 위해 크게 가람을 세우고 불상과 설비를 갖추려 하자 신하들이 백성의 수고와 전쟁을 이유로 들어 크게 반대하여 고민하던 때에 26세 의혈청년 이차돈이 왕의 큰 뜻을 돕기 위해 사전에 순교를 모의한다.
또 (삼국사기 권4)에 따르면 눌지왕 이래 숙원 사업인 불교의 중흥을 꿈꾸지만 귀족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히던 차 이차돈이 자신의 머리를 베어 뭇 사람의 반대를 진정시키라고 한다. 법흥왕은 불도를 일으키는 일에 죄 없는 사람을 죽이는 것에 반대하지만 이차돈이 자신의 죽음 후에 기적이 생길 것 임을 예언한다. 해서 이차돈의 목을 치자 피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