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실무에관한용어정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역실무에관한용어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본문내용

of origin 原産地證明書): 원산지증명서는 회환어음의 부대서류로 수출물품이 수출국에서 생산, 制條, 加功되었음을 증명하는 서류
원신용장(master L/C, original L/C, first L/C):원신용장(原信用狀)이란 海外에서 受益者가 자기名義로 직접 받은 신용장
原資材금용(金容): 1) 원자재 輸入資金-수출용 원자재를 해외에서 수입하는 데 필용한 자금, 즉 수출신용장이나 실적기준 원자재금용한도에 의하여 수출용원자재를 수입하기 위하여 수입신용장을 발행 후 선적서류가 내도 하였을 때 동수입대금이나 수입어음을 결제하기 위하여 지원되는 자금을 말한다.
2) 원자재 購買資金-輸出移行에 필요한 국산원자재를 국내에서 구매(購買)하는데 소요되는 자금, 즉 수출신용장이나 실적기준 원자재 금용한도에 의하여 수출용원자재 구매를 위한 내국신용장 개설 후 대금회수를 위해 발행한 어음의 결제를 위하여 지원되는 자금을 말한다.
위탁가공무역(委託加工貿易): 위탁가공무역이란 가공임을 지급(支給)하는 條件으로 가공할 원자재를 외국의 거래相對方에게 수출하여 가공된 물풀을 수입하는 방식을 말한다.
유상계약(remunerative contract 有償契約): 무역계약은 계약 당사자가 상호 對價關係에 있는 급부를 목적(目的)으로 設立되는 계약이다.
유형무역(有形貿易): 유형무역(visible trade)이란 세관의 통관절차를 거치는 물품에 관한 무역으로 보통의 상품수출입을 말한다.
이로(離路):이로란 船舶이 보험증권상 지정된 出港지와 到着지는 변경하지 않은 채, 예정항로를 離脫하여 항해하는 것을 말한다.
이중책임형(network liability system): 이 책임형은 화주에 대해서는 複合운송계약의 당사자인 전 운송區間에 걸쳐서 책임을 지나, 그 책임의 내용은 각 운송구간의 기존(旣存)의 책임원칙에 의해서 결정(決定)하는 형태이다.
인수도방식(documents against acceptance;D/A): 수입자가 은행으로부터 船積書類를 인수할 때 어음금액을 은행에 지급하지 않고 단지 이를 인수(acceptance)함으로써 선적서류를 引渡받은 후 만기일에 대금을 지급하는 거래방식(方式)이다.
引受도조건: 인수도조건이란 선적서류의 인수도조건 거래로서 무역계약(契約)에 의거하여 수출자가 상품을 船積하고 선적서류를 첨부하여 발행한 기한부환어음(documentary usance bill)을 수입자가 인수(accptance)하고 서류를 인도받아 상품을 처분한 후 어음만기일에 대금을 결제하는 방법으로 신용장방식의usance 거래와 유사하다.
인수은행(paying or accepting bank): 수출자가 발행한 화어음이 기한부어음인 경우 어음을 인수하는 은행을 인수은행이라 한다.
人證기관: 거래 당사자간을 입증(立證)해주기 위해 전자인증서(certificate)를 발행, 改定, 최소하는 기관으로서 실제로는 거래 당사자가 사용하게 될 공개키(암호키, 교환용 공개키 및 전자서명용 공개키)를 認證해 준다.
일관팔렛트화(palletization): 일관팔렛트화는 送貨人으로부터 貨物이 발송(發送)되어 수화인(受禍人)에게 도착될 때까지 전운송과정을 일관하여 팔렛트로 운송
一半거래조건: (1)불가항력조항-무역계약에서 불가항력조항(條項)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불가항력은 주로 사법상 당사자가 그의 고의, 과실의 유무에도 불구하고 의무 이행의 절대적인 책임을 부담하여야 하는 불이익을 사전 제한하기 위하여 쓰여지는 개념 (2)클레임처리조항-권리(權利)의 주장, 청구(請求)권, 채권(債券)의 신청이란 의미로 계약의 위반에 의한 손해가 관해서 피해자인 당사자로부터 책임이 있는 상대방에게 제기되는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말한다. 3)준거법(準據法)조항: 2국의 당사자간에 계약이 성립될 때 당해 계약을 규율(規律)할 근거가 되고 규범 밖의 사항을 관할하는 지정된 각국의 국내법을 의미하며 준거 법조항은 그 계약서를 해석하고 당사자의 권리와 의무를 결정하는데 어느 국가의 실체법을 적용할 것인가를 규정하는 조항이다. 4)재판관할조항: 계약에 분쟁해결방법에 관한 규정(糾正)이 없는 경우 계약 당사자가 새롭게 중재에 관하여 해결할 것을 합의하지 않는 한 그 계약을 둘러싼 분쟁은 최종적으로 국가가 행하는 재판(裁判)에 의하여 해결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 계약에 미리 소송을 제기하는 법원을 계약 당사자간에 결정하여 두는 것이 재판관할조항이다. 5)중재조항: 중재의 의의는 분쟁의 해결방법에는 청구권의 기각, 화해, 알선, 조정, 소송 등이 있으며 이 중 청구권의 포기나 화해는 당사자간 해결방법이나 알선, 조정 및 중재는 제3자에 의한 해결방법이다.
일반거래조건협정(協定): 같은 거래조건으로 반복(反復)해서 거래하고 자 할때 개개의 무역거래를 성립시키기 전에 거래방법에서 일관성의 유지와 장래에 발생할지도 모르는 무역분쟁이나 클레임의 예방과 원만한 해결을 위하여 무역거래의 일반적인 기준이 될 제반 조건을 협정하고 교환(交換)해 둘 목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거래조건협정서(agreement on eneral terms and conditions of business)이다.
일부보험(under insurance): 보험가액(價額)>보험금액(金額)
자동차운송: 국내운송에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자동차운송은 공로망의 확충, 화물자동차의 발전과 대량보급(補給)으로 종합운송체게의 핵심(核心)적 역할을 담당
자율소요량 제도(制度): 자율소요량 제도란 수출원자재료에 대한 관세 등 환급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서 2000년부터 새로 실시되어진 제도
재판관할조항: 계약에 분쟁해결방법에 관한 규정이 없는 경우 계약 당사자가 새롭게 중재에 관하여 해결할 것을 합의하지 않는 한 그 계약을 둘러싼 분쟁은 최종(最終)적으로 국가가 행하는 재판에 의하여 해결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 계약에 미리 소송(訴訟)을 제기하는 법원을 계약 당사자간에 결정하여 두는 것이 재판관할조항이다.
적하목록(manifest 積荷目錄): 수입화물의 경우 해상운송화물은 선박이입항하기 24시간전, 항공(航空)운송화물은 항공기 착륙 2시간전까지 입항예정지 세관장에게 적하목?

키워드

  • 가격4,8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9.05.01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29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