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두부
흉부
피부
신경계 반사
머리
흉부
피부
신경계 반사
머리
본문내용
출생체중의 약 10%정도가 감소한다.
대게 10일부터는 다시 증가한다.
사지
움직임
반사들이 모두 적절하게 나타났으며, 바빈스키, 파악반사등이 나타났다.
바반스키 반사 : 발바닥의 외측을 발꿈치에서 발가락 쪽으로 가볍게 긁는다.⇒발가락이 과신전 된다.(1년)
파악(손) : 손가락 저변의 손바닥을 건드린다.⇒물체를 잡는다.(4개월)
파악(발): 발가락 저변에 엄지를 댄다. ⇒발가락을 구부린다. (8개월)
흉부
유방팽륜
남자아이도 물론 유방팽륜이 일어나고, 가성월경 증상도 간혹 있었다.
모체의 호르몬 영향으로 1생후 2~3일까지 유방이 종창 된다.
2) 고위험 신생아
(1) 미숙아 전반적 특성
일반적 사항
관찰내용
전반적 외모
머리카락은 미세하고 솜털같다. 솜털이 등과 얼굴에 덮여있다.
귀
귀연골은 발달이 미약하고 쉽게 접힌다.
발금
여성 생식기
음핵은 돌출되어 있고, 대 음순은 덜 발달되고 벌려져 있다.
남성 생식기
음낭은 잘 발달되어 있지 않고 아래쪽으로 쳐져 있으며 주름이 적다
고환은 서혜관에 있거나 복강에 있다.
scarf sign
미숙아의 팔꿈치는 별 저항 없이 쉽게 가슴을 가로지른다.
grasp reflex
미숙아는 쥐는 힘이 약하다.
Heal- to- ear maneuver
미숙아의 발뒤꿈치는 쉽게 귀까지 올릴 수 있다.
(2)호흡기 특징
무호흡증(AOP) : 주기성 호흡의 일환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20초 이상 자발적인 호흡이 없는 상태이다. 미숙아의 호흡은 불규칙하여, 빠른 호흡을 하다가 느린 호흡을 하기도 하며, 호흡이 중지되기도 한다.
신생아 무호흡을 그 원인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중추성 무호흡 : 횡격막 및 다른 호흡근육의 기능 부재로 나타난다.
· 폐쇄성 무호흡 : 흉곽이나 복부는 움직이나 공기으 흐름이 막혀서 나타난다.
· 혼합성 무호흡 : 중추성 무호흡과 폐쇄성 무호흡이 함께 나타난다.
· 주기성 무호흡 : 20초 정도의 정상적인 호흡 후에 10초 미만의 무호흡이 뒤따르며 이러한 증상이 연속 3번 이상 나타난다.
병태생리 - 신경계 및 화학적 호흡 통제기전의 미성숙
·점액이나 부적절한 체위로 인한 호흡기 폐쇄
· 빈혈, 다혈구 혈증
· 탈수증
· 과도한 보온, 냉방
· 저혈당 등
치료 - methylxanthines 등을 투여한다. (중추신경계에서 호흡을 자극한다.)
간호 - 호흡과 심박수를 규칙적으로 측정하고, 무호흡이 발견되면 영아의 가슴, 등을 무지르거나 앙와위로 체위를 변경하는 등 부드러운 촉각자극으로 호흡을 자극 한다.
호흡곤란 증후군 (RDS)
폐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의 지속적인 팽창을 유지시키는 계면 활성제가 부족하여 호흡곤란이 초래되는 질병으로, 재태기간이 짧을 수록, 출생시 체중이 작을수록 발생 빈도가 높다.
병태생리 - 계면 활성제의 생성부족으로 폐가 동일하게 확장되지 않으며, 호기시 폐포 허탈을 초래한다. 그래서 무기폐가 진행되고, 기능적 잔류 용량의 감소, 폐 순응도의 감소 등으로 저 환기, 저산소증, 과탄산증 및 환기-관류비의 불균형등이 초래 된다.
치료
· 산-염기 균형
대게 10일부터는 다시 증가한다.
사지
움직임
반사들이 모두 적절하게 나타났으며, 바빈스키, 파악반사등이 나타났다.
바반스키 반사 : 발바닥의 외측을 발꿈치에서 발가락 쪽으로 가볍게 긁는다.⇒발가락이 과신전 된다.(1년)
파악(손) : 손가락 저변의 손바닥을 건드린다.⇒물체를 잡는다.(4개월)
파악(발): 발가락 저변에 엄지를 댄다. ⇒발가락을 구부린다. (8개월)
흉부
유방팽륜
남자아이도 물론 유방팽륜이 일어나고, 가성월경 증상도 간혹 있었다.
모체의 호르몬 영향으로 1생후 2~3일까지 유방이 종창 된다.
2) 고위험 신생아
(1) 미숙아 전반적 특성
일반적 사항
관찰내용
전반적 외모
머리카락은 미세하고 솜털같다. 솜털이 등과 얼굴에 덮여있다.
귀
귀연골은 발달이 미약하고 쉽게 접힌다.
발금
여성 생식기
음핵은 돌출되어 있고, 대 음순은 덜 발달되고 벌려져 있다.
남성 생식기
음낭은 잘 발달되어 있지 않고 아래쪽으로 쳐져 있으며 주름이 적다
고환은 서혜관에 있거나 복강에 있다.
scarf sign
미숙아의 팔꿈치는 별 저항 없이 쉽게 가슴을 가로지른다.
grasp reflex
미숙아는 쥐는 힘이 약하다.
Heal- to- ear maneuver
미숙아의 발뒤꿈치는 쉽게 귀까지 올릴 수 있다.
(2)호흡기 특징
무호흡증(AOP) : 주기성 호흡의 일환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20초 이상 자발적인 호흡이 없는 상태이다. 미숙아의 호흡은 불규칙하여, 빠른 호흡을 하다가 느린 호흡을 하기도 하며, 호흡이 중지되기도 한다.
신생아 무호흡을 그 원인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중추성 무호흡 : 횡격막 및 다른 호흡근육의 기능 부재로 나타난다.
· 폐쇄성 무호흡 : 흉곽이나 복부는 움직이나 공기으 흐름이 막혀서 나타난다.
· 혼합성 무호흡 : 중추성 무호흡과 폐쇄성 무호흡이 함께 나타난다.
· 주기성 무호흡 : 20초 정도의 정상적인 호흡 후에 10초 미만의 무호흡이 뒤따르며 이러한 증상이 연속 3번 이상 나타난다.
병태생리 - 신경계 및 화학적 호흡 통제기전의 미성숙
·점액이나 부적절한 체위로 인한 호흡기 폐쇄
· 빈혈, 다혈구 혈증
· 탈수증
· 과도한 보온, 냉방
· 저혈당 등
치료 - methylxanthines 등을 투여한다. (중추신경계에서 호흡을 자극한다.)
간호 - 호흡과 심박수를 규칙적으로 측정하고, 무호흡이 발견되면 영아의 가슴, 등을 무지르거나 앙와위로 체위를 변경하는 등 부드러운 촉각자극으로 호흡을 자극 한다.
호흡곤란 증후군 (RDS)
폐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의 지속적인 팽창을 유지시키는 계면 활성제가 부족하여 호흡곤란이 초래되는 질병으로, 재태기간이 짧을 수록, 출생시 체중이 작을수록 발생 빈도가 높다.
병태생리 - 계면 활성제의 생성부족으로 폐가 동일하게 확장되지 않으며, 호기시 폐포 허탈을 초래한다. 그래서 무기폐가 진행되고, 기능적 잔류 용량의 감소, 폐 순응도의 감소 등으로 저 환기, 저산소증, 과탄산증 및 환기-관류비의 불균형등이 초래 된다.
치료
· 산-염기 균형
키워드
추천자료
사례관리(Case management)의 개념과 개입과정에 관하여-사례관리, 초기조사(인테이크), 사정
[소화기, 소화기계, 소화기관, 소화기 질환]소화기(소화기계, 소화기관)의 구조와 기능, 소화...
행동주의 모델의 개념은 무엇이며, 또한 행동주의 모델에 관한 실제 사례의 예를 통해 사례의...
[지역사회 간호학] 보건소 실습 결핵실, 폐건강실 케이스 (폐건강관리실, 결핵환자 사정도구,...
[원서번역] Advanced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저자 - DAVID S. DEREZOTES) PARTⅠ....
[간호과정] 폐렴케이스 Pneumonia case study - 폐렴케이스스터디 폐렴사례관리 폐렴간호과정...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놀이치료 - 이론적 배경(놀이의 기능, 놀이치료 접근방법과 대상아...
[피임의 종류와 피임방법] 올바른 피임법 - 피임의 개념, 피임의 종류, 먹는 피임, 자연주기 ...
복막염, penperitonitis, 복막염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복막염 수술 후 관리,...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재활간호(1. 재활과 관련된 개념 2. 재활 대상자의 심리 사회적 문제 3. 재활 간호 중재 4. ...
[간호지도자론 공통] (1)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를 기초로 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
[간호지도자론 공통] (1)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를 기초로 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