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음식의 이해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음식의 이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국의 음식 문화 --------------------------------------------------------------- 1

1. 한국 음식의 특징
2. 한국 음식의 제도 상 특징
3. 한국 음식의 풍속 상 특징
4. 향토 음식의 문화


Ⅱ. 한국 음식의 역사 ---------------------------------------------------------------- 7


Ⅲ. 한국 음식의 종류 ---------------------------------------------------------------- 9

1. 한국 음식의 주식 류
2. 한국 음식의 부식 류


Ⅳ. 한국 음식의 상차림 -------------------------------------------------------------- 16

1. 일상식 상차림
2. 의례식 상차림


Ⅴ. 궁중 음식 ---------------------------------------------------------------------- 21





< 결 론 > --------------------------------------------------------------------- 25


< 참고 자료 > --------------------------------------------------------------------- 26

본문내용

쓰고 사시사철 은수저를 쓴다.
수라상은 대원반 앞줄에 흰밥과 미역국, 소원반 앞줄에는 팥찰밥과 곰탕이 올려지는데 수라상에 오르는 음 식은 전국에서 생산되는 명산물로 만들어진다. 수라상에 올려지는 명산물은 임금이나 통치자가 직접 그 지역 을 가보지 않아도 지역의 특산물을 음식으로 대해 백성의 생활을 알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항상 백성의 생활 돌보기를 잊지 않는다는 뜻도 담겨 있다.
2) 수라의 기명
수라상은 큰 원반과 곁반인 작은 원반과 책상반의 3개의 상에 차려지며, 대 원반은 붉은 색깔의 주칠을 하 고 중자개로 문양을 넣거나 대 원반 다리에 용트림 장식을 조각한다. 대 원반은 왕과 왕비가 앉아 있을 경우
중앙에 놓이는 상이며 곁반으로는 소원반과 네모진 책상반이 있는데 책상반 대신 둥근 소반을 쓴다.
수라상에 사용되는 기명은 주로 겨울에 은반상기를, 여름에는 사기반상기를 쓰며, 수저는 사철내내 은으로 만든것을 사용한다. 전골을 끓이기 위해 화로와 전골틀은 준비하고 상에 올리는 그릇들은 같은 문양과 같은 재질로 된것을 사용한다.
3) 수라상의 반배법
① 대원반 앞줄의 오른쪽에 국, 왼쪽에 수라를 놓는다. 결상을 놓인 홍반(붉은 팥찰밥)과 곰국은 원하면 백반과 곽탕을 내리고 바꾸어 놓는다.
② 대원반의 오른편에 수저를 두벌 놓고, 국을 내리고 차수를 올릴 때에 한 벌을 내린다.
곁반의 수저 세 벌은 기미상궁이 기미하거나 음식을 빈 공기나 접시에 덜 때 쓰며, 책상반의 수저는 전 골상궁이 전골을 만들 때에 쓴다. 이때 저는 상아로 된 것이다.
③ 토구는 뚜껑이 달린 오목한 그릇으로 비아통이라고도 한다. 음식을 먹다가 입에서 넘기지 못하는 뼈, 가시 등을 담는 그릇인데 대원반의 왼편 끝에 놓는다.
④ 음식의 간을 맞추는 청장, 젓국과 별찬을 찍어먹는 초고추장, 겨자즙 등을 담는 종지는 밥과 국의 바로 다음 줄에 놓는다.
⑤ 더운 음식과 손이 자주 가는 회나 김구이와 국물이 있는 국, 찌개, 물김치 등은 오른편에 놓는다.
⑥ 젓갈, 밑반찬은 상의 왼편에, 따뜻한 음식인 찜, 구이, 회, 수란은 곁상에 두었다가 적절한 때 대 원반에 올린다.
궁중의 수라상의 예법은 서양식의 테이블 매너보다 더욱 정중하면서도 잘 다듬어져 있다.
(2) 낮것상
낮것상은 점심상을 말하며 응이, 미음, 죽 등의 유동식이나 간단한 다과상을 차려서 올리거나 관가의 친척이나 손님들이 방문할 경우 다과상을 차려서 낸다.
(3) 면상
면상은 여러 가지 병과류와 생과.면류.찬물을 같이 차리며 주식으로는 온면.냉면.떡국.만두 중 한 가지를 차려내고, 편육.회.전유화.신선로 등을 차려 낸다.
(4) 초조반
초조반은 아침 일찍 드시는 조반으로 주로 흰죽, 잣죽, 우유죽, 깨죽, 흑임자죽, 행인죽을 올린다
3. 궁중의 연회식
1) 궁중의 진연과 진찬
궁중의 상차림은 일년 내내 특별한 행사가 연중으로 번번하게 있으므로 궁내의 왕족들의 탄일을 비롯하여 종친들의 생신 등의 대,소연회가 열렸다.
상차림은 임금의 수라상과 왕족의 경사 시에 차려지는 진연상과 가례 때에 차려지는 고배 상,제례 때 차리 는 제례상이 있다.
궁중의 잔치 규모에 따라 진연.진찬 등으로 구분되는데, 진찬은 큰 행사가 있을 경우, 진연은 왕족에 경사 가 있을 때 치러지는 잔치로서 진연이 진찬보다는 규모가 작다.
진연. 진찬의 모든 절차는 도감에서 계획에 의해 필요한 물자를 조달하게 되고 연회음식을 차리는데 사용 되는 사용되는 상.기명.조리 기구를 잘 점검하고 필요한 식품재료는 잣칫날에 맞 추어 준비하고 조리는 적당 한 인원의 숙수(熟手)가 연회음식을 만든다.
음식발기는 ‘찬품단자’라고도 하며 일상식. 잔치음식. 제사음식에 사용되는 모든 품목의 수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음식 발기 중에는 음식을 만드는 사람이 보기 위한 것과 진연청에 재료를 신청하는 용도의 발기는 흰색의 한지에 적었다.
찬품단자는 한지에 고운 색깔의 물감을 들인 선자지에 한문의 필사체나 한글로 쓰며 상을 받는 분에 따라서 발기를 적는 종이의 색깔이 구분된다.
주로 황색은 대왕대비전, 홍색은 대전, 청색은 중궁전, 보라색은 대원군, 갈매색은 부대부인, 주황색은 세 자, 녹색은 세자빈이 사용한다.
결론
패스트푸드와 서양 음식에 밀려 점차 사라져 가는 우리의 전통 음식을 다루는 수업이라는 점에서 특히 기대가 컸는데, 이론만 다루는 피상적인 과목이 아니라 이론과 함께 실습을 하면서 지식을 습득 할 수 있다는 점이 이 수업의 매력 인 것 같다.
사계절 자연의 영향을 받으며 역사의 변천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온 우리의 전통음식은 계절과 지방의 독특한 색채가 함께 어우러진 자연식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의 조상들이 그 고장의 풍속과 계절에 맞는 식품을 생산하여 이를 다양한 조리법으로 만들어 즐겨왔다는 사실은 요즘의 영양학적인 관점에서 보더라도 대단히 과학적이다.
한국의 전통음식은 다양한 재료의 사용으로 충분한 영양과 맛을 준다. 특히 서양의 육식 위주의 식생활은 암·당뇨병·고혈압·비만 등의 각종 성인병을 유발하는 원인이지만 우리의 음식은 채식 위주이며 육식과 채식에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아주 과학적인 음식이다.
한류열풍이 중국, 일본, 동남아를 비롯한 세계전역에 확산됐지만 유독 우리 음식만은 세계화는커녕 표준 양식표도 마련돼 있지 않다.
세계 어디에 내놔도 손색없는 우리 음식의 우수성을 널리 알려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 발 빠른 움직임이 필요한것 같다.
한국 전통음식 문화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되돌아보게 되었고, 한국음식문화의 고유성을 고양시키면서 시대의 흐름과 조화되는 우리의 음식문화를 만들고 이해하는데 계기가 되었고 아름다운 멋을 느낄 수 있었다.
< 참 고 자 료 >
1. 한국 음식의 맛, 김덕희외, 2007, 벽산
2. 한국 전통 음식, 정해옥, 1999, 문지사
3. 조선왕조 궁중음식, 한복려, 2003, 궁중음식연구원
4. 궁중 음식 연구원, http://www.food.co.kr/
5. 한국 음식 문화 연구소, http://www.daom21.com/
6. 야후 백과 사전, http://kr.yahoo.com/
7. 한국의 집, http://www.fpcp.or.kr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9.05.06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6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